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글

제1부 조선시대 국어학사를 둘러보다
조선시대 국어학사의 흐름
조선 중기의 국문 보급과 국어연구
실학시대의 언어연구
『훈민정음』의 초・종성체계
「이윤탁李允濯 한글 영비靈碑」의 이해
『지봉유설』의 국어학사상의 성격
유희柳僖의 새로운 자료 발굴

제2부 국어연구가 근대로 접어들다
근대국어학의 형성에 관련된 국어관
대한제국 시기를 중심으로
유길준의 어문사용과 『서유견문』
이능화의 국문연구와 「언문자법원출범천」
개화기의 어문정책과 표기법 문제
서양인 편찬의 개화기 한국어 대역사전과 근대화
애국계몽주의 시대의 국어관
주시경周時經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늣씨’
『말의 소리』에서 『조선말본』으로
옥파 이종일의 언론활동과 한글사랑
말[언어言語]은 나라의 본성
1910~20년대 일본인에 의한 한국어 연구의 과제와 방향
석인 정태진과 방언 연구
람스테트
Ju Si-Gyeong

제3부 현대국어학이 과학적 연구로 가다
일석 이희승 선생의 삶과 시대
이희승
이숭녕 선생의 삶과 사상 그리고 학문
이숭녕, 현대국어학의 개척자
O. Jespersen과 한국어음운론
이숭녕 선생의 방언 채집과 방언 연구
명저 해설: 이기문, 『국어사개설』(1961)

편집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