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부. 출토문헌과 전래문헌의 이중주
6. 전래문헌의 권위에 대한 새로운 도전: 칭화간 『계년』의 주 왕실 동천 / 심재훈 = 123
7. 문헌의 원형과 인용, 그리고 재창조: 칭화간 『부열지명(傅說之命)』 중(中)의 내용과 사상적
경향을 중심으로 / 성시훈 = 151
8. 「명훈(命訓)」편의 출토본과 전래본 비교연구: 제1~7죽간 고석을 중심으로 / 신세리 = 177
9. 『예기(禮記)』 「중용(中庸)」과 궈뎬초간 『성자명출(性自命出)』의 성정론(性情論)·정치론(政治 論) 비교연구 / 이승률 = 211
10. 『주역』의 세계, 출토문헌을 통해 보다: 상박초간(上博楚簡) 『주역』 亡(无)忘(妄)괘를 중심 으로 / 원용준 = 235
11. 정약용의 『춘추관점보주(春秋官占補註)』의 ‘하상지구법(夏商之舊法)’설에 대한 비판적 고 찰: 출토역학자료의 관점에서 본 『연산(連山)』·『귀장(歸藏)』의 서법(筮法) / 방인 = 255
III부. 출토문헌이 그리는 고대 중국
12. 고대 중국의 ‘천(天)’은 ‘상제(上帝)’와 동일한 개념인가? / 빈동철 = 273
13. 출토자료를 통해 본 서주시대의 동이 / 김정열 = 297
14. 작백정(柞伯鼎) 명문에 보이는 전쟁과 작백(柞伯)의 ‘기외봉군(畿外封君)’적 지위 / 이유 표 = 337
15. 주대(周代) ‘선(單)’ 족·국의 위치와 세계(世系)의 재구성 / 민후기 = 357
16. 서주 ‘약제(約劑)’ 명문에 보이는 분쟁 방지 목적의 법적 장치 / 김신주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