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권 목차


책을 펴내면서 : 국토박물관의 길눈이 = 5
1 남도답사 일번지 - 강진·해남(1) : 아름다운 월출산과 남도의 봄 = 11
월출산
도갑사
월남사터
무위사
남도의 봄
2 남도답사 일번지 - 강진·해남(2) : 영랑의 슬픔과 다산의 아픔 = 35
해태식당
영랑생가
구강포 귤동마을
다산초당
3 남도답사 일번지 - 강진·해남(3) : 세상은 어쩌다 이런 상처를 남기고 = 57
만덕산
백련사
녹우당
윤고산 유물전시실
대흥사 유선여관
4 남도답사 일번지 - 강진·해남(4) : 일지암과 땅끝에 서린 얘기들 = 75
두륜산 대흥사
일지암
미황사
땅끝
5 예산 수덕사와 가야산 주변(1) : 내포땅의 사랑과 미움(상) = 95
내포평야
수덕사 대웅전
정혜사 불유각
수덕여관
6 예산 수덕사와 가야산 주변(2) : 내포땅의 사랑과 미움(하) = 113
남연군 묘
보부상 유품
해미읍성
개심사
7 경주(1) : 선덕여왕과 삼화령 애기부처 = 131
첨성대
황룡사 구층탑
삼화령 미륵삼존
감실부처님
여근곡
8 경주(2) : 아! 감은사, 감은사 탑이여! = 153
감포가도
대왕암
감은사탑
고선사탑
석가탑
9 경주(3) : 에밀레종의 신화(神話)와 신화(新話) = 175
성덕대왕신종
봉덕사종 이동기
후천개벽춤
불국사 박정희종
10 양양 낙산사 : 동해 낙산사의 영광과 상처 = 199
낙산일출
의상과 원효
원통보전 돌담
낙산사 그림
11 관동지방의 폐사지 : 하늘 아래 끝동네 = 217
설악산 진전사터
도의선사 부도
미천골 계곡
선림원터
홍각국사 부도비
12 문경 봉암사(1) : 별들은 하늘나라로 되돌아가고(상) = 237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부도와 비
13 문경 봉암사(2) : 별들은 하늘나라로 되돌아가고(하) = 253
정진대사 부도와 비
마애보살상
야유암
14 담양의 정자와 원림(1) : 자연과 인공의 행복한 조화(상) = 273
중부휴게소
누정의 미학
소쇄원
15 담양의 정자와 원림(2) : 자연과 인공의 행복한 조화(하) = 291
식영정
서하당
환벽당
취가정
명옥헌
16 고창 선운사 : 동백꽃과 백파스님, 그리고 동학군의 비기(秘機) = 309
동백숲
상갑리 고인돌
낙조대
칠송대 암각여래상
백파선사비
풍천장어와 복분자술
부록 : 답사일정표와 안내지도 = 335


2권목차


두 번째 책을 펴내면서 : 글쓰기와 책읽기의 행복한 만남 = 5
지리산 동남쪽 - 함양·산청(상)
1. 옛길과 옛마을에 서린 끝모를 얘기들 = 11
지리산 동남쪽 - 함양·산청(하)
2. 산은 지리산 = 49
영풍 부석사
3. 사무치는 마음으로 가고 또 가고 = 73
아우라지강의 회상 - 평창·정선(상)
4.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 101
아우라지강의 회상 - 평창·정선(하)
5. 세겹 하늘 밑을 돌아가는 길 = 125
토함산 석불사(상)
6. 그 영광과 오욕의 이력서 = 157
토함산 석불사(중)
7. 석굴의 신비에 도전한 사람들 = 183
토함산 석불사(하)
8. 무생물도 생명이 있건마는 = 211
민통선 부근 - 철원
9. 한탄강의 비가(悲歌) = 237
운문사와 그 주변(상)
10. 저 푸른 소나무에 박힌 상처는 = 261
운문사와 그 주변(중)
11. 운문사 사적기와 운문적의 내력 = 281
운문사와 그 주변(하)
12. 연꽃이 피거든 남매지로 오시소 = 295
미완의 여로(상) - 부안 변산
13. 끝끝내 지켜온 작은 아름다움들 = 315
미완의 여로(하) - 농민전쟁의 현장
14. 미완의 혁명, 미완의 역사 = 345
부록1 첫번째 답사기의 정정과 보완
부록2 답사일정표와 안내지도


