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음악적 은유와 소통
01장 국악을 활용한 음악치료와 한국 민요의 치료적 역할
1. 국악의 음악치료적 접근
2. 고찰을 위한 문헌 선별 및 분석 방법
3. 국악중재 연구의 일반적 특성
4. 국악 음악경험 유형에 따른 치료적 논거 분석
5. 민요의 치료적 의미와 속성
6. 국악의 치료적 논거 고찰의 시사점
7. 음악치료 현장에서 국악 활용의 도전과 과제
02장 설치미술작품 해석을 통한 음악적 연출 방안
1. 설치미술작품의 음악적 소통
2. 설치미술의 장소성과 상호 작용성
3. 음악적 연출에 의한 설치작품의 확장
4. 설치미술의 음악적 소통
03장 코로나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나타난 라이브 공연 문화의 하이브리드적 속성 연구
1. 감염병 재난이 가져온 홍대 인디음악 씬의 혼종적 공간 재편 양상
2. 실제 공간 및 가상 공간의 혼종성에 대한 담론
3. 홍대 인디음악 씬에 형성된 사회 연결망 및 구조 분석 기법
4. 감염병 사태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등장한 핵심 노드와 군집들
5. 코로나19 이후, 홍대 인디음악 씬에 재현된 라이브 공연 공간의 혼종성
04장 음악 저작권 거래 실태 분석
1. 들어가는 말
2. 음악 저작권의 이해와 거래 플랫폼 사례
3. 음악 저작권 공유 실태 분석
4. 맺음말
06장 OTT드라마 <보건교사 안은영>의 서사 분석과 사회 윤리
1. 넷플릭스와 한국의 드라마
2. 드라마 <보건교사 안은영>의 서사 분석
3. 드라마의 인물 배치와 욕망 추구의 두 방향
4. 사회 문제의 담론화와 공동체의 윤리
5. 현대 드라마의 사회적 기능
07장 오래된 집의 헤테로토피아-영화 <남매의 여름밤>
1. <남매의 여름밤>에 그려진 일상의 풍경화
2. 카메라: 공간의 시점과 감정의 흐름
3. 집: 가족 서사의 저장소
4. 꿈: 결핍의 소망 충족
5. 사소함의 노스탤지어를 이야기하다
08장 <벌새>, 도시산보녀 은희의 몸짓과 시선
1. 1994년 서울, 성수대교 붕괴
2. 몸짓과 영화, 거리를 걷는 여성들
3. 도시산보녀, 관찰자-주체로서 여성의 도시의식
4. <벌새>, 도시산보녀 ‘은희’의 몸짓과 시선
5. 압축적 근대화(도시), 수행적 행위(몸짓)
09장 유형으로 알아본 ‘그랜드호텔 형식 영화’
1. 그랜드호텔 형식 영화의 연원과 개념
2. 그랜드호텔 형식 영화의 서막
3. 법정극으로서의 그랜드호텔 형식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
4. 재난극으로서의 그랜드호텔 형식 영활: <포세이돈 어드벤쳐>
5. 세태극으로서의 그랜드호텔 형식 영화: <바비>
6. 그랜드호텔 형식 영화의 의의 및 기대효과
3부 공감각적 심상과 치유
10장 NFT미술에 나타난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1. NFT Revolution
2. 새로운 예술, NFT 미술
3.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에 의한 혁신경제
4. 혁신경제로서의 NFT미술
5. NFT의 현재, 그리고 미래
11장 아돌프 뵐플리(Adolf Wölfli, 1864~1930)의 연작으로 보는 조현병과 미술의 치유적 관계
1. 조현병의 개념
2. 조현병 그림의 특성
3. 아돌프 뵐플리의 생애(1864~1930)
4. ''성 아돌프의 위대한 창조'' 연작
5. 연작의 치유적 의미
6. 갈무리
12장 엘리자베스 1세 초상화에 나타난 퍼스널 컬러
1. 엘리자베스 1세의 퍼스널 컬러
2. 엘리자베스 1세에 관한 담론
3. 런던 주요 박물관의 엘리자베스 1세 관련 소장품 현황
4. 엘리자베스 1세의 초상화와 퍼스널 컬러 분석
5. 엘리자베스 1세 초상화에 나타난 퍼스널 컬러
13장 주술적 상상과 디지털 퍼포먼스의 만남
1. 들어가는 말
2. 주술적 상상의 핵심개념
3. 디지털 융합 퍼포먼스 사례
4.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