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1장 구술과 구술사 = 13
1. 구술의 의미 = 14
2. 구술사의 의의 = 15
3. 구술사의 발달 = 17
1) 국외 = 17
2) 국내 = 27
4. 구술사의 특성 = 39
1) 구술성 = 40
2) 서사성 = 41
3) 주관성 = 42
4) 신뢰성 = 44
5) 개별성 = 46
6) 공동작업 = 46
5. 구술사와 기억 = 48
1) 집합 기억 = 51
2) 생존 기억 = 56
3) 감각과 시간 = 59
4) 사진과 회상 = 66
5) 기억의 해석 = 68
2장 구술 자료와 구술사 연구 = 73
1. 구술 기록의 의의 = 73
2. 구술 자료의 범주와 특성 = 75
1) 서양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 자료 = 75
2) 한국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 자료 = 76
3. 구술사 연구 동향 = 81
1) 일반 동향 = 81
2) 주제별 연구 동향 = 85
3) 종합 분석 = 103
3장 구술 자료의 수집 = 107
1. 면담 = 107
1) 면담자와 피면담자 = 108
2) 내부인과 외부인 = 111
3) 언어와 문화 = 113
2. 면담 기술과 전략 = 115
1) 예비 만남 = 116
2) 면담의 시작 = 118
3) 라포의 형성과 감소 = 119
4) 면담 기술 = 123
5) 침묵 = 135
6) 과묵 = 139
7) 경청 = 144
8) 공유하는 권위 = 145
3. 면담 방식 = 147
1) 대면 면담 = 147
2) 원격 면담 = 149
4. 녹취록 = 160
1) 편집 = 165
2) 출판 = 173
4장 구술사로 만드는 역사 = 177
1. 전시 구술 = 177
2. 라디오 구술 = 180
3. 재난과 위기 구술 = 183
1) 트라우마 = 191
2) 구술사가의 역할 = 195
4. 가족과 여성 구술 = 196
5. 기업 구술 = 198
1) 기업 기억의 포착 = 201
2) 기업 구술 면담의 도전 = 202
6. 식민지 구술 = 205
7. 지역 구술 = 208
8. 노래와 공연 = 210
9. 포스트 메모리 = 211
10. 인생 돌아보기 = 213
5장 구술 자료 수집 기관 = 215
1. 국내 사례 = 216
1) 중앙정부기관과 산하기관 = 216
2) 지방정부기관과 산하기관 = 288
3) 도서관 = 330
4) 문화원 = 356
2. 국외 사례 = 368
1) 미의회도서관 = 368
2) 영국국립도서관 = 387
3) 호주국립도서관 = 401
6장 구술사와 연구윤리 = 411
1. 연구윤리 = 413
1) 연구윤리규정 = 413
2) 연구윤리심의위원회 = 418
2. 구술사 연구의 윤리적 쟁점 = 420
3. 구술 자료의 법적 문제 = 423
1) 인격권 = 423
2) 저작권 = 425
3) 개인정보보호 = 429
7장 구술사의 지평 = 431
1. 구술사와 디지털 기술 = 433
2. 구술사 연구의 한계 = 437
3. 구술 기록의 국가자원화 = 439
1) 국내외 상황 비교 = 440
2) 민간 구술 자료 수집의 중요성 = 444
3) 구술 자료 수집 및 활용의 기반 = 449
4) 기억하기, 기록하기, 역사 쓰기 = 452
참고문헌 = 457
찾아보기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