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최초 음식요리서,『수운잡방』 = 7
『수운잡방(需雲雜方)』 = 7
『주역』수괘(需卦) = 9
기다림의 결과 = 11
탁청정 김유 = 13
김유와 탁청정 = 13
김유 묘지명 = 21
계암 김령 = 26
계암 김령 = 26
김령과『계암일록』 = 30
『수운잡방』의 산실, 오천 군자마을 = 34
안동 오천 광산김씨 = 34
후조당 김부필 = 39
文과 財의 전통 가문 = 45
군자마을 고문서 = 45
문과 재의 전통 가문 = 49
『수운잡방』의 저술, 김유의 부유와 효도, 적선 = 57
『수운잡방』의 탄생 = 57
김유의 부유 = 61
효도와 적선 = 65
한국문화 1번지, 안동 도산 = 71
도산구곡 = 71
도산구곡 순례와 군자마을 = 76
군자마을과 도산혼맥 = 83
도산향내 혼맥 = 83
종가 형성의 시작 = 86
안동 가문의 영주 이주 = 89
천재들의 탄생과 어머니들 = 92
『수운잡방』과 도산 장수 = 100
도산 가문들의 장수 = 100
도산 장수 전통 = 103
『수운잡방』과 종가음식 = 110
『수운잡방과『음식디미방』 = 110
안동의 종가음식 = 115
『수운잡방』을 위한 제안 = 117
탁청정종택의 추억 = 120
이미령 여사 = 120
김세중, 손희진 탁청정 종손 내외 = 124
김원동, 김도은 설월당 종손 내외 =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