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Ⅰ. 서론 = 9
Ⅱ. 『악장가사』의 이본 검토 = 21
1. 편철순서 = 24
2. 작품 수 = 25
1) 이본간「아악가사」의 차이 = 25
2) 이본간「속악가사」의 차이 = 29
Ⅲ. 『악장가사』소재 작품의 형성 과정과 소용 양상 = 33
1. 아악가사 = 34
1) 풍운뢰우악장 = 35
2) 사직악장 = 40
3) 선농악장 = 43
4) 선잠악장 = 46
5) 우사악장 = 50
6) 문선왕악장 = 55
7) 둑제악장 = 65
8) 대보단악장 = 70
2. 속악가사 = 73
1) 종묘영녕전악장 = 75
2) 비궁악장 = 91
3) 무안왕묘악장 = 96
3. 가사 = 102
1) 여민락 = 103
2) 보허자 = 107
3) 감군은 = 110
4) 정석가 = 114
5) 청산별곡 = 118
6) 서경별곡 = 121
7) 사모곡 = 124
8) 능엄찬과 영산회상 = 126
9) 쌍화점 = 132
10) 이상곡 = 137
11) 가시리 = 140
12) 유림가와 신도가 = 141
13) 풍입송과 야심사 = 143
14) 한림별곡 = 147
15) 처용가 = 153
16) 어부가 = 161
17) 만전춘별사 = 169
18) 화산별곡 = 173
19) 오륜가와 연형제곡 = 176
20) 상대별곡 = 179
4. 『악장가사』의 편찬 이해 = 181
1) 편찬 체재 = 182
2) 편찬 주체 = 183
3) 편찬 시기 = 191
Ⅳ. 예악서의 흐름과『악장가사』의 위치 = 195
1. 상고시대 = 197
2. 삼국과 남북국시대 = 199
3. 고려시대 = 207
1) 예지 = 208
2) 악지 = 211
(1) 아악과 아악가사 = 214
(2) 당악정재와 당악가사 그리고 속악정재와 속악가사 = 224
4. 조선시대 = 229
1) 법전과 의례서 = 230
(1) 법전 = 230
(2) 의례서 = 234
2) 악서 = 239
3) 『악장가사』의 위치와 편찬 이후의 악서 = 248
Ⅴ. 『악장가사』소재 작품의 전승 양상 = 253
1. 고려속요 = 255
2. 경기체가 = 269
Ⅵ. 결론 = 281
【참고문헌】 = 294
1. 자료 = 294
2. 논저 = 301
【찾아보기】 =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