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 김종욱
총 설_ 김용태

제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유가론기瑜伽論記 _ 이수미 ●

Ⅰ. 『유가론기』의 사상적 배경 및 특징
『유가론기』의 사상적 위치와 중요성 / 『유가론기』의 판본 및
구성 / 『유가론기』와 신라 유식학
Ⅱ. 『유가론기』에 대한 초기 연구
『유가론기』의 저자, 성립 시기 및 판본 / 신라 출신 논사들의
확정 / 『유가론기』의 사상적 입장에 대한 연구
Ⅲ. 『유가론기』 연구의 심화

삼국유사三國遺事 _ 박광연 ●

Ⅰ. 『삼국유사』의 위상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90/ 근대 학문과 『삼국유사』 / 세
계 속의 『삼국유사』
Ⅱ. 고려시대 『삼국유사』의 찬술
찬자 / 찬술 시기 / 『삼국유사』 찬술의 의도
Ⅲ. 조선시대 『삼국유사』의 간행과 유통
간행 시기와 조선 초기 판본 / 중종임신본 / 『삼국유사』
간본의 인용
Ⅳ. 『삼국유사』의 체제와 해석
「왕력」・「기이」 / 「흥법」・「탑상」・「의해」・「신주」・「감통」・
「피은」・「효선」 / 『삼국유사』 체제에 대한 해석
■ 한국 고대 불교문화의 보고 『삼국유사』

콘텍스트

과문科文 _ 김천학 ●

Ⅰ. 과문의 개념과 다양화
과문의 개념 및 범위 / 인도불교 문헌의 분과 / 중국 남
북조 불교의 과문
Ⅱ. 과문의 정형화 과정과 새로운 경전 주석 개념들
과문의 정형화 과정 / 수·당 시대 이후 현담 / 경전 주석
개념들 / 일본불교 과문의 신형태
Ⅲ. 신라·고려 불교의 다양한 과문 형태
원효의 ‘종요’ 문헌 / 의상 『일승법계도』의 자주 형태 /
표원 『화엄경문의요결문답』의 장 형식 / 광본의 요약 제관의
『천태사교의』
Ⅳ. 조선시대 과문의 전문화
조선 후기 과문 문헌의 출현 / 설암 추붕의 『선원제전집도서
과평』 / 도봉 유문의 『법성게과주』
■ 과문, 전통과 현대를 잇다

선교禪敎 _ 김호귀 ●

Ⅰ. 교학과 선종의 근원
경전의 출현 / 교학의 발전과 선종의 출현 / 교상판석과
선종의 선리
Ⅱ. 선교관의 출현과 전개
중국 선종과 불립문자 / 『선원제전집도서』를 통한 회통의 선
교관 / 선교의 융합과 회통
Ⅲ. 선교의 차별과 융합
나말여초의 선교차별 / 고려시대 선교융합의 전개 / 조
선시대 선교의 교섭
Ⅳ. 선교관의 변천과 지향
선과 교의 긴장-선교차별 / 휴정의 선교관-종교입선 /
선과 교의 통로-선교융합
■ 선시불심 교시불어

제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정교政敎 _ 조윤경 ●

Ⅰ. 인도와 중국의 정교 관계
인도의 전륜성왕, 아쇼카왕 / 북조의 ‘왕즉불’과 폐불 /
남조 교단과 양 무제
II. 고대국가와 불교의 만남
삼국의 불교 수용과 왕권 / 신라의 정치이념과 승관 제도
/ 신라의 호국의례·법회
III. 고려시대 정교결합
숭불정책 / 국가의례 / 승군의 국가 수호 / 호국신앙
과 고려대장경
IV. 조선시대 정교분리와 활용
성리학적 지배 질서와 ‘억불’ / 의승군의 활약과 불교의 사회
적 위상
■ 불교와 정치권력의 역동적 공생

윤회輪廻 _ 박서연 ●

Ⅰ. 인도불교와 윤회사상
업과 윤회 / 무아와 윤회 / 아뢰야식과 윤회의 주체
Ⅱ. 동아시아 불교와 업·윤회 관념
중국불교의 윤회 관념 / 티베트·몽골 불교의 윤회 관념 /
일본불교의 윤회 관념
Ⅲ. 신라시대 업·윤회사상의 수용과 전개
신라인의 윤회관 / 윤회와 지계 / 점찰법회와 윤회 인식
Ⅳ. 고려~조선 시대 윤회 관념의 변용
수륙재의 설행 / 효 윤리와 윤회 / 육도윤회설과 지옥
■ 윤회, 그 간단없는 생사의 수레바퀴

문화와 의례

언해불서諺解佛書 _ 김기종 ●

Ⅰ. 한글의 창제와 불서의 언해
번역과 언해 / 언해의 체재와 양식 / 언해의 과정
Ⅱ. 조선 전기의 언해불서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 간경도감과 불서 언해 / 지
방 사찰의 언해불서
Ⅲ. 조선 후기의 언해불서
『은중경』의 언해와 유통 / 『권념요록』·『염불보권문』 309/
『지장경언해』
Ⅳ. 근대 시기의 불경 번역
백용성과 삼장역회 / 권상로의 경전 번역 / ‘근대적’ 역경
의 출현
■ 승려의 교육과 대중의 교화

청규淸規 _ 이자랑 ●

Ⅰ. 율律과 승제법僧制法
승가의 형성과 율의 제정 / 율의 내용과 제정 목적 / 승제
법, 중국적 규범의 등장
Ⅱ. 중국과 일본에서 청규의 등장과 발전
광률의 역출 / 선종의 출현과 동산법문의 집단생활 / 『백
장청규』와 『선원청규』 / 도겐의 『영평청규』
Ⅲ. 한국에서 청규의 도입과 변용
선종의 수용과 청규의 도입 / 보조 지눌과 『계초심학인문』/ 고려 말 선승의 불교 교단 개혁과 『칙수백장청규』 / 불교 상례집과 청규
Ⅳ. 한국 근현대기의 결사와 청규
근대 한국불교의 청규 / 봉암사결사와 공주규약 / 『조계종 선원청규』와 『승가청규』
■ 청규, 승가 개혁을 위한 결사의 상징

찾아보기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