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장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편지
여성이 스스로 내는 목소리, 한글 편지에 대하여
1. 들어가기
2. 연구 동향
3. 논의 방향
4. 사대부가 여성 한글 편지의 현황

2장 어머니로서의 이야기
첩을 시새움한다 할까 하여 남에게도 아픈 사색을 않고 있다
1. 머리말
2. 기존 인식 및 연구
3. ‘첩/시앗’ 내용 분석
4. 마무리

3장 아내로서의 이야기
밴 자식 나거든 누구를 아빠라 하라고 할까요
1. 머리말
2. 논의 방법과 대상
3. 소소한 이야기와 높임 표현
4. 마무리: 남편과 이야기하다

4장 딸로서의 이야기
그리던 아버지와 딸이 만나기라도 한 듯이 반갑습니다/저는 어찌해서 종의 복이 없다 해도 이렇게 없는 것 처음 봅니다
1. 머리말
2. 논의 대상 및 방법
3. 한글 편지의 내용
4. 마무리: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전하는 이야기

5장 딸과 며느리로서의 이야기
요사이 심히 기별을 몰라서 밤낮 걱정하며 울 뿐이었는데
1. 머리말
2. 문제 제기
3. 조선시대 한글 편지와 문안 편지
4. 마무리
아무것도 정을 알릴 것이 없어서 좋지 않은 것 보냅니다 정이나 아십시오
1. 머리말
2. 조선시대 여성의 역할
3. 조선시대 한글 편지와 『계녀서』의 내용 비교
4. 마무리
6장 할머니로서의 이야기
밑에서는 과거들도 보고 하는데 이제 네 나이가 적으냐
1. 머리말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할머니가 보낸 한글 편지의 내용
4. 마무리

7장 제수, 아내, 고모로서의 이야기
장이 떨어져서 절박하니 콩 서너 말만 얻으려고 하는데
1. 서론
2. 김호연재의 문학 작품 등
3. 가문 내의 여성, 안동김씨
4. 한글 편지에 나타난 가문 내의 여성, 안동김씨
5. 마무리

8장 장모로서의 이야기
그대가 고맙게 하는 일은 내 이생에서 갚지 못할 것이네
1. 서론
2. 기존 연구 및 연구 대상
3. 상대 높임법
4. 어휘에 나타난 높임법
5. 마무리: 장모와 사위가 서로를 받들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