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4

Ⅰ부.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 = 15
1장. 문화의 개념과 특성 = 16
1. 문화의 개념
1.1. 문화의 어원과 정의
1.2. 문화의 속성
2. 문화 연구의 관점
2.1. 유형론적 관점
2.2. 맥락론적 관점
2.3. 두 관점의 비교
3. 언어와 문화
3.1. 언어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
3.2. 문화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
2장. 문화교육의 목적 = 36
1. 문화교육의 필요성
1.1. 외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필요성
1.2.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필요성
2. 문화 능력
3. 문화교육의 목적과 목표
3.1. 문화교육의 목적
3.2. 문화교육의 목표
3장. 문화의 범주와 문화교육의 내용 = 56
1. 문화의 범주화와 기준
1.1. 존재 양상에 따른 분류
1.2. 관찰 가능성에 따른 분류
1.3. 구체성에 따른 분류
2. 언어교육에서 문화의 범주화
2.1. 외국어교육 분야의 연구
2.2.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
3. 문화교육 내용 선정 원리에 관한 연구

Ⅱ부. 한국문화 교육과정과 교재 = 75
1장. 한국문화 교육과정 = 76
1. 한국문화교육의 단계별 목표
2. 한국문화 교수요목
2.1. 문화 교수요목의 유형
2.2. 한국 문화 교수요목의 설계
3. 한국문화교육과 평가
3.1. 학습자 평가
3.2. 교육과정 운영 평가
2장. 한국문화교육의 방법 = 101
1. 한국문화교육의 방향과 원리
1.1.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1.2. 한국 문화 교수ㆍ학습의 원리
2. 한국문화 교수ㆍ학습 방법
2.1. 명시적 문화 교수
2.2. 비명시적 문화 교수
2.3. 문화 탐구
2.4. 문화 노출 및 문화 교류
3장. 한국문화 교재의 변화 = 127
1. 한국문화 교재의 유형
1.1. 언어 중심 문화 통합 교재
1.2. 문화 중심 언어 통합 교재
1.3. 문화 중심 교재
2. 한국문화 교재의 변화
2.1. 제1기
2.2. 제2기
2.3. 제3기




Ⅲ부. 학습자와 한국문화교육 = 149
1장. 일반 목적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 150
1. 일반 목적 학습자 대상 한국문화교육의 개괄
1.1. 일반 목적 학습자의 정의 및 유형
1.2. 정규 교육과정과 단기 특별과정 학습자의 특성
2. 정규 교육과정의 한국문화교육
3. 단기 특별과정단기의 한국문화교육
2장.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 169
1.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 한국문화교육의 개괄
1.1.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 문화교육의 구분
1.2.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 문화교육 내용 및 방법
2. 대학 입학 전과 후 한국문화교육
2.1. 대학 입학 전 학습자
2.2. 대학 입학 후 학습자
3장. 직업 목적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 188
1. 직업 목적 한국문화교육의 개괄
2.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문화교육
2.1. 취업 전 학습자
2.2. 취업 후 학습자
3. 외국인 노동자 학습자 대상 한국문화교육
4장. 이민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 205
1. 이민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개괄
1.1. 이민자 대상 문화교육의 흐름
1.2. 문화 변용 유형과 이민자의 문화 적응 단계
2. 이민자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
2.1. 이민자 대상의 한국문화 교육과정
2.2. 이민자 대상 교재의 문화교육
3.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
3.1. 결혼이민자의 요구와 단계별 문화교육 목표
3.2. 결혼이민자 대상 교재의 문화교육
4.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
4.1. 다문화학생 대상의 한국문화 교육과정
4.2. 다문화학생 대상 교재의 문화교육

5장. 국외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 227
1. 국외 한국문화교육 개괄
1.1. 국외 한국문화 학습자의 유형과 범위
1.2. 국외 한국문화교육 담당 기관
2. 재외동포재외동포 대상 한국문화교육
2.1.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위
2.2. 재외동포 대상의 문화교육
3. 해외 한국학 과정의 한국문화교육
3.1. 해외 한국학 학습자의 개념과 범위
3.2. 해외 한국학 과정의 문화교육
4. 문화적 동기의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
4.1. 문화적 동기의 학습자의 개념과 범위
4.2. 문화적 동기 학습자 대상의 문화교육

찾아보기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