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3
추천의 글 7

Ⅰ.서론
1. 연구 동기와 목적 23
2. 연구의 방향과 범위 29
3. 기존의 연구 성과와 본 논문의 차별성 32
4. 용어의 정의 41

Ⅱ. 조선 말기 국내 상황과 선교 동향
1. 조선 말기의 사회 정치적 상황 49
2. 조선 말기의 교육 문화적 상황 56
3. 조선 말기 그리스도교의 전래 66
1) 천주교의 전래와 핍박 66
2) 기독교의 전래 76
(1) 귀츨라프 선교사 77
(2) 토마스 선교사 80
(3) 윌리암슨 선교사 84
(4) 로스와 매킨타이어 선교사 85
(5) 이수정 선교사 87
4. 초기 미국 기독교 선교사들의 선교 동향 91
1) 미국 선교사들의 선교정책 94
2) 선교 초기의 미국 선교사들 98
(1) 알렌 100
(2) 언더우드 103
(3) 아펜젤러 107
(4) 윌리엄 스크랜턴 115

Ⅲ. H.B. Hulbert의 통전적 선교 활동
1. H.B. 헐버트의 사역 이해를 위한 통전적 선교 121
1) 복음주의 관점에서 본 통전적 선교 121
2) 로잔 언약 속에 나타난 통전적 선교 127
3) 통전적 선교의 범위와 적용 가능성 모색 130
2. H.B. 헐버트의 조선 선교의 소명과 응답 138
1) 헐버트의 성장배경 138
2) 헐버트의 신학과 사상 141
3) 조선 선교사로의 부르심과 활약 146
4) 헐버트의 목회와 성직활동 159
3. H.B. 헐버트의 조선에서의 교육선교 활동 162
1) 공교육 분야의 개척활동 162
(1) 육영공원의 교사 162
(2) 한성사범학교 교육장 168
2) 교과서 개발 및 출판 172
(1) 최초의 순 한글 교과서 출간 172
(2) 초기의 교과서 개발 및 보급 175
3) 연구 및 저술 활동 178
(1) 한글과 한국어 연구 및 보급 178
(2) 최초의 “아리랑” 오선악보 채보 187
4) 한국 역사 연구와 역사서 출간 190
(1) 대동기년 190
(2) 한국사 191
(3) 대한제국멸망사 196
4. H.B. 헐버트의 사회문화 선교 활동 199
1) 출판, 언론을 통한 한국 문화 진작 199
(1) 삼문출판사 199
(2) 한국소식과 한국평론 월간지 출간 203
(3) 잡지와 신문 기고를 통한 문화 창달 206
2) 문학작품 활동 211
3) 한국 문화유산 보호와 홍보 215
(1) 경천사 10층 석탑 215
(2) 한국의 5대 발명품 216
4) 경제, 사회적 지원활동 219
(1) 한국인들의 재산 보호 219
(2) 고종의 내탕금 221
5) 정치, 외교적 지원 활동 225
6) 독립운동 참여 231
(1) 헤이그 특사 활동 231
(2) 미국 귀국 후의 독립 지원 활동 241

Ⅳ. Homer B. Hulbert의 통전적 선교 활동의 평가
1. 헐버트의 교육, 사회문화의 계몽적 선교 활동 261
2. 근대교육제도의 도입과 확산 265
3. 한글의 보급과 연구 및 발전 268
4. 한국 역사의 보존과 역사적 가치 계승 272
5. 문학, 예술, 언론, 출판문화의 창달 276
6. 한국의 독립과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 279

Ⅴ. 결론

참고 문헌 289
Abstract 313
부록(헐버트의 생애 연혁)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