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음운론의 개념과 연구목적 = 13
1.1 음운론의 개념
1.2 음운론 연구의 목적

제2장 음성학과 음운론 = 21
2.1 소리와 말소리 그리고 음성학
2.2 음성학과 음운론
2.3 음성기관의 진화
2.4 음성기관과 말소리의 생성과정 : 발동, 발성, 발음
2.5 조음음성학의 개념

제3장 한국어의 조음음성학적 분류 = 41
3.1 자음의 분류
3.1.1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의 분류
3.1.2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3.2 모음의 분류
3.2.1 단모음의 분류
3.2.2 이중모음의 분류
3.3 국제음성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제4장 분절음과 초분절음 = 65
4.1 분절음
4.2 분절음으로서의 음성과 음소
4.3 초분절음
4.3.1 장음
4.3.1.1 어휘적 장음
4.3.1.2 표현적 장음
4.3.2 성조
4.3.3 억양
4.3.4 강세
4.3.5 한반도의 운소

제5장 음운과 변별적 자질체계 = 83
5.1 음운의 인식적 실재성
5.2 음소설정의 방법
5.2.1 외적 접근방법
5.2.1.1 최소대립쌍
5.2.1.2 상보적 분포와 변이음
5.2.1.3 음성적 유사성
5.2.2 내적 접근방법
5.2.2.1 변별적 자질
5.2.2.2 주요부류자질
5.2.2.3 조음방법자질
5.2.2.4 조음위치자질
5.2.2.5 혓몸자질
5.2.2.6 부차적 자질
5.2.2.7 운율적 자질
5.2.2.8 변별적 자질의 기능
5.3 한국어의 변별적 자질
5.3.1 주요부류자질
5.3.2 자음에 관한 자질
5.3.3 모음과 반모음에 관한 자질
5.3.4 변별적 자질과 잉여적 자질

제6장 변이음과 음운체계= 119
6.1 변이음
6.2 상관과 중화
6.3 자음체계
6.4 모음체계
6.5 이중모음체계

제7장 음절 = 143
7.1 음절의 개념
7.2 음절의 구조
7.3 음절구조제약
7.4 음절연결제약
7.5 음절경계
7.6 음절과 음절자
7.7 음절과 음절문자 그리고 한글

제8장 교체 = 163
8.1 음소와 형태소
8.2 교체와 이형태
8.2.1 교체의 환경에 따른 분류
8.2.2 교체의 동기에 따른 분류
8.2.3 교체의 방식에 따른 분류

제9장 기저형 = 175
9.1 기저형과 형태소
9.2 기저형의 설정
9.3 기저형의 종류
9.3.1 단일기저형
9.3.2 복수기저형(다중기저형)
9.3.3 추상적인 기저형

제10장 음운과정 = 193
10.1 음운과정의 개념
10.2 음운과정의 기술방식
10.3 음운과정의 유형
10.4 대치 과정
10.4.1 평파열음화
10.4.2 경음화
10.4.2.1 평파열음 뒤의 경음화
10.4.2.2 용언어간말 비음 ‘ㄴ,ㅁ’ 뒤의 경음화
10.4.2.3 관형사형 ‘-ㄹ/을’ 뒤의 경음화
10.4.2.4 사이시옷에 의한 경음화
10.4.2.5 한자어 ‘ㄹ’ 뒤의 경음화
10.4.3 비음화
10.4.4 ‘ㄹ’의 비음화
10.4.5 유음화
10.4.6 조음위치동화
10.4.6.1 양순음화
10.4.6.2 연구개음화
10.4.7 구개음화
10.4.7.1 ‘ㄷ’ 구개음화
10.4.7.2 ‘ㄱ’ 구개음화
10.4.7.3 ‘ㅎ’ 구개음화
10.4.8 원순모음화
10.4.9 모음조화
10.4.10 움라우트
10.4.11 반모음화
10.4.11.1 ‘j’ 반모음화
10.4.11.2 ‘w’ 반모음화
10.5 탈락 과정
10.5.1 자음군단순화
10.5.2 ‘ㅎ’ 탈락
10.5.3 ‘ㄹ’ 탈락
10.5.4 ‘으’ 탈락
10.5.5 동일모음 탈락
10.5.6 반모음 탈락
10.5.6.1 ‘j’ 탈락
10.5.6.2 ‘w’ 탈락
10.6 첨가 과정
10.6.1 ‘ㄴ’ 첨가
10.6.2 반모음 첨가
10.7 축약 과정
10.7.1 유기음화
10.7.2 모음축약

참고문헌 = 250
찾아보기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