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권

책머리에

Ⅰ. 머리말

Ⅱ. 일제 강점기 독서 대중화 운동
1. 조선인을 위한, 조선인에 의한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
1) 조선인 경영의 유일한 ‘경성도서관’
2) 경성도서관의 사회교육과 독서운동
3) 경성도서관을 통해 본 독서경향
4) 민족적 상징으로서의 경성도서관
2. 사회적인 독서운동과 독서경향
1) 일반 도서관의 독서운동 및 독서경향
2) ‘독서구락부’ 운동과 독서내용
3) 학생 및 여성 독서실태
3. 일제 강점기 독서 대중화 운동의 의의

Ⅲ. 해방 이후~195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1. 해방 이후~1950년대 독서운동
1) 도서관 재건과 구조 개편의 인식
2) 농촌 독서운동의 촉구
3) 일반 독서경향
4) 학생 및 여성 독서경향
5) 저널의 독서교육
2. 해방 이후~195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의 의의

Ⅳ.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1. 도서관 및 마을문고의 독서운동
1) 도서관 증설과 운영의 근대화
2) 마을문고 운동과 농촌 독서의 활성화
3) 고전 읽기운동 및 기타 독서운동의 전개
2. 1960년대 독서경향
1) 일반 독서경향
2) 학생 독서경향
3. 1960년대 독서대중화 운동의 의의

참고문헌
1권 주요 기사 연도별 정리

2권

책머리에

Ⅴ. 197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1. 도서관 및 각종 단체의 독서운동
1) 독서층 개발과 대중중심의 도서관
2) 출판계 및 사회 단체의 다양화된 독서운동
3) 학생 독서운동의 저변 확대
2. 1970년대 독서경향
1) 일반 독서경향
2) 학생 독서경향
3. 197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의 의의

Ⅵ. 198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1. 도서관 및 각종 단체의 독서운동
1) 도서관의 ‘국민독서생활화’ 운동
2) 출판계와 매체의 연합과 활성화된 독서클럽
3) 학생 독서운동과 정책적인 독서교육
2. 1980년대 독서경향
1) 일반 독서경향
2) 학생 독서경향
3. 198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의 의의

Ⅶ. 199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1. 도서관 및 각종 단체의 독서운동
1) ‘작은 도서관 운동’과 정보문화센터
2) ‘책의 해’와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3) 독자중심의 출판계, 다양화된 독서프로그램
4) 문화단체와 교사, 학부모가 함께 하는 학생 독서운동
2. 1990년대 독서경향
1) 일반 독서경향
2) 학생 독서경향
3. 199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의 의의

Ⅷ. 200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1. 도서관 및 각종 단체의 독서운동
1) 도서관의 정보화 및 복합문화공간화
2) 대형서점과 방송 독서운동과 독서인구 개발
3) 학생 독서운동 및 학교 독서교육의 체계화
2. 2000년대 독서경향
1) 일반 독서경향
2) 학생 독서경향
3. 2000년대 독서대중화 운동의 의의

참고문헌
2권 주요 기사 연도별 정리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