3권 목차

개정판 서문문 = 4
초판 서문 = 9
서산마애불: 저 잔잔한 미소에 어린 뜻은 = 17
구례 연곡사: 저문 섬진강에 부치는 노래 = 51
북부 경북 순례 1-의성·안동: ‘니껴’형 전탑의 고장을 아시나요 = 77
북부 경북 순례 2-안동·풍산: 니, 간고등어 머어봤나 = 109
북부 경북 순례 3-하회·예안: 형님, 음복까지는 제사요! = 143
북부 경북 순례 4-도산서원: 저 매화나무 물 줘라 = 179
북부 경북 순례 5-임하·영양: 지례보다야 많겠지 = 217
익산 미륵사터: 이루어지지 않은 왕도의 꿈 = 247
경주 불국사 1: 불국사 안마당에는 꽃밭이 없습니다 = 273
경주 불국사 2: 믿기는 뭘 믿었단 말이냐 = 301
회상의 백제행 1-서울: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 = 331
회상의 백제행 2-공주: 정지산 산마루에 누대를 세우고 = 359
회상의 백제행 3-부여: 산에, 언덕에 피어날지어이 = 391
부록: 답사 일정표와 안내지도 = 421


4권 목차


개정판 서문 : 답사기를 다시 매만지며 = 5
답사기 4권 개정증보판에 부쳐 : 분단시대 글쓰기의 어려움 = 10
제1부 평양 대동강
평양행 1 - 고려항공 비행기에서 : "평양의 날은 개었습니다" = 21
방북 허가증을 받기까지
여승무원의 고향 사랑
평양행 2 - 서재동 초대소 : 서쪽 창가의 미루나무 한 그루 = 31
서재동 초대소
답사단 양측 네쌍
첫 동석모임
대동강 1 - 대동강과 정지상 : 비 갠 강가에는 녹음이 푸르른데 = 40
대동강을 노래한 예술인들
정지상의 이별노래 이야기
대동강 2 - 대동문과 연광정 : 천하제일강산의 제일누대 = 47
대동문
연광정
연광정 공간분할의 슬기
대동강 3 - 부벽루와 김황원 : 넓은 들 동쪽으로는 먼 사이 점, 점, 점 = 57
부벽루 회상 둘
눌인 조광진의 행위예술
김황원의 미완성 시
대동강 4 - 칠성문과 을밀대 : 황혼의 대동강가엔 환영(歡迎)의 환영(幻影)들이 = 66
칠성문
「배따라기」의 김동인
을밀대
능라도 그림의 회상
보통강 보통문 : 무너진 서까래는 고치면 되겠지만…… = 77
평양의 지세
보통문
채제공의 중건기
평양 대성산성 : 드넓은 벌판을 보듬은 고로봉식 산성 = 85
대성산성
소장 아바이
안학궁터
제2부 고인돌에서 현대미술까지
상원 검은모루동굴 : 호모 에렉투스의 살림터 = 97
한반도 최초의 인간이 살던 곳
직립원인의 신체구조
뗀석기에는 행위의 목적과 의식이 있다
고인돌 기행 - 용곡리ㆍ귀일리ㆍ문흥리 고인돌 : 고조선 거석 기념유물의 고향 = 107
평양지방의 1만 4천 기 고인돌
용곡리 고인돌떼
귀일리 고인돌
문흥리 고인돌
단군릉 소견 : 1,994개의 돌덩이가 지닌 뜻은 = 120
피해갈 수 없는 논쟁의 핵
단군릉 자체는 고구려식
주체사관을 위한 유적지로 개건
주영헌 선생과의 대화 : "력사적 상상력을 제한해서는 안됩니다" = 128
북한 원로학자와의 만남
민족의 정통서어 확보를 위한 발굴작업
조선중앙력사박물관 1 : 역사교육관으로서 박물관의 과제 = 137
조선중앙력사박물관의 연혁
안악3호무덤
동수설과 미천왕설
고국원왕설의 새로운 대두
조선중앙력사박물관 2 : 잃어버린 왕국 발해를 찾아서 = 149
발해건국 1,300돌 기념전
발해연구의 어려움
조선미술박물관 1 : 북한의 아트뮤지엄, 조선미술박물관 = 156
조선미술박물관의 명화들
복제화 속 숨은 그림 찾기
조선미술박물관 2 : 단원과 겸재를 만나다 = 168
단원의 자화상
겸재 그림의 미덕
북한의 현대미술 : 세월만큼 멀어진 남북의 미술 = 180
북한에는 현대미술관이 없다
조선화의 제한된 성공
북한의 현대수예
제3부 묘향산
묘향산 기행 1 - 청천강과 안주들판 : 문학이 삶 속에 살아있을 때 = 197
안주벌 열두삼천골
청천강
용강 선생의 독서감상론
단천령과 초향이의 향산
묘향산 기행 2 - 보현사와 8각 13층석탑 : 그리하여 산은 묘향, 절은 보현이라 했다 = 207
보현사
신이 없는 나라
보현사 사적기
8각13층석탑
신혼여행 따라온 친구들
묘향산 기행 3 - 안심사 승탑밭과 만폭동 : 장엄하고도 수려한 산, 묘향산 = 223
장이역수의 산
안심사 승탑밭
만폭동 폭포
휘파람새 우는 사연
묘향산 기행 4 - 상원암과 향산호텔 : 묘향산 물은 흐르면 폭포요, 마시만 약수라 = 234
향산호텔
인호대
상원암
불영대
저마다 읊어대는 자작시
묘향산 기행 5 - 서산대사의 금강굴 : 내 마음을 갈무리하는 고요한 암자 = 247
금강굴
청허방장
금강굴에서 바라본 전망 = 247
제4부 평양의 고구려 고분벽화
진파리 회상 1 - 정릉사 : 천년의 비밀을 지켜온 우물 앞에서 = 259
동명왕릉의 능사
정릉사터의 엄정한 비례관계
정릉사 우물
진파리 회상 2 - 동명왕릉 : 민족의 영웅서사시로 다시 살아난 그분 = 269
개건된 고구려 시조릉
동명왕릉의 재조사
「동명왕편」
진파리 회상 3 - 진파리 벽화무덤과 평강공주 : 아름다운 인생을 축복하는 벽화 = 279
진파리무덤떼
평강공주와 제1호무덤 벽화
평행삼각고임 천장
강서의 고구려 벽화무덤 1 - 덕흥리 벽화무덤 : '축소된 우주'속의 견우와 직녀 = 289
덕흥리 벽화무덤의 구조와 명문
축소된 우주로서의 천장그림
강서의 고구려 벽화무덤 2 - 삼묘리 강서큰무덤 : 아! 고구려문화의 위대한 영광이여! = 301
강서들판
사신도와 천장
고분벽화의 정신사적 해석
그리고 남은 이야기
평양 용악산 : 용곡서원의 둔암과 법운암의 백범 = 315
용악산
용곡서원
둔암 선생
법운암에 온 백범 선생
북에서 만난 여인들 : 북녀(北女)의 미소 = 329
평양 미인과 강계 미인
아름다운 우리말 조어
그들과 함께하며 : 북한답사를 마치며 = 339
고은ㆍ김주영과 함께
북한의 향토음식
그들이 사는 방식
후기 - 이 책이 나오기까지 : 책의 독자를 위해 다시 글을 쓰고서 = 363


