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조선시대 사대부가 남성 언간
들어가며∣언간의 향유 계층과 성별∣사대부가 남성 언간의 현황∣발수신자의 관계를 통해 본 사대부 남성의 언간∣사대부가 남성 언간의 주제

언간에 나타난 사부대가 남성의 높임법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높임법∣부인에 대한 대우∣어머니와 서모에 대한 대우∣장모에 대한 대우∣첩에 대한 대우∣여성 동기에 대한 대우∣상대방에 대한 특별한 대우

집에 못 다녀가니 울고 가네
가장 오래된 한글 편지∣<신창맹씨묘출토언간>과 나신걸∣회덕 온양댁 가인께 상백∣영안도로 경성 군관이 되어 가네∣어머님, 아기 모시고 다 잘 계시오∣분(粉)하고 바늘 여섯 개를 사서 보내네∣죽어서도 머리맡에 두고 있었던 편지

왜적이 전라도로 간다 하니 밤낮으로 걱정하오
무덤에서 발견된 13장의 편지∣임금은 서울을 나가셨고 왜적은 고을에 가득하오∣선릉과 정릉을 영장할 도감 도청으로 내가 되었소∣어떻게 해서 갔는고?∣전라도로 왜적이 들어갔으니∣두 아들을 낳았다고 남들에게 자랑이나 말 것을……∣이 약을 정성 들여 달여서 밤이나 아침에 드시오∣나라를 자기 집처럼 근심하고 집안 사람들을 다스리며

아마 멀리 있는 나를 속이는 듯하오
선비도 사랑 표현에 서툴지는 않았나 보다∣까다로워도 보통 까다롭지 않은 사람, 추사∣부끄러워 편지를 못하셨소? 나는 섭섭하오∣무릇 나 혼자 괜찮다 말씀할 것이 아니라∣아마 멀리 있는 나를 속이는 듯하오∣아내의 소상이 가까웠으나 나는 멀리서 예와 같이 지내지 못하니 더욱 슬프다∣아내를 잃은 슬픔은 너무도 놀라워 견딜 수가 없네

나는 병들고 네 어머니는 시샘을 너무 하여 병드니
순천 김씨 묘에서 출토된 편지∣네 어미 투기도 아주 요동 없으니∣지극히 기쁘고 기쁘구나∣김훈의 두 모습

죽지 못한 아비는 눈물 씻고 끝에 쓴다
오직 통곡할 뿐이로다∣한갓 죽은 나만 애타게 부르짖고 집안일을 돌보지 아니하면 나의 바람이 아니로다∣죽지 못한 아비는 눈물 씻고 끝에 쓴다∣설움을 참고 번역하여 며느리가 보도록 한다∣말로 다 이르지 못하여 이리 적는다

갑갑한 염려와 가지가지 근심이 마음속에 쌓여
예나 지금이나 아버지의 마음은 매 한가지∣󰡔선찰(先札)󰡕 소재 언간과 간찰, 송규렴∣기별 못 들으니 염려 그지없다∣끝내 문채 없는 사람이 되지 마라∣아버지들의 빼놓을 수 없는 일상사, 걱정

어머니를 기쁘게 하기 위하여 과거에 급제하다
편지에 드러나는 삶의 모습∣소퇴계(小退溪)라 일컬어지다∣이천소(李千梳)가 되다∣다시 과거를 치르다∣과거, 파방(罷榜)이 되다∣과거에서 급제를 하다∣어머니를 모시기 위하여 걸군(乞郡)을 청하다∣사람의 자식 된 자로서 어찌 효도를 하지 않으리오

쇠고기와 전복을 잡수시게 보내옵니다
사위는 백년손님∣무덤에서 발견된 편지∣비록 적지마는 한 때나마 잡수시게 보내옵니다∣언문을 가르쳐 보내시옵소서∣장모 사랑은 사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