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전라북도와 완판본 = 15

제1장 문학의 고장, 전라북도 = 17
1. 전북의 특징 = 17
2. 지역별 문학적 특징 = 19
3. 문학에 나타난 전북정신 = 27
4. 결론 = 52

제2장 한글고전소설 『춘향전』의 문화적 가치 = 59
1. 판소리와 『춘향전』= 59
2. 소설 『춘향전』의 여러 특징 = 63
3. 『춘향전』의 세계문화유산의 가능성 = 73
4. 소설 『춘향전』의 장르별 활용 = 78
5. 결론 = 94

제2부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종류 = 99

제3장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종류와 이본(異本) = 101
1. 이본(異本)이란 무엇인가? = 101
2. 판소리계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이본 = 103
3. 완판본 영웅소설의 이본 = 114
4. 결론 -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이본의 숫자 = 142
제4장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출판지, ‘귀곡(龜谷), 귀동(龜洞), 봉성(鳳成)’
1. 간행기록과 지명 = 149
2. 완주군 구이면의 지리·문화적 배경 = 149
3. 한글고전소설과 ‘봉셩, 龜洞, 龜谷’ = 159
4. 결론 = 174

제3부 완판본과 경판본의 특징 = 179

제5장 완판본과 경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차이 = 181
1. 완판본과 경판본의 개념 차이 = 181
2. 완판본과 경판본의 서지적 차이 = 185
3. 완판본과 경판본의 소설 구성의 차이 = 201
4. 결론

제6장 완판방각본과 경판방각본의 책판(冊板) 연구 = 217
1. 판매용 책과 목판 = 217
2. 방각본(坊刻本)과 종류 = 219
3. 방각본 책판과 그 특징 = 225
4. 결론 = 258

제4부 완판본에 나타난 전라 방언= 261

제7장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에 나타난 ‘자빠지다’의 변천과정 = 263
1. 완판본 고전소설과 천자문에 나타나는 ‘잡바지다’ = 263
2. ‘자빠지다’의 역사적 변천과정 = 267
3. ‘자빠지다’와 관련된 어휘 = 274
4. ‘자빠지다’의 방언형 = 278
5. ‘자빠지다’의 조동사 용법 = 280
6. ‘디다’가 연결되는 복합동사의 유형 = 284
7. 결론

제8장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전라 방언과 시대성 = 291
1.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언어 = 291
2.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음운 현상 = 294
3. 완판본 한글고전소설과 어휘의 특징 = 302
4.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문법적 특징 = 320
5. 결론 = 325

제9장 완판본 『千字文』에 나타난 전라 방언과 지역성 = 327
1. 『천자문』과 지역성 = 327
2. 완판본 『千字文』의 종류와 書誌 = 330
3. 완판본 『千字文』과 전라 방언의 특징 = 335
4. 결론 = 356

제5부 『열여춘향수절가』의 어휘와 문화 = 359

제10장 『열여춘향수절가』의 전라 방언 어휘와 역사성 = 361
1. 완판본 한글고전소설 『열여춘향슈졀가라』 = 361
2. 『열여춘향수절가』에 나타난 전북 방언 어휘의 역사성 = 364
3. 『열여춘향수절가』에 나타나는 공시적 변화와 지역성 = 375
4. 『열여춘향수절가』에 나타난 전북 방언의 의성·의태어 = 381
5. 결론 = 389

제11장 『열여춘향수절가』의 등장인물 ‘상단이’에 나타난 문화사 = 393
1. 향단이와 상단이 = 393
2. 완판본의 시대적 배경 = 394
3.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지역성과 시대성 = 398
4. 전라 방언 ‘상단이’의 문화적 기능 = 402
5. 결론 = 414

제12장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정보화와 활용 = 419
1. 정보화의 필요성 = 419
2. 정보화의 단계 = 421
3. 말뭉치의 활용 = 447
4.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활용 = 461
5. 결론 = 465

찾아보기 =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