5권 목차


개정판 서문 : 답사기를 다시 매만지며 = 5
초판 서문 : 다시 금강예찬을 시작하면서 = 10
제1부 금강 입문
금강예찬 : 민족의 명산에서 통일의 영산으로 = 19
금강산의 의미
금강을 노래한 글과 그림
옛 문인들의 금강행
방북답사 때의 금강산
금강산의 사계절
현대금강호 첫 출항 동선기 : 칠순 나이에 부르는 어머니 소리 = 37
실향민을 실은 배
북한사람을 만나는 반가움
칠순 노인이 부르는 어머니
동해항과 장전항 : 외금강 관문의 어제와 오늘 = 53
장전항과 금강산
외금강 탐승의 방사점, 온정리
온정리의 아름다운 경관
온정리 소묘 : 온정이 오가던 온정리가 그립습니다 = 69
금강원식당의 명태국
온정리온천
세조의 온천 행차
리은숙 접대원의 노래
제2부 외금강
창터솔밭과 신계사터 : 아름다운 금강송과 신계사의 스님들 = 91
금강산 미인송
신계사터 삼층석탑
진표율사의 발연사
신계사의 중창불사
효봉스님과 일초 고은 선생
옥류동 : 풍광은 수려한데 전설은 어지럽고 = 109
오선암 유감
관음연봉의 소나무들
지원의 내력
앙지대의 글씨
옥류동 찬가
소정 변관식의 그림
구룡폭과 상팔담 : 천 길 비단폭에 만 섬의 진주알 = 135
옥류동의 사계절
연주담
비봉폭포
무봉폭포
구룡폭포
김규진의 미륵불
구룡폭의 화가들 상팔담
만물상 : 절집도 들지 못한 금강의 오지 = 166
만상정
삼선암
정성대
칠층암ㆍ절부암ㆍ안심대
망양대ㆍ천선대ㆍ망장천ㆍ천일문
금강산의 두 사나이
삼일포 : 양봉래의 날 비(飛)자는 사라지고 = 202
삼일포의 유래
글발들
봉래 양사언 설화
삼일포 뱃놀이
몽천과 금강문
옹천을 그리며
제3부 내금강
내금강 가는 길 : 단발령 넘는 길과 온정령 넘는 길 = 231
내금강을 가기 위하여
조선시대 금강산 유람
괘궁정과 이성계
장연사와 도산사
산마을 사람들
장안사와 삼불암 : 장하던 6전(殿) 7각(閣)은 어디로 가고 = 252
만천교
장안사 비석거리의 영호스님
장안사
울소의 내력
나옹화상과 삼불암
표훈사와 정양사 : 금강의 맥박은 지금도 울리는데 = 272
월사 이정구의 금강산 유람
백화암터의 승탑밭
표훈사
배재령과 고려 태조
능파루
정양사와 겸재의「금강전도」
내금강 만폭동 : 봉래풍악 원화동천 = 298
내금강 금강문
이상수의「동행산수기」
금강산을 읊은 명시들
만폭동의 바위글씨
금강대 출토 금동불상들
보덕굴과 묘길상 : 묘길상은 솟아 있고 법기봉은 푸르네 = 322
내팔담
보덕굴
마하연의 율봉스님
김삿갓의 시짓기 내기
묘길상의 마애불
부록 : 금강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 '나뭇꾼과 선녀'에서 현대금강호까지 = 355
금강산의 지질
전설시대
진표율사
고려시대의 금강산
조선시대의 절집 사정
금강산 유람의 역사
금강산을 그린 화가와 그림들
조선시대 유람길
근대의 탐승코스


