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부 들어가며
1.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2. 한국문화 연구 성과
3. 한국문화 연구 방법

2부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과 교수·학습이론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1) 한국어 문화 교육
(2) 한국문화의 유형

2.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수·학습이론
(1) 교수·학습이론의 변화
(2) 문화 교육 수업모형

3부 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1. 1920년대 「운수 좋은 날」 교육 방안
(1) 일제강점기와 궁핍한 삶
(2) 새침하게 흐린 수도, 경성
(3) 권위주의와 남성성
(4) 수업의 실제

2. 1950년대 「숨 쉬는 영정」 교육 방안
(1) 한국전쟁과 이산가족의 아픔
(2) 전쟁이 앗아간 고향, 사리원
(3) 충효주의와 충성성
(4) 수업의 실제

3. 1980년대 「원미동 사람들-일용할 양식」 교육 방안
(1) 산업화 시대 소시민의 애환
(2) 멀고 아름다운 동네, 원미동
(3) 집단주의와 물신성
(4) 수업의 실제

4부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