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석︱
일본의 한류 현상 이해하기―셀러브리티 현상을 통한 내셔널리즘의 구축
Ⅰ. 들어가며 = 17
Ⅱ. 타자로서의 일본과 내셔널리즘 = 19
Ⅲ. 일본에서의 한류 현상 = 25
1. 한류 현상에 관한 소고 = 25
2. 한류 현상에 나타난 셀러브리티 = 29
Ⅳ. 맺음말 = 35
︱양인실︱
한류와 K 사이에서―낯설지만 익숙하고 세련된 한국 드라마
Ⅰ. 들어가면서 = 39
Ⅱ. 2022년 현재 한류 붐을 이야기하다 = 41
1. “n차 한류”라는 이름으로 = 43
2. “한류가 다가온다(韓流がやってくる)”는 담론 = 46
Ⅲ. 해외드라마에서 한류 드라마로 = 54
1. 해외드라마로서의 한국 드라마 = 54
2. 인터넷 우익과 한국 드라마 = 57
Ⅳ. 다시 일본에 ‘불시착’한 한국 드라마 = 60
1. 〈사랑의 불시착〉 관련 데이터로 보는 일본에서의 인기 = 62
2. 남북의 동성사회성(homo-social)―그들만의 세상 = 64
Ⅴ. 일본 내 〈사랑의 불시착〉 수용 = 67
1. 『아사히 신문』의 〈사랑의 불시착〉 관련 기사들 = 67
2. 한국 콘텐츠의 매력 = 69
3. 일본 드라마의 “답답함” = 72
Ⅵ. 결론을 대신하여—익숙하지만 낯선, 낯설지만 세련된 한국 드라마 = 75
︱음영철︱
베트남의 한류 현상 고찰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 83
Ⅱ. 베트남 국민의 한류 인식 = 88
Ⅲ.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베트남의 한류 현상 = 91
Ⅳ. 한국 드라마의 미적 구조 = 94
1. 〈꽃보다 남자〉: 여성의 주체적 성장 서사 = 94
2. 〈태양의 후예〉: 휴머니즘과 결합된 멜로 서사 = 97
Ⅴ. 맺음말 = 100
︱김재선︱
스페인의 한국영화 수용 연구―봉준호 감독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 107
Ⅱ. 영화제 = 109
1.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 110
2. 바야돌리드 국제영화제 = 113
3. 시체스 국제영화제 = 116
4. 한국문화원의 한국영화제 = 120
Ⅲ. 스페인이 바라본 봉준호 감독과 그의 영화 세계 = 124
1. 장르의 혼합과 전복 = 126
2. 사회적 메시지 = 129
3. 영화 〈기생충〉 효과 = 133
Ⅳ. 마치는 말 = 136
2부 한류 확산의 현장
︱심두보︱
한류와 베트남
Ⅰ. 들어가며 = 143
Ⅱ. 베트남의 한류 = 146
Ⅲ. 한류가 매개하는 베트남 대중문화 = 151
1. TV 드라마 = 151
2. 음악과 공연 = 157
3. 영화 = 161
Ⅳ. 나가며—한류 인프라를 생각한다 = 162
︱김수완︱
변화의 중심에서, 중동한류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Ⅰ. 머리말 = 169
Ⅱ. 중동한류의 시작과 성공요인 = 172
1. 한류의 시작 = 172
2. 문화코드분석을 통한 한류성공 요인평가 = 174
Ⅲ. 변혁의 사회와 문화적 함의 = 178
Ⅳ. 변화의 주체, 중동 여성파워와 뉴제너레이션 = 182
1. 중동의 여성파워 = 182
2. 중동의 뉴제너레이션 = 187
Ⅴ. 맺음말 = 190
︱손수진︱
한류를 넘어 K-Culture 현장 속으로 ¡Vamos!
―열정의 나라 멕시코와 아르헨티나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 197
Ⅱ. 멕시코와 아르헨티나는 지금! = 200
1. 멕시코 K-Culture 현황 = 200
2. 아르헨티나 K-Culture 현황 = 204
Ⅲ. 맺음말 = 208
︱조지숙︱
아프리카로 간 한류―세네갈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Ⅰ. 머리말 = 211
Ⅱ. 세네갈에서의 한류—드라마, 기업, 한글 = 212
1. 드라마 = 212
2. 기업 = 213
3. 한글 = 216
Ⅲ.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한류—소설, 영화, 남아공의 과거와 한류의 현재 = 220
1. 소설 = 220
2. 영화 = 222
3. 남아공의 과거와 한류의 현재 = 223
4. 맺음말 = 227
3부 한류의 전망
︱김두진︱
한류의 초국적 보편성과 문화외교의 재인식―BTS의 세계 ‘시장주의’를 지향하며
Ⅰ. 머리말 = 233
Ⅱ. 동북아(중국, 일본 등)는 “가깝고도 먼” 곳—이질적 한류 수용과 ‘보편적’ 문화외교의 재조명 = 237
Ⅲ. 북미, 라틴아메리카 및 서유럽 지역의 한류의 동향—‘혼종성’을 넘어 초국적 ‘보편성’으로 = 244
Ⅳ. 동남아, 중동지역 및 이슬람권의 한류 접근의 신중성—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 254
Ⅴ. 맺는말 = 257
︱배소영︱
한류콘텐츠와 한국유학, 그리고 한국관광―문화적 친근성 개념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 263
Ⅱ. 한류, 문화적 친근성,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 = 265
Ⅲ. 자료수집 및 분석절차 = 268
Ⅳ. 분석결과 = 271
1. 한류콘텐츠 접촉에서 유학의사결정으로의 과정 = 271
2. 유학 중 형성하는 한국 및 한국문화와의 관계 = 277
Ⅴ. 맺음말 = 283
︱이미지︱
태국 속의 한류
―한태문화의 융합과 아시아 소비문화로서의 성장 가능성
Ⅰ. 머리말 = 289
Ⅱ. 한태 관계와 태국 한류의 과거와 현재 = 292
1. 한국과 태국 관계 = 292
2. 숫자로 보는 태국 한류 = 295
3. 태국 한류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유입 배경 = 299
Ⅲ. 한태문화의 융합과 재생산 = 304
Ⅳ. 맺음말 = 309
︱전동한︱
메타버스와 K-콘텐츠
―동남아 콘텐츠시장 수출 확대 전략
Ⅰ. 머리말 = 315
Ⅱ. 메타버스의 진화 = 317
1. 연구 배경 = 317
2. 메타버스의 진화 = 322
3. 메타버스 콘텐츠기업 = 324
Ⅲ. K-콘텐츠와 동남아 콘텐츠시장 = 326
1. K-콘텐츠 = 326
2. 동남아 콘텐츠시장 = 330
Ⅳ. 동남아 콘텐츠시장 수출 확대 전략 = 336
1. 메타버스와 K-콘텐츠의 결합 전략 = 336
2. 동남아 콘텐츠시장 수출 전략 = 338
Ⅴ. 맺음말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