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부

국어교육에서 문식성의 개념과 지향
1. 반성으로서 기능적 문식성의 지양
2. 대안으로서 문화적cultural 문식성
3. 확장으로서 매체media 문식성
4. 전망으로서 비판적critical 문식성
5. 통합으로서 문식성의 생태학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특성과 문식성
1. 융복합 교과로서의 국어교육
2. 국어교육의 본질과 융복합적 특성
3. 국어교육에서 신문식성과 문학 문식성
4. 국어교육과 4차 산업혁명

언어 생태계의 변화와 (한)국어교육
1. 지구 언어 생태계의 변화
2. 문식성 측면에서 본 (한)국어교육의 생태계
3. 변화하는 언어 생태계에서 (한)국어교육의 확장
4.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2부

한국어교육에서 다문화교육과 문식성
1. 문화, 다문화, 다문화교육
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3. 다문화 문식성과 다문화교육
4.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5. 다문화교육의 실천과 지원을 위하여

다중언어문화 한국어 학습자의 문식성
1. 다중언어문화 환경과 문식성
2. 다중언어문화 문식성/다중문식성의 본질
3. 다중언어문화 문식성과 한국어교육
4. 다중언어문화 한국어 학습자의 문식성 교육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
1. 현대사회에 대한 인식
2.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학문
3.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
4. 한국어교육의 지향

3부

문학 문식성의 본질과 특성
1. 문식성과 문화, 창의성, 정의
2. 문학 읽기와 쓰기 능력으로서의 문식성
3. 문학 문식성의 본질
4. 문학 문식성을 위하여

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
1. 시의 이해와 감상
2. 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
3. 시 교육에서 경험과 정의의 교수 ― 학습
4.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

시 감상에서 독자의 해석과 정서
1. 대화로서의 시 감상
2. 시 감상에서 독자의 해석 능력
3. 시 감상에서 시적 화자와 독자의 정서
4. 시 감상에서 독자의 상상력

근대 시인들의 근대성 실천과 체험
1.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2. 이야기로 서술된 민중 현실: 임화
3. 시적 언어로 표현된 민족: 정지용
4. 개인적인 체험과 정서의 표현: 백석
5. 민족문학으로서의 근대문학

수록한 글의 출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