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I 한국사회와 기독교윤리학의 수용과 정립의 문제
1. 한국사회에서 기독교윤리학이란?
1)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정의 및 특징
2) 한국 기독교윤리학 이해를 위한 역사적 시대구분
3) 기독교윤리학의 역사를 묻는 이유
2. 한국사회와 기독교윤리학의 접촉
3. ‘한국 기독교윤리학’에 대한 역사적 접근의 필요성
1)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출발점에 대한 쟁점들
2) 한국의 토착화 담론과 기독교윤리학
3) 기독교 지식인을 통한 서양철학과 기독교윤리의 만남
4.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출발점

II 한국의 개항기와 기독교윤리의 유입
1. 초기 선교부의 윤리의식
2. 초기 교리서 속에 나타난 기독교윤리
1) 장로교 초기 교리서: <셩교촬리>, <그리스도문답>
2) 감리교 초기 교리서: <성경문답>, <미이미 세례문답>

III 한국사회의 기독교윤리학 수용
1. 신학교육을 통한 기독교윤리 수용
1) 장로교의 초기 신학교육
2) 감리교의 초기 신학교육
2. 신학교육에 있어서의 기독교윤리 교육 비중과 특징
1) 개화기 공교육에 있어서의 수신, 윤리교육
2) 평양장로회신학교와 감리교신학교의 교과과정 비교
3) 평양장로회신학교의 신학교육과 맥코믹, 프린스턴의 신학교육에서의 기독교윤리의 위치
3. 기독교윤리 교육의 체계적 출발

IV 신학교육을 통한 기독교윤리학의 정립
1. 평양장로회신학교의 기독교윤리학 교과서, <도덕학>
1) 우스터대학교의 그레고리와 스왈론, 그리고 맥코믹신학교
2) 평양장로회신학교의 기독교윤리학 교과서 <도덕학>
3) <도덕학> 평가
2. <윤리학등사본 1, 2>를 통해 본 평양장로회신학교의 기독교윤리 교육
1) <윤리학등사본 1, 2>에 나타난 기독교윤리학
2) <윤리학등사본 1, 2> 분석 및 평가

V 번역서를 통한 기독교윤리학의 수용과 확산
1. 다양한 ‘기독교윤리서’ 번역의 필요성 대두
2. 개인윤리
1) <그리스도륜리표준>
2) <신자생활의 첩경>
3. 사회윤리
1) <야소의 사회훈>
2) <기독교 사회사상>
3) 사회윤리 관련 책들의 번역

VI 한국인의 기독교윤리 저술활동 사례
1. 기독교 지식인의 기독교윤리 이해
2. <증보 윤리학개론> 해제 및 분석
1) 서지 사항
2) 내용 분석
3) 한치진의 <증보 윤리학개론> 주요 개념어 및 인물 분석
3. <현대사회문제> 해제 및 분석
1) 서지사항
2) 내용 분석
4. <신학세계>에 나타난 기독교윤리 이해: 신학과 윤리의 만남
1) 기독교윤리학의 정의
2) 기독교윤리학과 철학의 관계
5. 한치진 기독교윤리의 정수 <기독교인생관> 해제 및 분석
1) 서지사항
2) 서언
3) 장별 세부내용
6. 한치진 저서의 서지사항과 인물지 재논의의 필요성

VII 한국 기독교윤리의 발전과 정초를 위한 제언
1. 한국 기독교윤리학의 발전과 정초를 위한 후속 연구방향
2. 한국의 기독교윤리학과 민족의 통일

부록
부록 1. <윤리학등사본 1> 중 제2, 3, 4편 주요 내용
부록 2. 스왈론의 <도덕학> 목차 정리 및 주요 내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