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한국어학의 영역
1.1. 세계 속의 한국어 = 1
1.2. 한국어의 특징 = 2
1.3. 한국어의 연구 분야 = 3

2장 한국어 계통론
2.1. 조어와 친족어 = 8
2.2. 계통 연구 방법 = 9
2.3. 세계의 언어와 어족 = 11
2.4. 한국어의 계통 = 12

3장 한국어 문자론과 표기법
3.1. 한국어 문자 = 19
3.2. 한국어 표기법의 원리와 유형 = 27
3.3. 한국어 표기법의 변천 = 32

4장 한국어 음운체계
4.1. 한국어 자음체계 = 45
4.2. 한국어 모음체계 = 50
4.3. 한국어의 운율적 요소 = 55
4.4. 한국어의 음소 = 56

5장 한국어 음운규칙
5.1. 자음 관련 음운규칙 = 60
5.2. 모음 관련 음운규칙 = 70
5.3. 표준발음법 = 76

6장 한국어 형태론
6.1. 문법적 특징과 문법 단위 = 79
6.2. 단어 형성법 = 87
6.3. 품사론 = 89

7장 한국어 통사론
7.1. 문장 성분 = 97
7.2. 굴절 = 98
7.3. 문장의 종류 = 105
7.4. 문법 범주 = 108

8장 한국어 어휘론
8.1. 한국어 어휘에 대한 기본적 논의 = 119
8.2. 한국어 어휘 체계 = 124

9장 한국어 의미론
9.1. 단어의미론 = 144
9.2. 단어와 단어 사이의 의미 파악 = 160
9.3. 구절의미론 = 194

10장 한국어 화용론
10.1. 화용론의 기본적 논의 = 207
10.2. 화용론의 주요 연구 주제 = 211
10.3. 한국어의 화용론적 특징 = 221

11장 한국어 방언론
11.1. 한국어의 지역방언 = 243
11.2. 한국어의 사회방언 = 252

12장 한국어학 보고서 작성법 = 263
12.1. 보고서의 형식적인 요건 = 269
12.2. 보고서의 내용적인 요건 = 276
12.3. 기타 요건

참고문헌 = 287
찾아보기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