6권 목차


책을 펴내며 : 인생도처유상수 = 4
경복궁 1 : 경복과 근정의 참뜻을 새기면서 = 11
경복궁과 자금성
자리앉음새
창건과정
경복궁의 뜻
근정전
근정전의 뜻
월대의 석견
박석
강화도 박석광산
경복궁 2 : 아미산 꽃동산엔 십장생 굴뚝을 세우고 = 41
영제교의 천록
사정전ㆍ강녕전ㆍ교태전
양의문 굴뚝
아미산 화계
자경전 꽃담장
궁궐의 우리 나무
태원전과 빈전
경복궁 3 : 경복궁 건축의 꽃, 경회루와 건청궁 = 79
경회루의 물길
박자청
경회루의 참뜻
국제연회장으로서 경회루
건청궁
향원정
집옥재
건청궁의 근대건축
춘양목
경복궁 4 : 광화문에 새겨진 영욕의 이력서 = 117
광화문광장
아!광화문이여
야나기 무네요시
콘크리트 복원
광화문 현판
설치미술로서 가림막
이방인이 기록한 광화문 복원
순천 선암사 1 : 산사의 미학 - 깊은 산, 깊은 절 = 147
산사의 전형
제1회 광주비엔날레
정직한 관객
한국의 들과 산
선암사 진입로
승선교와 강선루
삼인당
깊은 산, 깊은 절
순천 선암사 2 : 365일 꽃이 지지 않는 옛 가람 = 175
선암사의 사계절
승탑밭
태고종과 조계종
장승과 석주
선암사 경내
무우전
선암사 매화
뒷간
선암사 시
달성 도동서원 : 도(道)가 마침내 동쪽으로 오기까지 = 205
시각장애인 답사
김굉필
도동서원 석축
김굉필나무와 수월루
석단의 조각들
사당 안 벽화
점필재와 한훤당
거창ㆍ합천 1 : 정자 고을 거창의 코스모스 길 = 233
거창의 이미지
가조휴게소
건계정
외래 귀화인의 성씨
코스모스
거창의 정자들
황산마을의 거창 신씨
수승대
거창ㆍ합천 2 : 종가의 자랑과 맏며느리의 숙명 = 263
동계고택
종갓집 맏며느리 간담회
모리재
거창의 인문정신
신원면 가는 길
거창양민학살
명예회복과 추모공원
거창ㆍ합천 3 : 쌍사자석등은 황매산을 떠받들고 = 291
영암사터 가는 길
단계마을 돌담길
황매산
화강암 예찬
쌍사자석등
무지개다리와 석축
두 마리 돌거북
합천 촌부의 회상
부여ㆍ논산ㆍ보령 1 : 내 고향 부여 이야기 = 325
5도2촌
외산면 소재지
휴휴당
반교리 청년회원
반교리 돌담길
무량사 사하촌
만수산 산나물
마늘쫑
부여ㆍ논산ㆍ보령 2 : 그 많던 관아는 다 어디로 갔나 = 353
백마강 전설
왕흥사 사리함
송국리 청동기유적
조선의 관아
홍산관아
홍산 문루기
홍산의 근대건축
홍산장
지게의 회상
부여ㆍ논산ㆍ보령 3 : 백제의 여운은 그렇게 남아 있고 = 383
충청도 기질
장하리 석탑
가림성 옛 보루
대조사 석불
복실이와 해탈이
산딸나무
관촉사 해탈문
은진미륵
관촉사 여록
부여ㆍ논산ㆍ보령 4 : 바람도 돌도 나무도 산수문전 같단다 = 413
무량사
오층석탑
청한당
율곡의 김시습전
동봉의 여섯 노래
성주사터
낭혜화상비
최치원의 화려체
강승의 편지
부록 : 답사 일정표와 안내지도 = 443


