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1부 국어 변화와 쟁점
제1장 국어사 시대 구분 = 13
1.1. 존대법 = 15
1.2. 인칭대명사 = 24
1.3. 제언 = 31
제2장 재귀대명사 범주 = 35
2.1. 중세국어 문법 범주로서의 ''재귀대명사'' 당위성 여부 = 37
2.2. 새로운 방안 모색 = 43
제3장 중세국어 3인칭 대명사의 설정 = 56
3.1. 3인칭 대명사의 부류 = 57
3.2. 기능 = 69
제4장 의문 보조사의 문법 범주 = 83
4.1. 의문 보조사의 문법 범주 검토 = 85
4.2. 새로운 문법 범주 설정 = 92
제2부 국어, 끊임없이 변하는 실체
제5장 하위자 중심의 청자 존대 등급 분화 = 113
5.1. 사용 대상 = 117
5.2. 등급의 분화 과정 = 126
제6장 하라체의 의문형 변천 양상 = 140
6.1. 소멸 = 142
6.2. 상승 이동 = 150
6.3. 세력 확장 = 156
제7장 인칭대명사의 기능 변화 = 163
7.1. ''3인칭>2인칭'' 대명사로의 변화 양상 = 165
7.2. 기능 변화 원인 = 175
제8장 어휘에서 문법 기능으로 : 문법화 = 185
8.1. 문법화 과정 = 187
8.2. 명사 문법화의 단계 설정 = 188
8.3. 2단계의 명사 문법화 유형 = 191
제9장 문법 기능에서 어휘로 : 역문법화 = 208
9.1. 역문법화의 진행 = 210
9.2. 범주 설정 = 214
9.3. 현대국어 역문법화의 유형 = 217
제10장 호칭어의 변천 = 231
10.1. 국어 호칭어의 유형화 = 234
10.2. 국어 호칭어의 유형 = 235
10.3. 호칭어 구성 방식 = 237
10.4. 구성 방식 분석 = 240
10.5. 국어 호칭어의 기능 = 242
10.6. 의미 변화 유형 = 248
10.7. 원인 분석 = 251
제11장 호ㆍ지칭 접미사 ''-님'': 의존명사 ''님'' = 256
11.1. ''-님''의 기본 기능 = 259
11.2. ''-님''과 ''님''의 상관 고찰 = 265
11.3. ''님''의 활발한 사용 = 272
제12장 ''(-)씨''의 종류 = 279
12.1. ''씨''류의 기본 기능 = 281
12.2. 씨 2 ''홍씨''의 ''씨''류 = 289
12.3. 씨 3 ''홍 씨ㆍ홍길동 씨ㆍ길동 씨''의 ''씨''류 = 291
12.4. ''씨''류의 관계 양상 = 298
제13장 여성 호ㆍ지칭 접미사 ''-네''와 ''-댁'' = 308
13.1. 여성 호ㆍ지칭 접미사로서의 변천 과정 = 310
13.2. 여성지칭 접미사로서의 변천 원인 = 323
제3부 국어사 교육 방향 설계
제14장 국어사 교육의 정당한 자리 매김 = 333
14.1. 국어사 교육의 필요성 검토 = 335
14.2. 국어사 교육의 자리매김 = 342
제15장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 355
15.1. ''문법 사용하기''를 위한 국어사 교육 내용 = 356
15.2. 현대국어 이해의 심화 = 359
15.3. 현대 국어 운용의 원리 탐구 = 363
15.4. 현재 진행 중인 변화 파악 = 366
제16장 국어사 교육의 효율적인 교수ㆍ학습법 = 375
16.1. 창의적인 교육 설계 = 377
16.2. 관련 교과와의 연계 및 독립성 보장 = 387
제17장 국어사 교육 자료 구성 = 397
17.1. 기존 중세국어강독 교재 구성 검토 및 반성 = 399
17.2. 바람직한 중세국어 강독 교재 구성 = 402
제18장 국어사 자료 활용의 실제 = 419
18.1. 교재 자료 선정을 위한 설문 조사 및 결과 = 422
18.2.『대화체』류 선택의 당위성 = 425
18.3.『대화체』류의 활용 방안 = 429
제19장『대화체』류 바르게 읽기 = 449
19.1. 완결된 텍스트로서의 이해 = 450
19.2. 상황 설정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 459
참고문헌 =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