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의 신판을 내면서 = 7
여는 말 - 풍경 뒤에 있는 것 = 14

울음에 대하여 = 18
굶주림의 그늘 = 23
윷놀이의 비극성 = 29
동해의 새우 등 = 34
풀 이름. 꽃 이름 = 39
눈치로 산다 = 45
"사람 살려"와 "헬프 미" = 51
''해와 달''의 설화 = 56
귀의 문화와 눈의 문화 = 61
돌담의 의미 = 66
기침과 노크 = 71
김유신과 나폴레옹 = 77
독재자와 아리랑 = 82
군자의 싸움 = 87
음료 문화론 = 92
의상에 대하여 = 98
날개야 돋아라 = 103
한복바지. 양복바지 = 109
백의시비 = 114
모자의 논리 = 119
장죽 유감 = 124
''끈''의 사회 = 130
''끼리끼리'' 사는 것 = 135
두 개의 고도 = 141
밥상으로 본 사회
''우리''와 ''나'' = 146
누구의 노래냐 = 151
사랑에 대하여 = 157
기나긴 밤의 노래 = 162
달빛의 풍속 = 168
한국의 여인들 = 173
''시집살이''의 사회학 = 179
논개냐 황진이냐 = 185
화투와 트럼프 = 197
<토정비결> 이 암시하는 것 = 203
''가게''와 ''장날''과 = 209
지게를 탄식한다 = 215
좌냐 우냐 = 221
완구 없는 역사 = 227
기차와 반항 = 233
춘향과 헬렌 = 238
피라미드와 신라 오릉 = 244
바가지와 형태미 = 249
색채미에 대하여 = 255
허스키 보이스의 유래 = 261
''멋''과 ''스타일'' = 267
팽이채를 꺾어라 = 272
''가래질''이 의미하는 것 = 277

맺는 말 - 서낭당 고개에 서서 = 283
후기 - 어느 벗에게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