7권 목차


책을 펴내며 : '제주허씨'를 위한 '제주학' 안내서 = 4
제주답사 일번지 1 - 와흘 본향당 : 본향당 팽나무에 나부끼는 하얀 소망들 = 13
제주도
제주의 가로수
산천단
와흘 본향당
소지의 내력
회천 석인상
제주답사 일번지 2 - 조천 너븐숭이 : 외면한다고 잊혀질 수 없는 일 = 49
조천 연북정
조천연대
큰물, 근돈지
너븐숭이
제주 4ㆍ3사건의 전말
「순이삼촌」 문학비
제주답사 일번지 3 - 다랑쉬오름 : 설문대할망의 장대한 대지예술 = 75
제주의 자연
다랑쉬오름
용눈이오름
김영갑 갤러리
아부오름
『오름나그네』
제주답사 일번지 4 - 용천동굴 : 이보다 더 아름다운 용암동굴은 없다 = 111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
용암동굴
당처물동굴
거문오름
용천동굴
제주답사 일번지 5 - 하도리 해녀 불턱 : 숨비소리 아련한 빈 바다에 노을이 내리네 = 137
제주해녀항일기념탑
해녀박물관
세화리 갯것할망당
대상군 이야기
하도리 해녀 불턱
종달리 돈지할망당
한라산 윗세오름 등반기 - 영실 : 진달랩니까, 철쭉입니까 = 167
한라산
임백호『남명소승』
오백장군봉
영실
팔도 아줌마
구상나무
윗세오름
겐테 박사
정지용의「백록담」
탐라국 순례 1 - 삼성혈 : 전설은 유물을 만나 현실로 돌아온다 = 199
삼성혈
돌하르방
삼사석
일도 이도 삼도
삼양동 선사유적지
삼양동 검은 모래
탐라국 순례 2 - 관덕정 : 탐라국에서 제주도로 넘어가면서 = 225
탐라국에서 제주군으로
불탑사 오층석탑
고려왕조의 이미지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제주목 관아
관덕정
관덕정 돌하르방
탐라국 순례 3 - 오현단 : 제주의 삼보(三寶)와 영주십경(瀛州十景) = 255
무근성
오현단
귤림서원
향현사
제주성터
『탐라순력도』
사라봉
만덕할머니
김만덕 기념탑
한라수목원
제주어
제주의 서남쪽 1 - 하멜상선전시관 : 불로초를 찾아 오고, 태풍에 실려 오고 = 285
명월성
명월리 팽나무 군락
백난아「찔레꽃」
산방산
하멜상선전시관
『하멜 보고서』
서복전시관
제주의 서남쪽 2 - 송악산 : 아, 다녀가셨군요 = 311
무태장어
용머리해안
형제섬
사계리 사람 발자국 화석
일본군 진지동굴
송악산
알뜨르 비행장
백조일손지묘
「빈 산」
제주의 서남쪽 3 - 대정 추사 유배지 : 세한도를 그릴 거나, 수선화를 노래할 거나 = 335
유배지로 가는 길
위리안치
아내에게 보낸 편지
찾아오는 제자들
「세한도」
추사의 귤중옥
수선화를 노래하며
방송
제주의 서남쪽 4 - 모슬포 : 모슬포 모진 바람은 지금도 여전하고 = 365
제주 추사관
대정읍성
삼의사비
대정향교
인성리 방사탑
육군 제1훈련소
강병대 교회
모슬포
가시리에서 돈내코까지 1 - 조랑말박물관 : 순종을 지키고 고향을 지키련다 = 397
천연기념물 347호 제주마
제주마 방목장
사려니 숲길
교래리 토종닭
가시리마을
조랑말박물관
가시리에서 돈내코까지 2 - 제주학의 선구자들 : 잊어서는 안 될 그분들을 기리며 = 429
헌마공신 김만일
재일동포 공덕비
위미 동백나무 울타리
감귤박물관
이중섭 미술관
이즈미 세이이찌
돈내코
석주명 흉상
지명 찾아보기 = 463


8권 목차



책을 펴내며 · 남한강 따라가는 와유(臥遊)를 위하여 = 4

제1부 영월 주천강과 청령포
주천강 요선정 · 주천강변의 마애불은 지금도 웃고 있는데 = 15
법흥사에서 김삿갓 묘까지 · 시시비비 시시비(是是非非是是非) = 39
청령포와 단종 장릉 · 고운 님 여의옵고 울어 밤길 예놋다 = 69

제2부 충주호반: 제천 · 단양 · 충주
청풍 한벽루 · 누각 하나 있음에 청풍이 살아 있다 = 105
단양8경 · 단양의 명성은 변함없이 이어질 것이다 = 141
구단양에서 신단양까지 · 시와 그림이 있어 단양은 더욱 아련하네 = 183
영춘 온달산성과 죽령 옛길 · 강마을 정취가 그리우면 영춘가도를 가시오 = 217
제천 의림지에서 충주 목계나루까지 · 산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 261
충주 가흥창에서 탄금대까지 · 석양의 남한강은 그렇게 흘러가고 있었다 = 301

제3부 남한강변의 폐사지
원주 거돈사터 · 법천사터와 충주 청룡사터 · 마음이 울적하거든 폐사지로 떠나라 = 341
원주 흥법사터와 여주 고달사터 · 돌거북이 모습이 이렇게 달랐단 말인가 = 381
여주 신륵사 · 절집에 봄꽃 만발하니 강물도 붉어지고 = 417

