목차
저자 서문 = 5
서론 : 공문서 분류체계의 원 질서를 찾아서 = 10

1장 내장원의 위상 변화와 공문서 접수 = 28
1. 내장원의 위상 변화와 기록과 설치 = 29
2. 내장원의 공문서 접수책 작성 = 40
3. 내장원의 접수책 작성 방식의 변화 = 46

2장 공문서의 편철ㆍ분류 규정과 보존기간 = 54
1. 대한제국기 공문서의 편철과 분류 규정 = 55
2. 보존기간 규정과 기산(起算) 기준 = 65
3. 보존기간의 구분과 책정 기준 = 78

3장 탁지부의 공문서 편철과 분류 = 96
1. 국과 단위의 공문서 편철과 각 과별 편철 기준 = 97
2. 조선총독부의 재분류 기준과 탁지부 문서 분류체계의 원 질서 = 110

4장 내장원의 공문서 편철과 분류 = 129
1. 내장원의 공문서 분류체계 = 131
2. 수발신 문서를 구분한 편철 = 143

5장 황실재정 정리 문서의 편철과 분류 = 156
1. 황실재정 정리와 궁방(宮房) 관련 문서의 수합 = 157
2.『장토문적류』의 편철 = 162
3.『장토문적류』의 분류 양상과 분류체계의 원 질서 = 169

6장 분류도장ㆍ창고번호 도장의 날인과 원 질서의 붕괴 = 184
1. 통감부∼일제 초기 분류도장의 날인과 분류체계의 변형 = 185
2. 창고번호 도장의 날인과 대한제국기 공문서에 대한 인식 변화 = 208

7장 역둔토 문서의 분류와 분류체계의 변형 = 219
1. 내장원의 역둔토 문서 분류체계 = 221
2. 역둔토 문서 분류체계의 변형 = 227
3.『규장각도서한국본종합목록』의 역둔토 문서 분류 = 246

결론 : 국가 운영체계와 공문서 분류체계의 조응 = 265

참고문헌 = 287

부록 1 대한제국 관제 = 293
부록 2 대한제국기 공문서 관련 연표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