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시가의 장르와 형식, 그리고 연행성
한국시가의 장르와 형식, 그리고 연행성 = 13
1. 한국시가의 연행성 = 13
1.1. 향가 = 13
1.2. 고려가요 = 17
1.3. 시조 = 20
1.4. 가사 = 22
2. 한국시가의 형식과 장르 = 25
2.1. 형식론 = 25
2.2. 장르론 = 26
제2부 한국시가의 형식
한국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 35
1. 들어가며 = 35
2. 결핍과 기원(祈願)의 시화(詩化) = 37
3. 병렬률과 구조의 리듬 = 47
4. 의식성(儀式性)ㆍ연행성(演行性)의 맥락 = 56
5. 나오며 = 64
고려가요의 음악적 형식과 문학적 형식 = 67
1. 들어가며 = 67
2. 중렴(中斂)의 구조적 의미 = 69
2.1. 감탄사 = 71
2.2. 조흥구 = 77
3. 반복구의 구조적 의미 = 82
3.1. 악곡 구조에 따른 반복구 = 82
3.2. 시적 구조를 이루는 반복구 = 87
4. 고려가요의 다층적 해석을 위하여 = 93
시조 시형의 정립 과정 = 97
1. 연구사 검토 = 97
2. 엽(葉)의 유행에 따른 네 마디 3행시의 형성 = 101
3.〈만대엽(慢大葉)〉의 성립과 시조형의 완성 = 111
3.1. 종장 음수율의 기원 = 112
3.2. 중장의 세 마디 구조와 네 마디 구조 = 117
4. 결론 = 124
시조 율격론의 난제 = 127
1. 들어가는 말 = 127
2. 율격의 의미 = 131
3. 음수율의 난제 = 138
4. 음보율의 난제 = 142
4.1. 음보의 등장성(等長性) = 144
4.2. 음보율의 체계성 = 151
5. 나오는 말 = 156
시조의 정형률 = 161
1. 서론 = 161
2. 논의의 전제 = 162
2.1. 율격 및 정형률의 개념 = 162
2.2. 시조 율격의 종류와 성격 = 166
3. 시조의 율격단위 = 170
3.1. 마디 = 170
3.2. 반행 = 173
4. 상대적 음수율 = 176
5. 대우적(對偶的) 병렬률 = 184
6. 결론 = 191
제3부 한국시가의 장르와 장르성
향가의 송도적 서정성 = 197
1. 문제 제기 = 197
2. 송도적 시가의 친-계기적(親繼起的) 혹은 초-계기적(超繼起的) 시간과 서사성ㆍ교술성 = 203
3.〈모죽지랑가〉ㆍ〈찬기파랑가〉의 탈-계기적(脫繼起的) 시간과 서정성 = 212
4. 송도적 서정성에 내포된 성(聖)/속(俗)의 양면성 = 225
강호가사의 서정적 구조 = 229
1. 머리말 = 229
2. 강호가사의 구조와 미의식 = 232
2.1. 수사적 확장구조와 자연미 = 232
2.2. 취흥의 극적 구조와 호방(豪放) = 238
2.3. 이면적 갈등 구조와 정서적 풀이 = 242
3. 강호가사 시학의 형성 배경 = 247
3.1. 경기체가의 전통과 변용 = 247
3.2. 작자층의 특성과 연행적 특성 = 256
4. 결론 = 266
송강가사의 시간성과 극적 구조 = 269
1. 들어가며 = 269
2. 전대(前代) 작품의 순환적ㆍ계기적(繼起的) 시간성 = 275
3. 송강가사에 나타난 시간성의 변화와 극적 구조 = 281
3.1. 역사적 시간의 틈입과 순환적 시간의 균열 -〈성산별곡〉 = 281
3.2. 계기적 시간의 변화와 심리적 시간의 변증법적 구성 -〈관동별곡〉 = 286
3.3. 순환적 시간의 분열과 파토스 -〈사미인곡〉ㆍ〈속미인곡〉 = 293
4. 나오며 = 298
잡가의 극적 성격 = 301
1. 들어가며 = 301
2. 경기 십이잡가의 소설ㆍ판소리 수용 양상 = 305
2.1. 원텍스트의 장면을 재현한 경우 = 306
2.2. 원텍스트의 의미ㆍ정서가 변화한 경우 = 325
3. 소설 수용 시조의 장르적 성격 = 335
3.1. 독백체 소설 수용 시조의 경우 = 336
3.2. 대화체 소설 수용 시조의 경우 = 341
4. 십이잡가에 나타난 장르적 특성의 의미 = 343
4.1. 담시(譚詩)의 가능성과 공동체적 상상력 = 343
4.2. 연행 상황에 따른 통속성의 지향 = 346
5. 나오며 = 350

참고문헌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