부록 · 답사 일정표 = 445




9권 목차


책을 펴내며 = 4
제1부 종묘
종묘 : 종묘 예찬 = 15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건축가 승효상의 고백
프랭크 게리
종묘와 사직
영녕전
공신당과 칠사당
종묘 제례 :「보태평」과「정대업」은 영원하리라 = 53
『국조오례의』
「보태평」과「정대업」
세종대왕의 절대음감
종묘제례
이건용의「전폐희문」
향대청과 재궁
전사청
정전, 영녕전, 악공청
신도
제2부 창덕궁
돈화문에서 인정전까지 : 인간적 체취가 살아 있는 궁궐 = 95
궁궐의 도시, 서울
5대 궁궐
경복궁과 창덕궁
「동궐도」
돈화문
내병조와 '찬수개화'
금천교
인정전
'검이불루 화이불치'
선정전과 희정당 : 조선 건축의 모든 것이 창덕궁에 있다 = 129
창덕궁의 구조
내전의 파사드
빈청과 어차고
선정전
유교 이데올로기와 경연
희정당
선기옥형과 하월지
창덕궁 대화재와 복구
내전 벽화 프로젝트
대조전과 성정각 : 조선의 왕과 왕자들은 이렇게 살았다 = 161
대조전
경훈각 뒷간
대조전 화계
중희당
성정각
희우루
관물헌
승화루 서목
낙선재 : 문예군주 헌종과 이왕가의 여인들 = 189
헌종
낙선재
『보소당 인존과』낙선재의 현판
허련과 헌종의 만남
낙선재 뒤란
이왕가의 여인들
이구와 줄리아
제3부 창덕궁 후원
부용정 : 자연을 경영하는 우리나라 정원의 백미 = 215
자연과 정원
창덕궁 호랑이
부용지 진입로
사정기비각
영화당
부용정
다산 정약용
규장각 주합루 : 임금과 신하가 하나가 되던 궁궐의 후원 = 239
어수문
취병 울타리
정조와 규장각
서호수와『규장총목』
차비대령화원
단원 김홍도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표암 강세황
애련정과 연경당 : 풍광의 즐거움만이라면 나는 이를 취하지 않겠노라 = 261
불로문
숙종의 애련정 기문
의두합과 기오헌
효명세자와「의두합 상량문」
어수당
연경당
「춘앵전」
존덕정과 옥류천 : 만천명월(萬川明月) 주인옹은 말한다 = 291
후원 정자의 모습과 특징
관람지
관람정
존덕정
만천명월주인옹
옥류천 유상곡수
조선의 마지막 재궁
수령 700년 향나무
제4부 창경궁
외조와 치조 : 영조대왕의 꿈과 한이 서린 궁궐 = 325
창경궁 조망
명정전
창경궁의 역사
홍화문과 영조의 균역법
옥천교와 주자소
문정전과 숭문당
사도세자와 정조
내전 : 전각에 서려 있는 그 많은 궁중비사 = 359
함인정
환경전
소현세자
경춘전과 정조ㆍ순조의 기문
통명전
인현왕후와 장희빈
양화당과 내명부의 여인들
영춘헌과 집복헌
창경궁에서 창경원으로 : 춘당지 연못에는 원앙이 날아든다 = 389
자경전
혜경궁과『한중록』
풍기대
앙부일구
성종 태실
명나라 석탑과 식물원
춘당대 관덕정


