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는 말 = 5

Ⅰ. 총론 = 11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 11
1.1. 근대 이전의 교육대상
1.2. 시대적 상황과 편찬 목적
1.3. 근대 이전 한국어 관련 문헌의 내용
1.4. 소결론
2. 근현대의 시기적 특성과 교재 편찬의 흐름 = 27
2.1. 한국어교육의 출발지, 근대
2.2. 다양한 목적을 살펴볼 수 있는 일제강점기
2.3. 소결론

Ⅱ. 한국어교육과 교재의 흐름 = 41
1. 신문기사를 바탕으로 살핀 한국어교육의 흐름 = 41
1.1. 신문기사와 한국어교육
1.2. 시대별 한국어교육사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여섯 가지 키워드
1.3. 소결론
2. 교재사 관점에서의 시대구분 = 60
2.1. 한국어교재의 시대구분
2.2. 교재 중심의 한국어교육사 시대구분
2.3. 소결론

Ⅲ. 학습 대상별 교재에 따른 고찰 = 81
1. 서양인 학습자 대상의 교재 = 81
1.1. 서양인 연구자들의 한국어 연구
1.2.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이해
1.3. 한국어교재의 구체화
1.4. 소결론
2. 일본인 학습자 대상의 교재 = 114
2.1. 일본인 연구자들의 한국어 연구
2.2. 근현대 일본인 대상 한국어교재 개관
2.3. 현대 일본인 대상 한국어교재의 내용
2.4. 소결론

Ⅳ. 교재 목적에 따른 고찰 = 139
1. 회화 학습 목적의 교재 = 139
1.1. 근현대 회화서
1.2. 회화서의 내용
1.3. 소결론
2. 문법 학습 목적의 교재 = 170
2.1. 근현대 문법서
2.2. 문법서의 내용
2.3. 소결론

Ⅴ. 교수 방법과 교재의 변천 = 205
1. 근현대 한국어교재와 교수법
1.1. 한국어교재와 교수법에 대한 연구
2. 교수법의 변천과 교재의 상관성 = 209
2.1. 전통적인 교수 방법의 변천
2.2. 태동기 한국어교재와 문법번역식 교수법
2.3. 태동기 한국어교재와 직접식 교수법
3. 소결론
= 234
부록 1: 일본인 대상 한국어교재 목록 = 236
부록 2: 서양인 대상 한국어 연구 목록 = 243
참고문헌 = 262
찾아보기 =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