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인지언어학의 어제ㆍ오늘ㆍ내일
1. 들머리 = 15
2. 인지언어학의 성격 = 16
2.1. 인지언어학의 정의와 기본 가정 = 16
2.2. 인지언어학의 위상 = 19
2.3. 인지언어학의 장점 = 24
3. 국제 인지언어학계 탐구의 현황 = 25
3.1. 출범 = 25
3.2. 인지언어학 탐구의 주요 성과 = 26
4. 한국 인지언어학계 탐구의 현황 = 34
4.1. 출범 = 34
4.2. 인지언어학 탐구의 주요 성과 = 35
5. 인지언어학의 미래와 탐구 과제 = 40
5.1. 인지언어학의 미래 = 40
5.2. 국제 인지언어학계의 과제 = 42
5.3. 한국 인지언어학계의 과제 = 43
6. 마무리 = 45
제2장 어휘 의미론
1. 들머리 = 47
2. 어휘 의미론의 인지언어학적 방법론 = 49
2.1. 인지언어학의 특성 = 49
2.2. 주요 방법론 = 50
3. 의미의 본질 = 54
3.1. 고정된 의미 가설과 불명확한 의미 가설 = 54
3.2. 성분분석 이론과 원형 이론 = 54
3.3. 사전적 의미와 백과사전적 의미 = 56
3.4. 진리조건설과 해석설 = 57
3.5. 단어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관점의 의의 = 58
4. 의미 변이 = 60
4.1. 단의어 = 60
4.2. 다의어 = 62
4.3. 다면어 = 64
4.4. 동음이의어 = 67
5. 의미관계 = 69
5.1. 동의관계 = 69
5.2. 대립관계 = 73
5.3. 하의관계 = 76
6. 의미 확장 = 79
6.1. 의미 확장의 기제 = 79
6.2. 의미 확장의 경로 = 81
6.3. ''착하다''의 의미 확장 양상 = 83
7. 마무리 = 86
제3장 의미관계
1. 들머리 = 88
2. 의미관계의 인지언어학적 방법론 = 90
2.1. 원형 범주화 = 90
2.2. 동기화 = 91
2.3. 백과사전적 의미관 = 91
2.4. 말뭉치를 활용한 용법기반 모형 = 92
2.5. 심리언어학적 실험 = 93
3. 의미의 계열관계 = 94
3.1. 동의관계 = 94
3.2. 대립관계 = 96
3.3. 분류관계 = 100
3.4. 하의관계 = 102
3.5. 부분관계 = 104
4. 의미의 결합관계 = 107
4.1. 연어 = 108
4.2. 관용표현 = 110
4.3. 변칙성 = 113
5. 마무리 = 116
제4장 비유
1. 들머리 = 118
2. 비유의 성격 = 120
2.1. 비유의 본질 = 120
2.2. 은유의 성격 = 123
2.3. 환유의 성격 = 126
3. 비유의 기능 = 129
3.1. 은유의 기능 = 129
3.2. 환유의 기능 = 134
4. 마무리 = 137
제5장 환상성
1. 들머리 = 139
2. 비유 = 141
2.1. 성격 = 142
2.2. 유형 = 144
2.3. 비유의 이해 = 148
3. 정신공간 = 151
3.1. 성격 = 151
3.2. 유형 = 152
3.3. 정신공간의 이해 = 157
4. 가상적 이동 = 162
4.1. 성격 = 162
4.2. 유형 = 163
4.3. 가상적 이동의 이해 = 166
5. 마무리 = 169
제6장 관용표현
1. 들머리 = 171
2. 관용표현의 기본 개념 = 173
2.1. 용어와 정의 = 173
2.2. 관용표현에 대한 두 가지 관점 = 174
3.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구 사항 = 176
3.1. 관용표현의 동기화 = 177
3.2. 관용표현의 변이 = 180
3.3. 관용표현의 사용 동기 = 185
3.4. 관용표현의 사회 문화적 관련성 = 187
4. 관용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구 과제 = 190
4.1. 용법 조사 = 190
4.2. 말뭉치 연구 = 191
4.3. 사전편찬 = 193
4.4. 교수-학습 = 194
5. 마무리 = 197
제7장 동기화
1. 들머리 = 199
2. 동기화의 개념 = 203
3. 동기화의 유형 = 204
3.1. 의미가 구조를 동기화하는 경우 = 206
3.2. 구조가 의미를 동기화하는 경우 = 208
3.3. 의미가 의미를 동기화하는 경우 = 210
3.4. ''구조/의미''가 ''구조/의미''를 동기화하는 경우 = 211
4. 동기화와 언어 외적 요인 = 215
4.1. 생태적 동기화 = 215
4.2. 발생적 동기화 = 217
4.3. 경험적 동기화 = 218
4.4. 지각적 동기화 = 220
4.5. 인지적 동기화 = 221
4.6. 의사소통적 동기화 = 223
4.7. 그 밖 = 224
5. 마무리 = 226
제8장 문장의 해석
1. 들머리 = 228
2. 문장 층위 해석 작용의 인지 기제 = 229
3. 문장 층위 해석 작용의 양상 = 232
3.1. 능동문과 피동문의 해석 = 233
3.2. 대칭 구문의 해석 = 234
3.3. 이동 구문의 해석 = 235
3.4. 어순 교체문의 해석 = 236
3.5. 중의문의 해석 = 238
3.6. 장단형 사동 구문의 해석 = 240
4. 문장 층위 해석 작용의 의미 특성 = 241
4.1. 중의문의 의미 해석 실험 = 241
4.2. 장단형 사동문의 의미 해석 실험 = 248
4.3. 인지적 경향성과 전략 = 251
5. 마무리 = 254
제9장 담화의 해석
1. 들머리 = 256
2. 담화와 해석의 성격 = 258
2.1. 담화의 성격 = 258
2.2. 해석의 성격 = 260
2.3. 담화적 해석의 성격 = 262
3. 담화 층위 해석 작용의 양상 = 264
3.1. 현저성 = 264
3.2. 완곡성 = 267
3.3. 효율성 = 268
3.4. 관점 = 270
3.5. 배려 = 272
4. 담화 층위 해석 작용의 의미 특성 = 272
4.1. 해석 기제상의 인지 전략 = 274
4.2. 언어ㆍ의미ㆍ해석의 상관성 = 277
5. 마무리 = 279
제10장 문법 교육
1. 들머리 = 280
2. 인지언어학의 (제2) 언어 교육 적용 사례 = 283
3. 인지언어학의 문법 교육적 적용 과제 = 284
3.1. 범주화 = 285
3.2. 다의관계 = 290
3.3. 비유 = 293
3.4. 동기화 = 297
3.5. 해석 = 301
3.6. 구문 = 306
4. 마무리 = 309
참고문헌 = 310
찾아보기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