10권 목차


책을 펴내며 = 4
제1부 서울 한양도성
한양도성의 건설 : 한양에 도읍을 정하기까지의 긴 여정 = 15
「한양도성도」와 「경조도」
서울의 랜드마크
이방인의 한양 예찬
무학대사 전설
신도읍을 위한 자리 물색
한양 신도읍의 건설
한양도성의 건설
한양도성 완성
한양도성의 변천 : 한양도성 순성길이 다시 열렸다 = 47
'서울성곽'에서 '서울 한양도성'으로
도성과 산성
한양도성 순성길
도성의 철거와 복원
북악산 개방 이야기
숙정문
제2부 자문밖
탕춘대와 홍지문 : 조선시대 군사구역, 자문밖 = 87
자문밖
창의문
장의사 당간지주
조지서 터
연산군의 탕춘대
탕춘대성
홍지문
오간수문
세검정과 석파정 : 유주학선 무주학불 = 117
홍제천의 개나리
총융청터
세검정
세초연과 차일암
손재형과 석파랑
흥선대원군의 석파정
석파의 난초 그림
부암동의 별서들 : 한양의 옛 향기가 오히려 여기 있네 = 153
부암동 산책길
무계원
이병직의 오진암
안평대군
몽유도원도
현진건 집
윤웅렬 별서
백석동천
제3부 덕수궁과 그 외연
덕수궁 전사(前史) : 시청 앞 광장은 이렇게 변해왔다 = 195
궁궐 공원인 덕수궁
신덕왕후의 정릉
흥천사
3층 사리전의 역사
태평관
흥천사 범종
신기전
경운궁ㆍ인경궁ㆍ경희궁 : 선조, 인목대비, 광해군의 역사 단막극 = 225
덕수궁의 유래
월산대군
선조의 행궁
석어당과 즉조당
『계축일기』
광해군과 궁궐
아관파천과 경운궁
덕수궁 : 대한제국의 '구본신참(舊本新參)' 법궁 = 259
대한문
환구단
함녕전
정관헌
석조전
중명전
제4부 동관왕묘
동관왕묘의 역사 : 관왕묘의 기구한 역사 = 307
동묘
남관왕묘
동관왕묘
숙조ㆍ영조ㆍ정조의 동관왕묘 참배
고종시대 관왕 숭배
성주ㆍ안동ㆍ남원의 관왕묘
고금도 충무사
동관왕묘와 그 주변 : 관왕묘의 부활과 도시 재생을 위하여 = 339
동관왕묘 앞 벼룩시장
6070 홍대 앞
동관왕묘의 건축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이간수문
박수근 살던 집
백남준 살던 집
제5부 성균관
성균관 : 장래의 선비를 소홀하게 대접할 수는 없다 = 377
은행나무
조선시대의 교육
성균관의 공간 배치
성균관의 부속 건물들
명륜당
동재와 서재
명륜당 :「반중잡영」, 혹은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들 = 409
숭교방
「반중잡영」
동재와 서재
진사식당
성균관 유생들의 생활 풍속도
성균관 사람들 이야기
대성전과 탕평비 : 천리마 꼬리를 잡고 가는 파리도 천리를 간다 = 445
외삼문
대성전
동무와 서무
동국 18현의 문묘 배향 과정
전사청
석전대제
문묘제례악
탕평비


11권 목차


책을 펴내며 = 4
북악산 : 서울의 주산, 그 오랜 금단의 땅 = 12
서울의 주산, 북악산
백악사
회맹단
육상궁
육상궁에서 칠궁으로
칠궁의 냉천정
칠궁 안의 다섯 사당
경무대의 융문당과 융무당
친경전 팔도배미와 영빈관
경무대에서 청와대로
대통령 관저
상춘재와 녹지원
침류각
오운정
석조여래좌상 '미남불'
천하제일복지 암각 글씨
서촌 : 내 어린 시절 서촌 이야기 = 59
서울토박이
서촌
서촌 효자로
어린 시절의 기억
통의동
백송나무, 창의궁, 월성위궁
자하문로
형제상회와 통인시장
자교교회와 자수교
신교와 국립서울맹학교ㆍ농학교
청운초등학교 시절
청풍계
청송당, 대은암, 도화동
유란동의 겸재 정선
백운동
인왕산 : 인왕산 계곡의 옛 모습을 복원하며 = 103
세종마루 정자와 오거리
수성동으로 가는 길
수성동
치마바위
병풍바위의 글씨
옥류동
겸재의〈삼승정도〉
옥인동의 여러 궁들
인곡정사와 육청헌
천수경의 송석원
윤덕영의 벽수산장
언커크(UNCURK)
벽수산장과 박노수미술관
세종마루 정자에서
이상과 구본웅
필운대
필운대 풍류
내 가슴속의 인왕산
북촌 : 북촌 만보(漫步) = 151
북촌 8경
재동 백송
박규수 대감 집터
갑신정변과 이곳의 변화
재동초등학교와 교동초등학교
『조선중앙일보』와 여운형
백인제 가옥
백인제의 백병원과 출판사 수선사
가회동성당
현상윤 집터
취운정 터와 유길준의『서유견문』
맹현의 맹사성 집터
「북촌 : 열한 집의 오래된 기억」의 맹현댁
개량형 한옥의 등장
가회동 31번지
건축왕 정세권
인사동 1 고서점 거리의 책방비화 = 201
인사동이라는 곳
일제강점기 인사동의 탄생
태화관과 기미독립선언서
출판사와 서점의 등장
백두용과 전형필의 한남서림
이겸로의 통문관
해방공간과 한국전쟁 후 인사동 서점
1960년대의 인사동 고서점
고서점과 헌책방
인사동 서점의 단골손님들
나와 통문관
인사동 2 민예사랑과 현대미술의 거리 = 235
인사동의 미래유산
통인가게 이야기
인사동의 고미술상과 민예품 가게
아자방, 고금당, 시산방
화랑가의 형성과 현대화랑
명동화랑 김문호
전시회 풍년
1970년대 인사동의 묵향
미술 붐 시대의 화랑가
금당 살인 사건
1980년대 대여 전시장의 등장
'그림마당 민'의 탄생
오늘날의 인사동 화랑가
인사동 3 인사동을 사랑한 사람들 = 271
인사동길 북쪽의 르네쌍스 음악감상실
문화방송 사옥과 민정당사
인사동의 한정식집
인사동의 오래된 밥집
부산식당
천상병 시인과 찻집 귀천
문인들의 인사동 진출
카페 평화만들기
낙서, 이용악의「그리움」
카페 소설
인사동 밤안개, 여운
김욱과 조문호의 증언
쌈지길의 등장
인사동 만가
북한산 : 북한산과 진흥왕 순수비 = 311
북한산
북한산성의 문화유적
북한산의 사찰들
승가사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추사 김정희의 진흥왕 순수비 재발견 과정
추사 김정희의「진흥이비고」
황초령비와 마운령비
김노경 일행의『삼각산 기행시축』
진흥왕 순수비 복제비 제작
사라진 비석 지붕돌을 찾아라


