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 당신 언어의 레벨이 당신 인생의 레벨이다 = 11

Part 1. 생각의 옷, 개념의 집

1. 당신이 사용하는 언어가 곧 당신이다 = 25
삶의 얼룩과 무늬, 언어의 비늘이 되다
용접공의 세계에 불시착한 고시언어
언어는 생각의 옷이다

2. 오해하지 않고 이해하는 법 = 37
나만의 주체적인 언어가 있는가?
“모든 편견은 내장에서 나온다.”

3. 깊이 읽어야 생각도 깊어진다 = 53
지성의 폐활량
새로운 문제는 새로운 언어로 해결된다
뇌에 ‘지성적 읽기 회로’를 만드는 법
연결시켜 생각하는 ‘깊이 읽기’
읽기는 결국 쓰기로 완성된다
[박용후의 퍼스펙티브] 언어는 인생입니다

4. 대충 보니까 대충 생각할 수밖에 = 79
나는 산만하고 너는 바쁜 세상이다
‘F자형 읽기’는 리딩이 아니라 스캐닝
사색의 종말

5. 책의 길이, 사유의 길이 = 91
회백질이 줄어든 팝콘 브레인
검색능력과 사색능력의 반비례

6. 피가 부족하면 빈혈, 언어가 부족하면 빈어 = 107
‘한자’ 모르면 어휘력도 한심

7. 왜 언어를 디자인해야 하는가? = 119
뭔가 다른 사람은 사용하는 언어부터 남다르다
내가 아는 언어만큼 내 세계가 열린다
언어적 관성에서 벗어나기

8. 개념 없이 살면 안 되는 이유 = 131
개념이라는 렌즈를 바꿔야 내가 보는 세상이 바뀐다
해상도 높은 언어를 가졌는가?
언어의 속뜻을 공유할 때 공동의 집도 굳건해진다
개념이 부족한데 좋은 어른이 될 수 있을까?

Part 2. 죽기 전에 만들어야 할 7가지 개념사전

9. “이 사전 하나가 세상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 149
다른 언어를 갖는 게 중요하다
한 단어, 한 단어 쌓아 한 권의 책을 만드는 일
세상은 누가 해석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10. 신념을 구체적으로 담아라 : 신념사전 = 165
하루에 3개씩 나만의 정의를 써보자
언어를 경작하는 개념의 텃밭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11. 세상에 없는 나만의 관점을 가져라 : 관점사전 = 179
먼저 나는 누구인가를 재정의하라
단어는 욕망을 나르는 매개체
흐름을 바꾸는 사람들의 공통점
작가들의 통찰과 광고 카피의 재치를 훔쳐라
단어 뒤집기는 생각의 물구나무서기
[박용후의 퍼스펙티브] ‘같은 것을 다르게’ 보는 능력, 어떻게 기를까?

12. 창의는 연결이다 : 연상사전 = 201
철판과 보름달
‘시간의 점’은 체험의 총량
보통명사가 고유명사로 바뀌는 순간
세상에 없는 나만의 작품을 팜
내가 본 것까지만 내 세상이다

13. 머리가 아닌 몸이 느낀 마음 : 감성사전 = 221
나만의 한(恨)국어 사전
앎과 삶이 일치되는 정서사전
역지사지+측은지심=시

14. 본질을 파고드는 사유 : 은유사전 = 233
관계없는 두 단어 연결하기
메타포는 배움의 대포

15. 단어의 뿌리를 찾아가는 여행 : 어원사전 = 243
파자한 한자 속에 인생의 의미가
최고의 역사, 문화, 교양단련법
단어를 쪼개야 숨은 의미가 보인다

16. 핵심가치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 가치사전 = 265
삶의 딜레마를 해결해주는 5개의 별
목숨과도 바꿀 수 있는 ‘마지막 단어’가 있는가
생각만 해도 설레고 기대되는, 바로 그것
[박용후의 퍼스펙티브] 그에게 중요한 단어가 곧 그의 인생 아닐까요?

17. 언어는 세상을 편파적으로 바라보는 콩깍지다 = 283
사이 전문가, 호모 디페랑스
그랜드 피아노를 집 안에 들여놓고 싶다면

18. 틀에 박힌 나를 틀 밖으로 끄집어내는 법 = 297
아이러니 찾기와 유머를 활용하라
하나의 단어를 붙잡으면 하나의 우주가 열린다
가로지르기와 세로 지르기의 공부
농담과 진담 사이, 상담이 필요하다

에필로그_ 벼리고 벼린 칼로 존재의 집을 뜯어고칠 때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