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읽는 한국인 독자들에게 - 외국인에게 한국의 역사를 어떻게 들려주면 좋을까요?
이 책을 읽는 외국인 독자들에게 - 한국의 역사를 통해 더 가까워지기를 바라며
프롤로그 - 한국과 한국인, 그들은 누구인가?

Ⅰ 한국 역사의 시작 (B.C. 50만~B.C. 1세기)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한반도의 선사 문화와 역사시대
1. 한국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2.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일어나다
3. 북과 남에서 여러 국가가 일어나다
[역사의 현장] 세계 최대의 고인돌 왕국
[생활과 문화] 하늘에 제사를 지내다

Ⅱ 삼국시대의 개막 (B.C. 1세기~A.D. 70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1.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이 형성되다
2. 삼국, 치열한 경쟁을 벌이다
[역사의 현장] 1600년 전 고구려 고분과 고분 벽화를 만나다
3. 고구려, 수·당의 침략을 물리치다
4. 교류의 확대로 다양한 문화를 꽃피우다
[생활과 문화] 밥과 김치, 한국인의 밥상 이야기

Ⅲ 남북국을 이룬 통일신라와 발해 (648~926)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세계를 향해 떠난 사람들, 그리고 석굴암
1. 신라, 백제와 고구려를 통합하다
2. 통일신라와 발해, 남북국을 이루다
3. 불교문화가 크게 발달하다
[역사의 현장] 불국사, 부처님의 나라에 세워진 절
4. 남북국시대가 저물어가다
[생활과 문화] 기와집과 초가집, 그리고 온돌과 마루

Ⅳ 통일국가 고려의 등장 (900~1135)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벽란나루와 고려의 황도 개경
1. 고려, 후삼국을 통일하다
2. 과거제도를 도입하고 관료제를 발전시키다
[역사의 현장] 청자, 그리고 도자기 엑스포
3. 격동하는 동북아시아, 실리 외교를 펼치다
[생활과 문화] 부처님 믿고 공자님 따르고

Ⅴ 외세와 싸우며 형성된 새로운 역사 인식 (1135~138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몽골제국과 고려의 문화 교류
1. “삼한에서 천민을 없애자”
2. 새로운 역사 인식이 자리잡다
[역사의 현장] 직지와 고인쇄 박물관
3. 떠오르는 개혁 세력,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생활과 문화] 한국인에게 불교란 무엇인가?

Ⅵ 조선의 건국, 새로운 전통의 시작 (1380~1474)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한국 최초의 역서, 칠정산을 만들다
1. 새 나라 조선, 한양을 새 수도로 삼다
[역사의 현장] ‘실록’이라는 이름의 역사책
2. 두만강과 압록강을 새로운 국경으로 만들다
3. 한글이 탄생하다
[생활과 문화] 아름답고 과학적인 글자 한글

Ⅶ 유교 문화의 확산 (1474~165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전쟁에 휩싸인 동북아시아
1. 사림, 유교적 이상 정치를 꿈꾸다
[역사의 현장] 서원, 조선 선비의 삶이 깃든 곳
2. 두 차례 전란에 휩싸이다
3.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자리잡다
[생활과 문화] 제사, 세상 떠난 부모님을 기리다

Ⅷ 변화를 위한 다양한 모색 (1650~1862)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연경(베이징)과 에도(도쿄)로 떠났던 사람들
1. 북벌에서 북학으로, 세계 인식이 확대되다
2. “조선 사회를 재구조화하자!”
[역사의 현장] 화성과 만석거, 정조의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
3. 민중들이 일어서다
[생활과 문화] 일상을 빼닮은 풍속화

Ⅸ 전환기를 맞이한 조선 (1863~1896)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동아시아 삼국의 개항
1. 구체제 위기에 맞서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다
[역사의 현장] 강화도, 근대 역사의 출발점
2. 근대국가 체계에 참여하다
3. 급진적인 개혁을 시도하다
4. 아래로부터의 혁명과 위로부터의 개혁이 충돌하다
[생활과 문화] 푸른 눈에 비친 조선, 조선을 찾아온 서양

Ⅹ 국민국가 건설의 좌절과 식민지 체제 (1897~1921)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제국주의의 침략과 식민지가 된 조선
1. 대한제국, 마지막 개혁을 시도하다
[역사의 현장] 경운궁과 정동에서 근대 역사를 만나다
2.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3. 식민지가 된 조선, 왜곡된 근대화의 길을 가다
4. 3·1운동, 독립과 민주를 선언하다
[생활과 문화] 독립의 염원을 담은 태극기와 애국가

ⅩⅠ 해방을 준비한 한국인들 (1922~1945)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의 독립운동
1. ‘개발 없는 개발’, 민중은 힘들다
2.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다
3. 민족운동이 다양하게 일어나다
4. 파시즘에 맞서며 건국을 준비하다
[역사의 현장]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과 독립기념관
[생활과 문화] 식민지 시대 한국인의 이주, 그리고 해외의 한국인

ⅩⅡ 민주공화국의 수립과 분단 (1945~196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냉전 속의 열전
1. 해방, 건? 운동이 불붙다
2. 대한민국 정부가 세워지다
3. 한국전쟁이 발발하다
[역사의 현장] DMZ, 38선에서 경의선 복원까지
4. 두 개의 국가로 나뉘다
[생활과 문화] 남북 문화의 이질성과 동질성

ⅩⅢ 변화하는 한반도, 역동적인 대한민국 (1960~2010)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 1980년대 피플 파워와 6월 민주항쟁
1.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다
[역사의 현장] 거대 도시 서울의 변화된 모습, 메트로폴리탄
2.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이루다
3. 사회주의 국가 북한, 벽에 부딪히다
4. 다가서는 남과 북, 한반도의 변화를 꾀하다
[생활과 문화] 외국인 인구 200만 시대, 한국 속의 외국을 말한다

에필로그 - 시대의 미래를 꿈꾸며

자료 제공 및 소장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