12권 목차


책을 펴내며 = 4
성북동 1 성저십리 마전골의 북둔도화 = 13
서울 성북동
성저십리
선잠단
성북둔의 설치
성북동 주민의 마전과 메주
북둔도화의 복사꽃 마을
채제공의 성북동 유람기
성북동의 별서들
'성락원'에서 '서울 성북동 별서'로
춘파 황윤명
의친왕 이강의 별서로
1930년대 '성북의 향기'
성북동 문인촌의 형성
성북동 2『문장』과 '호고일당'의 동네 = 53
성북동 문인촌의 형성
이태준의 수연산방
이태준의 상고 취미
성장소설「사상의 월야」
이태준의 문학세계
「만주기행」
배정국의 승설암
인곡 배정국의 삶
호고일당의 분원 답사
해방공간의 백양당 출판사
근원의 노시산방
『근원 김용준 전집』에 부쳐
김용준의 그림과 수필
『문장』전26호
성북동 3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99
노시산방에서 수향산방으로
수화 김환기의 백자 사랑
김향안, 또는 변동림 여사
대사관로와 '꿩의 바다'의 대저택들
우리옛돌박물관과 한국가구박물관
김자야와 백석의 사랑
대원각에서 길상사로
조지훈의 방우산장
조지훈 시, 윤이상 작곡「고풍의상」
최순우 옛집
박태원의 고현학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김광섭의「성북동 비둘기」
선정릉 : '범릉적'에게 도굴된 비운의 왕릉 = 151
선정릉이라는 왕릉
조선시대 왕릉의 유형
왕릉 호칭의 제안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왕릉의 축조 과정
성종대왕 선릉 홍살문과 진입 공간
정자각과 제향 공간
선릉의 능침
왕릉의 문신석과 무신석
정현왕후의 능
중종대왕 정릉
왜적들의 선정릉 도굴
범릉적을 잡아 보내라
탐적사와 쇄환사
조선통신사의 길
봉은사 : 절집의 큰 자산은 노스님과 노목 = 193
강남의 절집, 봉은사
영암 스님의 봉은사 사수
봉은사 일주문
천왕문 또는 진여문
부도밭의 청호 스님 공덕비
견성사에서 봉은사로
문정왕후와 보우의 불교 중흥
보우 스님의 죽음에 대하여
임진왜란 이후 봉은사
봉은사 대웅전의 삼존불상
선불당
상유현의「추사방현기」
절필, 봉은사〈판전〉
법정 스님의『무소유』
겸재정선미술관과 허준박물관 :〈경교명승첩〉과『동의보감』의 현장 = 239
강서구 가양동의 두 박물관
양천현아 터가 강서구에 있는 이유
양천현아
양천향교
겸재정선미술관
진경문화체험실
겸재〈경교명승첩〉의〈양천십경도〉
한강변의 풍경과 압구정
궁산의 소악루
소악루 주인 소와 이유
공암
허가바위
허준박물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동의보감』
구암 허준의 의관 시절
『동의보감』편찬 과정
박물관 인생
망우리 별곡 1 공동묘지에서 역사문화공원으로 = 285
망우리 공동묘지
망우리 공동묘지 조성 과정
반 고흐 무덤과 위창 오세창 무덤
공동묘지에서 망우리공원으로
중랑망우공간
이태원 공동묘지 무연분묘와 유관순
시인 박인환의 묘
이중섭의 무덤
국민강령탑과 중랑전망대
설산 장덕수와 난석 박은혜의 무덤
죽산 조봉암의 무덤
아차산 보루
망우리 별곡 2 역사문화 인물들의 넋을 찾아가는 길 = 325
장례 풍습
만해 한용운의 무덤
호암 문일평의 무덤
위창 오세창의 무덤
소파 방정환의 무덤
방정환과 어린이날
국회부의장 이영준 묘
아사카와 다쿠미의 무덤
민예의 선구자, 아사카와 형제
도산 안창호와 유상규의 무덤
화가 이인성과 조각가 권진규의 무덤
송촌 지석영의 무덤
지석영 선생의 집념
시인 김상용의 묘
삼학병의 묘
노고산 천골 취장비
다시 중랑망우공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