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05
1부 일탈과 권력을 꿈꾸다
양녕대군
폐세자의 불행한 운명과 긴 인생 = 16
반성문과 항의서 - 양녕대군이 태종에게 올린 글 두 편 = 26
유자광
서자에서 일등공신에 오른 논쟁적 인물 = 36
상반된 시각 - 남곤이 본 유자광과 유몽인이 본 유자광 = 54
윤원형
권력을 전횡한 조선 중기의 외척 = 70
"윤원형의 죄는 머리털을 뽑아서도 세기 어렵습니다" - 이이가 쓴 윤원형 탄핵상소(論尹元衡疏) = 77
정여립
논란에 싸인 기축옥사의 주인공 = 86
용납되지 못한 혁명적 학자 - 신채호가 평가한 정여립 = 92
2부 역경을 극복한 의지
이순신
자신과 나라의 역경을 극복한 명장 = 100
모든 전공의 기록 - 이순신이 쓴 한산대첩 장계(見乃梁破倭兵狀) = 117
곽재우
임진왜란의 대표적 의병장, 홍의장군 = 136
의병장의 편지 - 곽재우가 김덕령에게 보낸 회신(答金將軍德齡書) = 150
안용복
희생과 고난으로 독도를 지킨 조선의 백성 = 156
경륜이 담긴 판단 - 전 영의정 남구만이 영의정 유상운에게 보낸 답변(答柳相國) = 168
최영의
극진 가라테를 창시한 ''바람의 파이터'' = 176
고향 산천을 잊을 수 없다 - 최영의의 말과 글 = 184
3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갈등
윤선거
윤증의 아버지, 조선 후기 소론의 태동 = 192
보내지 않은 편지 1 기유년 송영보에게 보내려던 답신(擬答宋英甫 己酉) = 201
윤증
노론과 소론의 갈라섬, 그 기점에 있던 인물 = 220
보내지 않은 편지 2 신유년 여름 회천에게 보내려던 편지(擬與懷川書 辛酉夏) = 231
숙종
환국 정치의 명암 = 252
세 환국의 시작 -『숙종실록』의 기록들 = 263
희빈 장씨
환국정치의 중심에 섰던 비극적 운명의 왕비 = 270
희빈 장씨의 마지막 순간 -『숙종실록』의 두 기사 = 278
사도세자
부왕에게 사사된 비극적 운명의 세자 = 284
"아,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 정조의 첫 윤음 = 309
4부 자신의 신념을 지키다
최윤덕
북방 개척에 공헌한 조선 전기의 명장 = 316
무장의 간결한 글 - 최윤덕이 건의한 국방 강화책(備邊事宜) = 329
최만리
한글 창제에 반대한 집현전의 수장 = 336
한글 창제에 반대하다 - 최만리의 ''갑자 상소'' = 346
임경업
대명(對明) 의리를 실천한 비운의 명장 = 358
의리를 실천하다가 죽다 - 송시열이 쓴「장군 임경업전(林將軍慶業傳)」 = 368
최익현
위정척사론을 실천한 최고령 의병장 = 378
도끼를 지니고 대궐문에 엎드려 화의를 배척하다 - 최익현의「지부복궐척화의소(持斧伏闕斥和議疏)」 = 394
황현
「절명시」와『매천야록』을 남긴 조선 말기의 지사 = 414
멸망한 나라의 지사 - 황현의「절명시」와 한용운의 추모시 = 426
5부 격랑의 시대를 헤쳐가다
이항복
격동의 시대를 헤쳐간 조선 중기의 명신 = 434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 이항복이 정자 최유해에게 보낸 편지與崔正字有海書 = 441
이덕형
능력과 덕망을 겸비한 조선 중기의 명신 = 452
"나이가 어리면 처벌할 수 없도록 법률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이덕형의 영창대군 처벌 반대상소陳大君不可加罪箚 = 459
유몽인
정치적 균형과 자유로운 문학을 추구한『어우야담』의 저자 = 472
문명 비판의 우언 - 유몽인의「호랑이를 잡는 함정(虎穽文)」 = 485
이시백
호란의 수습과 국방 강화에 기여한 대신 = 496
혼란의 시대를 지탱한 대신을 기리다 - 윤휴가 쓴 이시백의 제문 = 507
참고문헌 = 513
찾아보기 =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