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부 한국어 교재론 개괄

1장 교재의 범위와 기능 = 17
1. 교재의 정의 및 범위 = 17
1.1. 교재론이란 = 17
1.2. 교재의 정의 = 18
1.3. 교재의 종류 = 20
2. 교재의 기능 = 21
2.1. 교육과정에서의 교재 = 21
2.2. 교재의 기능과 역할 = 23
2.3. 교재의 윤리성 = 26
3. 교재와 학습, 학습자, 교사 = 28
3.1. 교재와 학습 = 28
3.2. 교재와 학습자 = 29
3.3. 교재와 교사 = 34

2장 언어 교수 이론과 교재 = 37
1. 교재와 언어 습득 연구 = 37
2. 국외 교재 연구 = 43
2.1. 교재의 저작 및 개발에 대한 연구 = 44
2.2. 교재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연구 = 46
2.3. 교재의 사용에 대한 연구 = 47
2.4. 교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 = 48
3. 국내 교재 개발 및 연구 = 50
3.1. 한국어 교재 개발 = 50
3.2. 한국어 교재 연구 = 53

II부 교육과정과 교재
3장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 59
1. 교육과정 확인 = 59
1.1.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 59
1.2. 교육과정 개발 절차 = 60
2. 교수요목의 유형 = 61
2.1. 교수요목의 구성 요소 = 61
2.2. 교수요목 유형 = 63
2.3. 교수요목 설계의 원리 = 75

4장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1. 요구 분석의 개념 = 80
2. 요구 분석의 방법 = 80
3. 요구 분석의 절차 = 83
4. 설문지 설계 시 유의 사항 = 87
5. 상황 분석 = 88
5.1. 상황 분석의 개념 = 94
5.2. 상황 분석의 절차 = 94

5장 교재 평가와 교재 선정
1. 교재 분석과 교재 평가 = 105
1.1. 교재 분석 = 105
1.2. 교재 평가 = 105
2. 교재 평가의 원리와 유형 = 109
2.1. 교재 평가의 원리 = 109
3. 교재 선정을 위한 교재 평가 = 113

III부 교재 분석의 원리와 실제
6장 영역별 한국어 교재
1. 한국어 자모 및 발음 교재 = 127
1.1. 발음 교육의 목표 및 교재 개발의 원리 = 127
1.2. 한국어 자모 교재 = 130
1.3. 발음 교재 = 134
2. 어휘 교재 = 137
2.1. 어휘 교육의 목표 및 교재 개발의 원리 = 137
2.2. 교재에서의 어휘 구현 내용 = 144
2.3. 어휘 교재의 유형 = 146
3. 문법 교재 = 146
3.1. 문법 교육의 목표 및 교재 개발의 원리 = 146
3.2. 교재에서의 문법 구현 내용 = 149
3.3. 문법 교재의 유형 = 159
4. 문화 교재 = 161
4.1. 문화 교육의 목표 및 문화 교재 개발의 원리 = 161
4.2. 문화 교재의 유형 및 특징 = 163

제7장 기능별 한국어 교재 = 170
1. 기능의 통합 여부에 따른 교재의 유형 = 170
1.1. 기능 통합형 교재 = 170
1.2. 부분 통합형 교재 = 173
1.3. 기능 분리형 교재 = 174
2. 기능별 교재의 개발 방향 = 176
2.1. 말하기 교재 = 176
2.2. 듣기 교재 = 179
2.3. 읽기 교재 = 184
2.4. 쓰기 교재 = 189

8장 학습 목적 및 대상별 한국어 교재 = 194
1. 학습자 집단과 교육 목표 = 194
2. 일반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 = 195
3.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 = 197
4. KSL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재 = 199
5. 직업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 = 203
6. 결혼 이민자를 위한 교재 = 205
7. 재외동포 교재 = 208

9장 매체별 한국어 교재 = 211
1. 시각 매체를 활용한 교재 = 211
2. 청각 매체를 활용한 교재 = 215
3. 시청각 매체를 활용한 교재 = 218
4. 상호작용 매체를 활용한 교재 = 222
4.1. 웹 기반 교재 = 222
4.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222
4.3. 디지털 교재 = 230

제10장 보조 교재 = 233
1. 교사용 지침서 = 233
1.1. 교사용 지침서의 개념과 역할 = 233
1.2. 교사용 지침서의 개발 원리 = 234
1.3. 교사용 지침서의 구성 및 내용 = 238
2. 학습자용 익힘책 = 248
2.1. 익힘책의 개념과 역할 = 248
2.2. 학습자용 익힘책의 개발 원리 = 249
2.3. 주교재와 익힘책의 관련성과 차별성 = 251

IV부 교재의 개발과 개발
11장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 259
1. 교육 내용 선정 및 배열 = 263
2. 단원 구성 및 모형 설계 = 265
2.1. 단원의 개념과 구성 원리 = 263
2.2. 단원 구성 모형 설계 = 265
2.3. 집필 = 271
3. 시험 사용 및 피드백, 수정 = 278
4. 후속 작업 = 280
4.1. 교재의 뒤붙이 정리 = 280
4.2. 음성 자료 녹음 = 281

12장 교재의 개작 = 283
1. 교재 개작의 필요성 = 283
2. 교재 개작의 원리 = 284
3. 교재 개작의 과정 = 286
4. 교재 개작 방법 = 287

13장 교재 출판과 저작권 = 300
1. 교재 출판의 과정 = 300
2. 편집과 교정 = 300
2.1. 디자인과 편집 = 302
2.2. 삽화 = 307
2.3. 교정 = 312
3. 저작권과 출판 윤리 = 315
3.1. 타인의 저작권 침해와 표절 = 315
3.2. 저작권과 출판권 = 318

참고문헌 = 320
찾아보기 =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