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구술사 아카이브의 시작과 끝 : 기획

◆ 구술사 프로젝트 기획 : 왜, 어떻게 / 정혜경
1. 구술사 프로젝트 기획의 방향 = 17
2. 구술사 프로젝트 기획, 어떻게 할 것인가 = 22

◆ 구술기록 수집기관별 기획 및 수집 / 김지수
1. 들어가며 = 47
2. 기관별 구술사 프로젝트 = 49
3. 기관별 사례를 통한 제언 = 87

제2부 디지털 아카이빙 : 수집하기

◆ 구술기록 수집방안 : 달걀 바구니 만들기 / 정혜경
1. 구술기록관리 단계별 프로세스 = 99
2. 수집 단계별 이해 = 101

◆ 구술 영상 기록 만들기 / 조용성
1.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구술 영상의 등장 = 175
2. 구술기록 생산 장비 = 178
3. 구술 영상촬영의 실제 = 185

제3부 기획·수집 : 따라하기

◆ 재미한인 역사 만들기 / 김선정
1. 재미한인 역사 만들기를 시작하며 = 205
2. 첫 번째로 한 일: 개설적인 글쓰기 = 209
3. 두 번째로 한 일: 구술사 연구 실행계획안 만들기 = 210
4. 세 번째로 한 일: 인터뷰하기 = 220
5. 네 번째로 한 일: 구술사 인터뷰 실행보고서 만들기 = 220
6. 재미한인 역사 만들기를 마치며 = 231

◆ 예술사 구술채록 사업 이야기 / 이호신
1. 여는 말 = 233
2. 예술사구술채록사업의 추진 배경과 목적 = 235
3. 기획과 추진 방법의 변천과정 = 239
4. 결과물의 활용 = 274
5. 닫는 말 = 280

제4부 부록

부록1 : 구술자료 양식 = 285
부록2 : 사업진행 서류 양식 = 317
부록3 : 체크 리스트 = 325


제1부 구술 아카이브 구축 방안

◆ 구술사 자료 정리와 자료화 _김선정
1. 면담일지 (면담후기, 연구일지…) 작성 = 20
2. 녹음, 녹화자료 정리 = 22
3. 구술자/면담자 신상기록부작성 = 23
4. 상세목록 작성 = 24
5. 녹취문 작성 = 26
6. 개인정보·민감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자료활용 및 공개동의서 작성 = 29
7. 구술자료개요 작성 = 33

◆구술 아카이브 구축 방안 : 경험과 기억의 블록 쌓기 _권미현
1. 구술 아카이브 구축 : 필요충분조건 = 35
1) 디지털 환경과 구술기록 = 40
2) 디지털 아카이브와 아카이빙 이해하기 = 45
2. 구술 아카이브 구축하기 : 준비 단계 = 53
1) 인프라 구축 : ‘새 술’을 담을 ‘새 부대’ = 53
2) 구술기록 입수 = 57
3) 구술기록 등록 = 59
3. 구술 아카이브 구축하기 : 조직화 단계 = 61
1) 구술기록 정리, 분류 = 63
2) 구술기록 기술 = 72
4. 구술 아카이브 구축하기 : 보존과 활용 단계 = 89
1) 구술기록 보존 = 89
2) 구술기록 활용 = 98

◆현대한국구술자료관 조감·망 : 배경, 목적, 운영, 자료관리와 활용, 전망 _김선정
1. 현대한국구술사 연구사업 = 107
2.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개괄 = 108
1) 목적과 사업내용 = 108
2) 조직과 운영 = 109
3.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술자료 아카이빙 및 온라인서비스 = 111
1) 현대한국구술자료관 조감 = 111
2) 구술자료 수집 과정 = 112
3) 구술자료 결과물 = 113
4) 구술자료 관리 : 관리시스템 = 114
5) 구술자료 활용 :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 120
4. 계획과 전망 = 122

제2부 구술 아카이브 활용

◆구술 아카이브 구축의 마무리 : 활용 _정혜경
1. 구술아카이브 구축과 활용 = 125
2. 목적에 따른 활용 방안 = 130
1) 구술사 연구를 위한 활용 방안 = 130
2) 일반 대중을 위한 활용방안 = 132

◆구술자료 수집과 활용의 윤리적, 법적 문제 _이호신
1. 여는 말 = 157
2. 윤리적 문제 = 160
3. 인격권의 문제 = 167
1) 프라이버시 침해 = 169
2) 명예훼손(Defamation) = 174
3) 구술자료의 수집과 활용 과정에서의 인격권 문제의 검토 = 179
4. 저작권(Copyright) = 186
1) 저작권의 개요 = 186
2) 구술자료의 저작권 = 189
5. 구술 자료의 활용을 위한 계약의 작성 = 203
6. 닫는 말 = 209

◆구술사 연구를 위한 활용방안 : 도구서와 자료집 발간 _정혜경
1. 구술기록과 도구서 : 필수 자료 = 216
2. 구술기록집(자료집) : 선택사항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