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ⅳ
제1부 기록관리의 원리와 제도
01 기록과 기록관리 : 기록이란 무엇이며, 어떤 원칙에 의해서 관리되는가? 서혜란 = 13
1. 기록의 개념과 유형 = 14
2. 기록의 속성과 기록관리 = 17
3. 기록의 가치와 기록관리의 필요성 = 19
4. 기록관리의 기본 이론 = 23
5. 기록전문직 = 31
02 기록관리 제도의 역사 : 역사 안에서 기록관리 제도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 강순애 = 35
1. 기록관리 제도의 역사 = 36
2. 한국 기록관리 제도의 역사 = 56
03 기록관리 표준화와 국내외 주요 표준 : 기록관리표준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가? 정연경 = 73
1. 기록관리 표준화의 배경 = 74
2. 국내 기록관리 표준 = 82
3. 국제표준화기구 = 85
4. ISO 15489의 제정과 개정 = 89
5. ISO 23081 시리즈 = 98
6. ISO/TR 26122 = 100
7. ISO 13008 = 100
8. ISO/TR 13028 = 101
9. ISO 30300 시리즈 = 101
10. 미래지향적 기록관리 표준화 = 105
04 기록관리 기관 : 기록관리 기관은 어떤 곳이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해영 = 109
1. 우리나라 공공기록물관리기관 = 110
2. 주제 기록관리 기관 = 132
제2부 기록관리 프로세스
05 기록의 평가선별 : 영구 보존할 기록을 어떻게 선별할 것인가? 이승억 = 175
1. 왜 기록을 평가선별 하는가 : 지속적 기억과 공적 신뢰 = 176
2. 보존기록 평가선별의 등장 = 177
3. 20세기 이후 보존기록 평가선별론의 흐름 = 180
4. 보존기록관의 평가선별 실무 모형 = 198
5. 주요국 사례 = 202
06 기록의 분류와 기술 : 기록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설문원 = 217
1. 기록의 분류 = 218
2. 메타데이터 = 234
3. 보존기록의 정리 = 239
4. 보존기록의 기술 = 245
5. 요약 및 전망 = 260
07 기록의 보존 : 기록을 왜,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가? 송정숙 = 263
1. 기억과 기록 = 264
2. 기록 보존의 개념 = 265
3. 기록 매체의 역사와 매체별 취급 방법 및 보존 환경 = 268
4. 기록의 열화 및 훼손의 원인과 대비 = 277
5. 기록 보존을 위한 기록관의 환경과 기록물 상태 조사 = 287
6. 재난대비 및 대응(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 290
7. 보존 처리(Conservation Treatment) = 298
08 기록정보서비스 : 기록정보의 활용과 서비스를 어떻게 확대할 것인가? 김지현 = 305
1. 기록정보서비스의 개념과 절차 = 306
2. 기록정보서비스의 유형 = 309
3. 기록정보서비스 이용자 연구 = 319
4.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 322
5. 기록정보서비스 정책 및 윤리 = 324
6. 기록정보서비스 동향과 발전 방향 = 328
09 알권리와 정보공개 : 알권리를 위한 정보공개 제도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김유승 = 331
1. 알권리의 정의 = 332
2. 알권리 제도의 연혁 = 336
3. 우리나라의 정보공개 법령 = 343
4. 정보공개제도의 개선 방향 = 347
제3부 디지털환경에서의 기록관리
10 전자기록관리 : 디지털 환경에서 전자기록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현문수 = 353
1. 전자기록 = 354
2. 전자기록 관리과정 = 379
3. 전자기록관리 분야 주요 표준 = 394
4.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원칙과 전략 = 400
11 전자기록시스템 : 기록시스템 개발과 운영에서 기록전문직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연창 = 409
1. 기록시스템 구축과정과 기록전문직의 역할 = 410
2. 기록생산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의 관계 = 417
3. 기록생산시스템 = 422
4. 기록관리시스템 = 432
5. 기록시스템 발전을 위한 모색 = 454
참고문헌 = 461
색인 =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