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시대 여건
1. 왜 재만조선인 시가 문제인가
2. 만주진출 시의 전개 양상

제2장 전반적 동향
1. 五族協和와 조선인 시
2. 삶의 양식과 작품
3. 시와 역사의 조우
4. 만주국의 조선 시인들
5. 시인들의 유파와 성향

제3장 초현실주의 시의 태동
1. 「시현실」 동인과 김기림
2. 「시현실」 동인의 실체
3. 수사형식의 변화
4. 가상공간의 현실

제4장 시인의 번민과 모색
1. 억압을 헤쳐 나온 사회주의자 - 이수형
2. 식민지 현실의 야유와 풍자 - 함형수
3. 역경에 길항한 실존의 화신 - 유치환
4. 대륙을 횡단한 조선시의 기수 - 김조규

제5장 주체의 발견
1. 익명의 한국인 얼 - 한 얼 生
2. 五族과 민족 혼 - 백석
3. 양면의 진실 - 박팔양
4. 사로잡힌 鮮系詩人-조학래

제6장 만주체험의 표리
1.주체소멸의 만주체험 - 서정주
2. 배반의 변호 -이학성·윤해영· 송지영

제7장 총괄 논의

참고 문헌
인명 찾아보기
작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