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축사 = 5
발간사 = 7
서문 = 9

1부 공공 언어의 지형도 확장
01장 2019-2020년 ‘사람’ 신어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특성 = 19
1. 신어에 대한 다양한 관심 = 19
2. 사람 관련 신어에 대한 유형 분류 = 21
3. 분야별 신어의 사회문화적 특성 = 24
4. 신어가 보여주는 한국 사회의 모습 = 44

02장 옥스퍼드 사전에 등재된 한국어 어휘의 분석 = 47
1. ‘파이팅’과 OED = 47
2. 옥스퍼드 영어사전 소개 = 48
3. 옥스퍼드 영어사전 등재 한국어 어휘의 형태 분석 = 51
4. 옥스퍼드 영어사전 등재 한국어 어휘의 의미 분석 = 56
5. 한국어 어휘 교육 = 65

03장 이날치 밴드의 「수궁가」를 통해 본 한국 문화코드로서의 동물상징 확산 현상 연구 = 69
1. 「수궁가」의 신선한 신드롬 = 69
2. 신수(神獸)로서 대상화 = 72
3. 도상과 이야기에 나타난 동물상징의 문화코드 = 80
4. 복제되는 동물상징을 통한 전통문화의 확산 = 93
5. 동물상징으로 연결되는 시공(時空)의 문화정체성 = 98

04장 지자체 홈페이지에 나타난 칭찬의 언어 = 103
1. 일상이 된 비대면 소통 시대의 비대면 칭찬 = 103
2. 칭찬의 대상과 전략적인 칭찬의 중요성 = 105
3. 칭찬의 기본이 되는 전략 = 107
4. 칭찬의 효과를 높이는 전략 = 113
5. 정서 충족을 위한 칭찬 = 121

05장 리메이크 영화와 드라마 속 한·미 남녀 발화의 비교문화적 화행 연구 = 127
1. 한국어 의문문의 지시화행 = 127
2. 리메이크 작품과 비교문화연구 = 129
3. 한·미 대조 분석 = 136
4. 상이한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한 한·미 남녀의 발화 = 155

2부 공적 리터러시의 진화
06장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문화 다양성 반영 사례 연구 = 163
1. 한국어 교재와 문화 다양성 = 163
2. 교재 특성과 교재 개발 과정 = 165
3. 문화 다양성의 개념과 요소 = 170
4. 문화 다양성 반영 사례 = 175
5. 문화 다양성 반영에 대한 반성과 제언 = 183

07장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경조사 어휘장 구축에 관한 연구 = 187
1. 원활한 소통, 그 방안을 모색하다 = 187
2. 경조사 연구의 범위 = 190
3.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경조사 어휘 목록 분석 = 197
4. 의례문화별 경조사 어휘장 구축 = 207
5. 경조사 어휘장의 구축에 대해서 = 211

08장 유튜브 방송과 독서의 융합 방안 = 215
1.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 독서 = 215
2. 미디어와 독서의 융합에 관한 다양한 시도와 담론들 = 216
3.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현황 = 218
4. 아동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특성 = 222
5. 유튜브 방송과 아동 독서의 융합 방안 = 234

09장 1950년대 ‘글 쓰는 여성’의 문화적 의미 연구 = 241
1. 여성작가(The Women Writer)와 글 쓰는 여성(Writing Women) = 241
2. 여성지의 성장과 글 쓰는 여성의 증가 = 243
3. 소설쓰기를 통한 자기정체성의 구성 = 247
4. 아마추어 작가의 글쓰기 = 253
5. ‘글 쓰는 여성’의 의미 = 256

10장 제도의 문체와 지식인의 글쓰기 = 259
1. 관리선발제도와 제도의 문체 = 259
2. 과거제도와 팔고취사제 = 262
3. 팔고문의 사례 분석 = 269
4. 제도와 문풍의 상관성 = 281
5. 제도와 지식인의 상관성 = 287
6. 비판과 소멸 = 290

3부 공적 리터러시와 융합적 실천
11장 성숙한 민주시민으로서의 변혁적 역량 신장을 위한 사이버 의사소통 교육 방안 모색 = 297
1. 성숙한 민주시민의 자질로서 변혁적 역량의 개념 = 297
2. 사이버 의사소통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 301
3. 공론화된 논의에 관한 사이버 의사소통 양상 = 306
4. 사이버 의사소통 교육 방안 = 319

12장 웹드라마 <오피스워치 시즌1>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 325
1. 한류와 뉴미디어 시대, 교육 자료로서의 웹드라마 = 325
2. 한국어교육에서의 웹드라마 활용에 대한 고찰 = 326
3. <오피스워치 시즌1>에서 도출할 수 있는 문화 및 화용 요소 = 327
4. <오피스워치 시즌1>을 활용한 문화 및 화용 교육 방안 = 346
5. 교육 현장 적용을 위한 제언 = 354

13장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과 설화 교육 실행 = 357
1. 설화를 활용한 문화적 문식력 교육의 의의 = 357
2. 실행 연구의 개념과 특징 = 358
3. 실행 연구의 대상과 방법 = 361
4. 설화 교육 실행 연구 과정과 결과 = 364
5.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육 실행 연구의 결과 = 381

14장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하브루타 기반 언어문화 교육 = 385
1.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언어문화 교육 = 385
2.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속담과 관용어 = 389
3. 하브루타 기반 언어문화 교육방안 = 391
4. 하브루타 기반 언어문화 교육방안의 의의 = 399

15장 하이브리드 러닝과 해외 학습자 대상 비대면 「한국어교육실습」 = 403
1. 비대면 시대, 「한국어교육실습」의 기회 = 403
2. 하이브리드 러닝 「한국어교육실습」 설계 = 404
3. 비대면 해외 강의실습 운영 사례 = 406
4. 비대면 해외 강의실습 운영 결과 = 411
5. 정리하기: 「한국어교육실습」과 비대면 교육의 미래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