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_ 우리가 한국에 대해 알고 싶을 때 = 4
프롤로그_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뿌리와 내일 = 6

1장_ 한민족, 그리고 하늘과 땅

농경하는 사람들, 한민족 = 18
나라를 세운 시조 이야기, 건국신화 = 19
한반도, 이 땅에 살어리랏다 = 20
<더 알아보기> 시대별 우리 영토, 어떻게 변했을까 = 21
한반도의 등뼈, 백두대간 = 22
<더 알아보기> 우리나라를 그린 고지도들 = 23

2장_ 문자와 글에 우리 혼을 담아

쇠와 돌에 새긴 글자, 금석문 = 26
손으로 옮겨 적은 책의 가치, 필사본 = 28
나무에 글자를 새기다, 목판본 = 29
<더 알아보기> 목판 인쇄는 어떻게 했을까 = 30
다량 인쇄의 혁명, 활자 = 31
<더 알아보기>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우리 고서들 = 32
백성을 받들어 가르치는 소리, 훈민정음 = 34
<더 알아보기> 조선의 언어학자, 세종대왕 = 35
옛 언어의 향연, 고전문학 = 36
<더 알아보기>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 『홍길동전』 = 37

3장_ 나라를 세우는 뼈대

왕권을 세우고 태평성대를 꿈꾸다 = 40
나랏일의 중심지, 육조거리 = 41
왕가를 잇는 자, 종묘를 모시어라 = 42
<더 알아보기> 우리 무형문화재의 으뜸, 종묘제례악 = 44
사직단, 나라의 번창을 기원하다 = 46
입신양명의 길, 관료 = 47
문화 교류의 원류, 조선통신사 = 48
<더 알아보기> 조선 평화 외교의 기록, 통신사 행렬도 = 49

4장_ 나라의 안과 밖을 지키다

외침에 맞서다 = 54
나라를 지키는 골목, 성채 = 56
<더 알아보기> 여러 가지 성들, 다양한 축성술 = 58
효심으로 쌓은 성곽, 수원화성 = 60
조선의 군대 주둔지, 병영과 수영 = 62
세상에서 가장 힘센 철갑선, 거북선 = 63
먼 거리 싸움의 무기, 창과 활 = 64
봉수, 횃불과 연기로 변경을 지키다 = 66

5장_ 한국인의 가족과 삶

한국인의 가족과 친척 관계 = 70
귀한 자손을 얻는 법, 기자신앙 = 72
전통 성인식, 관례 = 74
<더 알아보기>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인의 일생 = 75
연지 찍고, 사모관대 차리고 = 76
은혜를 베푸는 나이, 회갑 = 78
<더 알아보기> 왕가의 통과의례는 무엇이 달랐을까 = 79
죽은 이를 보내는 예법, 상례 = 80
제례, 한민족의 조상 숭배 = 82

6장_ 옛사람들의 인재를 키우는 일

학동들의 배움터, 서당 = 86
선비들의 유일한 출세길, 과거 = 87
지방 인재들의 요람, 향교 = 88
사설 교육과 향촌 자치를 담당한 서원 = 90
조선의 국립대학, 성균관 = 92
근대교육, 독립운동을 이끌다 = 94
신체를 단련하다, 무술 무예 = 95

7장_ 옛사람들의 일과 경제

농사는 하늘의 뜻이다 = 100
<더 알아보기> 농사의 애환, 공동체 의식으로 달래다 = 104
전쟁과 식용을 위한 축산 = 105
어업의 보고, 삼면의 바다 = 106
<더 알아보기> 물고기 백과사전, 『자산어보』 = 106
연장과 기구의 장인, 대장장이 = 108
베틀 놓고 씨앗 잣고, 전통 방직 = 109
교환경제의 전문가, 보부상 = 110
투철한 상혼의 개성상인 = 112
하늘과 땅을 본뜬 상평통보 = 113
자와 되와 저울, 옛 도량형 = 114

8장_ 가마 타고 나룻배 띄우고

가마 타고 나들이하던 날 = 120
둥근 바퀴로 나아가다, 우차와 마차 = 122
한반도를 잇는 교통 통신망, 역참 = 124
파발, 중앙으로 지방으로 달리다 = 125
한강 뱃길을 이어 주는 나루터 = 126
<더 알아보기> 임금이 행차하실 땐 ‘배다리’ = 127
물 위를 떠다니던 여러 배들 = 128

9장_ 구전과 경험에서 실용의 과학으로

천문 관측의 선구, 첨성대 = 132
우리 고유의 전통 지닌 약학 = 134
‘동국인에 맞는 의술’ 한의학 = 136
<더 알아보기> 동양 의학의 보감, 『동의보감』 = 137
우리가 만든 역법서 『칠정산』 = 138
실생활에 널리 쓰인 과학 기구들 = 139
<더 알아보기> 조선의 대과학자 장영실 = 141

