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수화언어학입문」의 논의에 앞서 = 2

0 수화언어와 표기 = 11
0.1 배경 - 수화언어와 글자 = 11
0.2 수화 표기의 경로 = 12
0.3 수화 연구와 표기 = 14
0.4 한국수화와 문자 표기 = 18

제1부 수화언어학의 성립과 한국수화

1. 수화라고 하는 언어, 수화언어학 = 25
1.1 머리말 = 25
1.2 수화라고 하는 언어 = 26
1.3 언어학/수화언어학과 언어의 특성 = 36
1.4 수화언어학의 성립과 관련 영역 = 42
1.5 마무리 = 49

2. 한국수화의 성립과 언어 환경 = 50
2.1 머리말 - 역사적 배경 = 50
2.2 한국수화의 성립 = 51
2.3 한국수화와 언어 환경 = 59
2.4 마무리 = 64

제2부 언어 구조로 본 한국수화

3. 음운 구조 = 69
3.1 머리말 = 69
3.2 음운의 발견 = 70
3.3 한국수화의 음운 = 75
3.4 음운론적 특성 = 97
3.5 마무리 = 103

4. 단어의 구조 = 105
4.1 머리말 = 105
4.2 단어를 이루는 요소 = 106
4.3 단어 형성 = 113
4.4 분류사와 분류사 구문 = 135
4.5 굴절: 단어의 형태 변화 = 143
4.6 마무리 = 157

5. 문장의 구조 = 159
5.1 머리말 = 159
5.2 문장의 구성 성분 = 160
5.3 수화문과 문법 범주 = 168
5.4 통사적 구성 = 172
5.5 수화문 구성 = 176
5.6 마무리 = 204

제3부 의미와 화용으로 본 한국수화

6. 단어의 의미 = 208
6.1 머리말 - 의미, 의미론 = 208
6.2 의미의 기본적 이해 = 210
6.3 단어의 의미 = 216
6.4 단어와 단어의 의미 관계 = 229
6.5 마무리 = 236

7. 문장의 의미 = 238
7.1 머리말 = 238
7.2 인지 원칙과 문장의 의미 = 239
7.3 문장의 구조와 의미 = 245
7.4 문장의 의미 기능과 의미 구조 = 249
7.5 마무리 = 255

8. 발화의 의미와 흐름 = 256
8.1 머리말 = 256
8.2 화용론의 기본적 이해 = 257
8.3 발화의 의미 = 263
8.4 발화의 흐름 = 279
8.5 마무리 = 297

제4부 변화와 특성으로 본 한국수화

9. 언어의 변화와 한국수화 = 300
9.1 머리말 = 300
9.2 언어 접촉과 변화 = 301
9.3 어휘적 또는 사전적 단어의 변화 = 307
9.4 한국수화의 관용적 변화 = 311
9.5 마무리 = 316

10. 수화언어의 특성과 한국수화 = 318
10.1 머리말 = 318
10.2 언어의 보편성과 수화언어 = 320
10.3 수화언어의 특성 = 325
10.4 수화언어의 특성과 한국수화 = 330
10.5 마무리 = 334

참고문헌 = 336
찾아보기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