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1
1. 한국어학
2. 언어학사로서의 한국어학사
3. 한국어학사의 시대구분

제2장 간추린 동·서양 언어학사 = 59
1. 인류의 언어 의식
2. 고대인도의 범어(梵語) 문법
3. 중국의 성운학(聲韻學)
4. 서양의 고전 문법
5. 문예부흥과 19세기까지의 언어 연구
6. 20세기의 공시적 언어학과 구조언어학

제3장 고대시대 한반도의 언어와 문자 = 289
1. 시대의 개관(槪觀)
2. 삼국시대 언어의 인식과 표기
3.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자 연구
4. 학문의 발달과 성운학의 보급
5. 이두(吏讀)와 이문(吏文)

제4장 조선전기의 한글 창제= 439
1. 시대의 개관(槪觀)
2. 세종의 새 문자 창제의 배경
3. 훈민정음의 제정
4. 훈민정음 글자의 음성학적 이해
5. 한자음의 교정과 <동국정운>의 편찬
6. 최세진(崔世珍)의 정음(正音) 연구

제5장 조선후기의 정음(正音) 연구와 역학(譯學) = 619
1. 시대의 특징
2. 실학적(實學的) 정음 연구
3. 역학(譯學)의 발흥(勃興)
4. 공용문의 이문(吏文)과 이두문(吏讀文)

제6장 개화기 이후의 근대적 한국어 연구 = 715
1. 시대의 개관
2. 대한제국 시대의 한국어 연구
3. 일제(日帝)의 한국 병합(倂合) 이후의 한글 연구
4. 일제 강점기의 음운, 문법 연구
5. 조국 광복 이후의 한국어학

제7장 20세기 후반의 현대 한국어학 = 835
1. 시대의 배경
2. 시대의 개관
3. 한국어학의 새로운 변화
4. 현대한국어학의 제 분야

제8장 결론 = 893

참고문헌 = 939
찾아보기 =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