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북한어란 무엇인가 = 13
1.1. 두 개의 언어 = 15
1.2. 북한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 17
1.3. 이질화인가 다양화인가 = 25

제2장 닮은 듯 다른 규범의 세계 = 33
2.1. 남북한 어문 규범의 갈림길 = 35
2.2. 맞춤법, 무엇이 같고 다른가 = 38
2.3. 외래어 적는 법 = 92
2.4.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 104

제3장 멀고도 가까운 북한어 어휘 = 129
3.1. 북한어 어휘의 색채 = 132
3.2. 경계의 어휘들 = 135
3.3. 우리가 잊은 말들 = 141

제4장 다듬은 말로 보는 북한어 = 155
4.1. 온 인민의 언어 운동 ‘말다듬기’ = 157
4.2. 이상과 현실 사이 = 164
4.3. 다듬은 말을 찾아서 = 176

제5장 지역에서 찾은 말들 = 207
5.1. 방언에서 고른 문화어 = 211
5.2. 방언의 거리 = 223

제6장 북한 사회를 비추는 어휘 = 235
6.1. 정치의 언어 = 238
6.2. 사회를 비추는 또 다른 언어들 = 258

제7장 말소리로 보는 북한어 = 269
7.1. 우리 귀의 북한어 발음 = 271
7.2. ‘아’ 다르고 ‘어’ 다른 말들 = 275

제8장 엇갈리는 말들 = 291
8.1. 조어법이 만든 차이 = 294
8.2. 형태가 다른 말 = 307
8.3. 어긋나는 말의 의미들 = 326

제9장 관용적 그러나 생소한 표현들= 347
9.1. 이은말의 세계 = 350
9.2. 관용 표현 이해하기 = 358

제10장 북한어 문장의 가로세로 = 379
10.1. 북한어 어미의 스펙트럼 = 381
10.2. 눈에 띄는 조사, 귀에 선 표현들 = 403
10.3. 즐겨 쓰는 표현 방식들 = 415

제11장 북한어의 예절 = 427
11.1. 부르고 가리키는 말 = 430
11.2. 높임의 말하기 = 471
11.3. 다양한 빛깔의 인사말 = 485
11.4. 공감의 언어 예절 = 496

제12장 통일 시대의 한국어 = 503

참고 문헌 = 511

찾아보기 =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