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총론 = 13

제1부 아리랑의 전승 맥락과 문학·문화 수용과 창출 = 25

제1장 치유healing의 노래로 본 아리랑의 전승 맥락 = 26

1. 아리랑의 옛 노래, <청산별곡>의 애원성 = 26
2. 황현의 신성염곡新聲艶曲 염정의 노래와 불안의 치유 = 29
3. 헐버트가 들은 아리랑 한민족의 생명과 풍류의 노래 = 32
4. 나운규의 아리랑 민족 감정의 양가성과 호소력 = 37
5. 정선아리랑의 정한과 공감 = 43
6. 밀양아리랑의 흥과 신명, 그 치유성 = 45
7. 진도아리랑의 토리와 사설의 혼종성 = 49
8. 해외 한민족의 아리랑 민족성과 생명성의 자각 = 52

제2장 밀양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 = 58

1. 들머리 = 58
2. 밀양아리랑의 현대시 수용과 시적 형상화의 문제 = 64
3. 밀양아리랑의 현대소설 수용과 서사 담론 = 86
4. 밀양아리랑 관련 현대수필의 담론 양상 = 92
5. 밀양아리랑의 대중가요 수용과 호소력 = 95
6. 마무리 = 104

제3장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과 공감의 시학 = 108

1. 들머리 = 108
2. 정선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양상 = 111
3. 정선아리랑의 현대시 수용과 공감의 거리 = 115
4. 정선아리랑의 예술문화, 특히 대중음악의 수용 양상 = 125
5. 마무리 = 138

제4장 동래아리랑의 전승 맥락과 정체성 문제 = 143

1. 동래아리랑의 발굴과 복원, 그리고 쟁점 = 143
2. 동래아리랑의 전승 여부와 정체성 문제 = 149
3. 동래아리랑의 가사 복원과 의미 해석의 맥락 = 156
4. 동래아리랑의 구비전승 맥락과 문학적 성격 = 159
5. 마무리 = 166

제5장 부산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과 문학의 수용 국면 = 168

1. 들머리 = 168
2. 부산지역 민요 조사의 경과와 아리랑의 전승 양상 = 170
3. 신민요와 유행가로 부른 부산지역 아리랑 = 190
4. 아리랑의 부산지역 문학 수용 양상 = 195
5. 아리랑의 부산지역 공연예술 수용과 확산 = 198
6. 마무리 = 203

제6장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시의 아리랑 수용과 담론 양상 = 206

1. 들머리 = 206
2. 재중 한인 아리랑 시의 전개과정과 양상 = 210
3. 재중 한인 아리랑 시의 담론 양상 = 216
4. 마무리 = 240

제2부 지역 민요의 생태와 문화지리 = 243

제1장 <모심기 노래>에 나타난 생태학적 사유와 상상력 = 244

1. 머리말 = 244
2. 자연 본위의 사유와 상상력 = 248
3. 순환론적 생태관과 상상력 = 252
4. 자연과의 교감과 공존 지향 = 260
5. 마무리 = 266

제2장 <범벅타령>의 전승 양상과 담론 특성 = 268

1. 머리말 = 268
2. <범벅타령>의 전승 과정과 유형 = 270
3. 서사민요 <범벅타령>의 담론 성격 = 287
4. 마무리 = 292

제3장 함양지역 <범벅타령>의 문화지리학적 조명 = 294
-‘바람난 춘향’ 서사의 <범벅타령>을 중심으로

1. 들머리 = 294
2. 함양지역 <범벅타령>의 담론 성격 = 298
3. 함양지역 <범벅타령>의 문화지리학적 해석 = 308
4. 결론 = 318

참고문헌 = 321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