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part Ⅰ 선행연구 및 연구과제(의의) = 11

part Ⅱ 언어와 문화(연구 방법 및 연구 결과) = 15

Ⅱ-1 연구 방법(분석 대상 및 분석 도구: 문화 차원)
1. 개인주의 문화 - 집단주의 문화 = 17
2. 평등 문화 - 불평등 문화 = 18
3. 불확실성 수용 문화 - 불확실성 회피 문화 = 20
4. 여성적 문화 - 남성적 문화 = 21
5. 단기지향 문화 - 장기지향 문화 = 23
6. 자적 문화 - 자제 문화 = 24
7. 저맥락 문화 - 고맥락 문화 = 25
8. 모노크로닉한 문화 - 폴리크로닉한 문화 = 26
9. 이성주의 문화 - 감성주의 문화 = 28
10. 실용주의 문화 - 형식주의 문화 = 28
11. 기독교 문화 - 유교 문화(불교/도교/민간신앙) = 29
12. 유목·상업 문화 – 농경문화 = 30

Ⅱ-2 언어와 문화(연구 결과)
1. 계층과 문화 = 31
2. 성과 문화 = 54
3. 연령과 문화 = 86
4. 지역과 문화 = 118
5. 공손 현상(공손 어법)과 문화 = 146
6. 비속어/금기어와 문화 = 179
7. 비유/상징과 문화 = 199
8. 속담과 문화 = 268

part Ⅲ 맺는말(활용방안) = 301

참고문헌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