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5
프롤로그 일제 사진엽서 · 식민주의 · 문화정치학 = 16

제1장 천황 숭배 · 충량한 신민 · 내선일체

'은뢰' · '조선신궁' · 발명된 신치(神治) = 44
'조선신궁'에서 《은뢰》로 1: 사실과 환영의 교착 = 52
조선신궁에서 《은뢰》로 2: 숭경과 송찬의 문법 = 61
조선신궁의 존재론 1: '어진영'의 부재, '신비'의 세속화 = 68
조선신궁의 존재론 2: '신비'의 제도화, 국가 '귀일'의 공간 = 79
'은뢰' 아래의 식민지 조선, 그 '신광'의 이면 = 89
'은뢰'에 감싸인 식민지 조선인의 발명 = 96
조선신궁 · 총력전 · 황국신민의 길 = 107
《은뢰》의 문화정치학이 넘어서지 못한 것들 = 116

제2장 '일본어-조선어 대화'의 빛과 그늘

사진엽서 속 '일본어-조선어' 대화의 성격 = 120
'우리들'의 국가어에서 '그들'로의 제국어로 = 124
일본 여행객의 조선어에 담긴 식민주의 = 131
조선말의 모방, 식민지 일상의 기록 = 153

제3장 식민지 민족 정서의 제국화 또는 지방화

눈과 소리와 마음의 안과 밖 = 174
시와 노래, 낯섦과 친밀함의 식민주의적 재현 = 179
《조선정시》, 뒤쳐진 '생활'의 전시, 식민 정서의 낭만화 = 189
《국경정서》, 제국 여성의 애국심과 연정 = 199
정시와 신민요, 사상지도의 국민가요가 되다 = 213

제4장 잘 만들어진 '경성'의 이중 삽화

'전통의 왕도 한양 · 식민지 근대 · 식민 수도 경성 = 220
《경성소패》의 유람지: 총칼의 한양, 꽃의 경성 = 226
'화농된 전통'의 계산된 점유 또는 거리두기 = 235
'비만한 근대'의 확장, '조선적인 것'의 축소 = 245
'경성운동장' · 제국의 '학교' · 국민가요 = 256
근대 천황제의 보루, '경성'의 신사와 병영 = 270
염천과 혹한의 길바닥과 식민지의 '요보'들 = 277

제5장 잘 만들어진 평양의 '칼'과 '꽃'

'평양'을 관통한 일본의 두 총탄 = 282
전장의 평양, 일본의 승전 및 한만(韓滿) 경영의 거점 = 288
평양 고적(古蹟) 관광과 일본 승전의 기억 = 294
평양기생 · '색향의 꽃' · '단장화(斷腸花)' = 310
식민통치의 주술과 부적, 평양의 신사와 병영 = 320

제6장 금강산의 여성화, 식민지 자연의 발명

식민지와 제국이 바라본 '금강산'들 = 328
금강산 탐승(探勝)과 조 · 일 관광객의 시선 = 334
명승 금강산, 관능과 비애의 이중 공간 = 341
사진엽서 《금강산백경》과 식민지 근대성 = 353
금강산의 병영화: '소국민'에서 '충량한 신민'으로 = 370

제7장 왕도 경주, 고토의 기억 또는 폐허미

식민지 경주, 고토의 회복과 폐허의 공간 = 380
경주 관광의 기원, 일제 '관광객의 시선' = 387
《신라고적전설》(1): 설화의 역사화, 패망의 자연화 = 395
《신라고적전설》(2): 가야계 신라인과 '전선총후'의 접속 = 405
《신라고적전설》(3): 패망의 신라, 폐허의 경주 = 414
경주의 병영화: '신라정벌'의 소환, 불토(佛土)의 전장화 = 422

제8장 조선여성, 전근대적 일상과 성애의 육체성

비숍 여사가 바라본 조선여성의 초상 = 430
비숍의 글에 비춰본 사진엽서 '조선부인의 일상' = 438
'조선의 아침', 아름다움과 조용함의 어두운 이면 = 448
조선부인의 가사노동, 강요된 근면의 폭력성 = 453
즐거운 시장 보기, 불공평한 소비의 현실 = 460
여아로 태어나 '조선부인'이 된다는 것 = 466
조선부인의 취미, 잘 만들어진 쾌락의 이면 = 473
'조선부인'의 서글픈 앞 이야기 또는 끔찍한 악몽 = 483

제9장 기생의 미, 만들어진 슬픔과 웃음

식민지 조선의 '기생'이 뜻하는 것 = 500
식민지 기생, 전통의 예인 또는 근대의 매소부 = 511
'기생'의 '아리랑', '정한'과 '명랑'의 사이 = 526
기생의 연출된 삶과 보여지는 신체 = 537
기생, 내선융화로의 동원과 배제 = 551

제10장 조선남성의 일상과 노동, 그리고 유희

조선남성이라는 벌거벗은 신체와 기호 = 570
식민지의 노동, '도야지'라는 낙인 = 577
'장사꾼' 이야기, 조선남성의 비극적 숙명 = 589
조선남성의 취미, 삶의 흥취와 인격 발현의 사이 = 601
타인의 삶을 비추는 점쟁이의 숙명, 예능인의 비애 = 610

제11장 팔굉일우 · 총력전 · 군국예술로의 길

12살 조선 소년이 군가 《전우》를 노래한 까닭 = 622
국경수비: 표면의 수비와 보호, 이면의 감시와 처벌 = 630
일상으로서의 프로파간다 · 전선총후 · 군국예술 = 638
전선과 군국예술의 일상화: 황군의 윤리 = 644
'총후 여성'의 윤리: 후방의 전장화, 내선일체의 군국예술 = 650
고대 영웅의 창안 또는 만들어진 우국 정신 = 665
'국민정신총동원': 일상의 전장화, 전투의 일상화 = 672

에필로그 '일본적인 것'에 투사된 '조선적인 것'의 명암 = 678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695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 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