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춘향전의 안과 밖

1장 춘향가/전 제대로 알기
1. 춘향가의 근원설화
2. 춘향가의 역사적 전개
3. 춘향가의 다양한 소리들
4. 춘향전을 읽는 재미

2장 춘향전, 그리고 남원
1. 머리말
2. 춘향전의 근원설화와 남원
3. 춘향전의 배경 공간과 남원
4. 남원과 춘향, 그리고 춘향제
5. 춘향전과 문화콘텐츠
6. 맺음말

3장 김연수제 춘향가의 성격
1. 머리말
2. 김연수제 춘향가의 판짜기 전략
3. 김연수제 춘향가의 특징
4. 김연수제 춘향가의 전승 양상
5. 맺음말

제2부 강릉매화타령의 미학

1장 〈골생원전〉의 특징과 가치
1. 머리말
2. 〈골생원전〉의 이본적 가치
3. 〈골생원전〉의 독자적 면모
4. 맺음말

2장 강릉매화타령의 판짜기 전략
1. 머리말
2. 춘향가와의 교섭 양상
3. 배비장타령과의 교섭 양상
4. 맺음말

제3부 조선 후기 사회와 한문단편

1장 의적계 한문단편과 민중의식
1. 머리말
2. 의적계 한문단편의 유형과 서사적 전개 양상
3. 의적계 한문단편의 형성 배경과 변모 양상
4. 의적계 한문단편에 드러난 현실문제
5. 맺음말

2장 추노계 한문단편과 현실 인식
1. 머리말
2. 추노계 한문단편과 형성 배경
3. 추노계 한문단편의 유형적 성격
4. 추노계 한문단편에 나타난 현실인식
5. 맺음말

제4부 설화문학의 세계

1장 바보망신담의 골계미와 의미
1. 머리말
2. 바보망신담의 유형과 성격
3. 바보망신담의 골계미
4. 바보망신담의 의미
5. 맺음말

2장 내 복에 산다형 민담의 성격
1. 머리말
2. 내 복에 산다형 민담의 유형
3. 내 복에 산다형 민담의 변이 양상
4. 내 복에 산다형 민담과 삼공본풀이와의 관계
5. 맺음말 290
3장 야래자형 설화와 혼사장애
1. 머리말
2. 야래자형 설화의 유형적 성격
3. 야래자형 설화와 혼사장애
4. 혼사장애의 문학사적 전개
5. 혼사장애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6. 맺음말
4장 비보풍수전설과 이야기집단의 의식구조
1. 머리말
2. 풍수지리설의 본질
3. 비보풍수전설의 유형
4. 비보풍수전설에 나타난 이야기집단의 의식구조
5. 맺음말

제5부 고전서사문학의 역사적 이해

1장 18·19세기의 한글소설과 유통
1. 머리말
2. 18·19세기의 한글소설 독자층의 대중화
3. 18·19세기의 한글소설과 생산자
4. 18·19세기의 한글소설 중개자와 유통 방식
5. 맺음말 390

2장 판소리 사설의 소설로의 전환 문제
1. 머리말
2. 판소리·판소리 사설·판소리계 소설
3. 판소리 사설의 소설로의 전환 시기
4. 판소리 사설의 소설로의 전환 동인
5. 판소리 사설의 소설로의 전환 양상
6. 판소리계 소설의 출현 양상
7.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