10장_ 자연과 어우러진 우리 건축

풍수지리로 설계한 한양도성 = 144
천년 궁궐을 짓다 = 146
<더 알아보기> 옛 국가들의 수도, 개경과 한양 = 148
불국토를 이룬 심산유곡의 사찰 = 152
<더 알아보기> 신라인이 그린 피안의 세계, 불국사 = 153
상상 속의 복원, 황룡사 구층목탑 = 154
아름다운 석탑의 나라 = 155
고승의 업적을 기리다, 부도 = 157
후세에 전하는 귀중한 사적, 비석 = 158
석등, 세상의 어둠을 밝히다 = 160
죽은 자의 안식처, 고분 = 162
오백 년 왕조의 영면, 조선 왕릉 = 164
<더 알아보기> 배산임수 터, 조선 왕릉 상설도 = 165
실용적이고 아름다운 다리 = 166
삶의 멋과 풍류, 누정 = 168

11장_ 온기가 깃드는 집, 한옥

한옥은 어떻게 지었을까 = 172
나뉜 듯 어우러지는 공간 구성 = 174
한옥의 완성, 지붕 = 176
<더 알아보기> 아름다운 지붕의 흔적들, 수막새와 치미 = 178
제주도는 바람도 많아, 돌담집 = 179
아름답고도 장엄하게, 단청 = 182
아름다운 한옥의 밀집, 한옥마을 = 183

12장_ 한식은 맛있다

한국인의 밥상 = 186
다양한 격식의 궁중 수라상 = 188
<더 알아보기> “임금이 수라를 젓수실 때” = 189
전통 명절 음식들 = 190
발효와 숙성의 미학, 김치 = 192
<더 알아보기> 한식의 맛은 ‘발효’에서 나온다 = 194
재래 부엌의 다양한 얼굴 = 196

13장_ 맵시를 입는 옷, 한복

용과 꿩을 새긴 왕가의 옷 = 200
신하의 예를 갖춘 옷, 관복 = 202
사대부의 예의는 두루마기에서부터 = 204
기능에 멋을 더하다, 관모 = 206
옛 여인들의 넉넉한 옷차림, 치마저고리 = 208
동심을 키우는 어린이 색동옷 = 210
한복의 끝 맵시, 당혜와 태사혜 = 211

14장_ 흥이 있는 우리 민속놀이

계절의 변화를 담은 풍속, 24절기 = 214
한 해의 첫날, 설날 맞이 = 215
<더 알아보기> 날아라, 우리 연 = 217
달 보며 소원 비는 대보름 = 218
마음을 밝히며 논다, 관등놀이 = 220
정겨운 단오 풍경, 씨름과 그네뛰기 = 221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큼만 = 222
놀면서 자라는 어린이 민속놀이 = 224

15장_ 나와 나라를 지키는 믿음, 한국인의 종교

일상을 지배한 사상, 유교 = 228
<더 알아보기> 삼강행실도, 충효와 부부애를 가르치다 = 229
신줏단지를 모시다, 가신신앙 = 230
‘우리 마을’을 지키는 신앙 = 232
민간의 의식을 사로잡다, 무속신앙 = 234
불교, 국난 극복에 앞장서다 = 236
<더 알아보기> 불교의 세 가지 보물 간직한 한국 3대 사찰 = 238
<더 알아보기> 춤추는 불교 의식 = 240
스스로 나라를 지키는 힘, 민족 종교 = 241
기독교가 한국에 들어오기까지 = 242
<더 알아보기> ‘서양 오랑캐’를 배척한 절두산 순교지 = 243

16장_ 한국미의 절정, 전통미술

옛 무덤 안의 그림, 고분벽화 = 246
산과 물이 어우러지다, 산수화 = 247
우리 산천 정취 그대로, 진경산수화 = 248
풍속화, 서민의 생활상을 담다/ 행복하고 익살스런 그림, 민화 = 249
<더 알아보기> 길상화에 나타난 서수와 영물, 십장생 = 250
<더 알아보기> 세련된 구성미가 돋보이는 그림, 책가도 = 251
추사체, 꾸미지 않아 맑고 독창적인 = 252
불교미술의 걸작,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254
<더 알아보기> 통일신라 조각의 신비, 석굴암 본존불과 십일면관음보살상 = 256
기능과 장식의 조화, 공예 = 258
<더 알아보기> 신라 예술은 찬란하다 = 260

17장_ 무대 위 해학과 풍류, 전통 공연예술

고요와 절제의 춤, 궁중무용 = 264
고이 접어 나빌레라, 승무 = 265
예와 악의 조화, 『악학궤범』 = 266
<더 알아보기> 향피리에서 편경까지, 갖가지 재료의 국악기 = 267
한민족의 음악언어, 판소리 = 268
연희와 풍자가 넘치는 우리 연극 = 269
<더 알아보기> 탈놀이, 평민의 고락을 함께하다 = 270
근대 우리 영화가 탄생하다 = 272

참고한 자료들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