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고전문학의 향유 방식과 방법론적 탐색
1장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손태도
1. 머리말
2. 향유방식을 통해서 본 고전문학
3. 오늘날, 고전문학에 대한 시각
4. 맺음말
2장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 시가 향유 방식의 중요성과 그 방법론적 탐색 ︳박경주
1. 서론
2. 고전시가와 향유 방식의 긴밀성
3. 고전시가의 향유 방식과 관련해 고려해야 할 주제
4. 고전시가 향유 방식의 교육 방법에 관한 현황 파악 및 제언
5. 결론
2부 구비문학의 향유/교육
3장 서사민요의 향유방식과 교육적 의의 ︳서영숙
1. 머리말
2. 서사민요 향유방식의 다양성
3. 서사민요의 교육적 의의
4. 맺음말
4장 문화적 맥락의 차이에 따른 설화 향유의 한 양상과 세대 간 소통을 위한 설화 교육 시론 ︳하은하
1. 서론
2. <가짜 삼촌 위해 치성드린 아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향유 양상
3. <가짜 삼촌 위해 치성드린 아내>의 해석에 관여하는 문화적 맥락들
4. 세대 간 소통을 위한 설화 교육
5. 결론
5장 20세기초 극장무대 전통공연물의 향유방식 ︳정충권
1. 머리말
2. 20세기초 전통공연물의 환경변화
3. 극장무대 전통공연물의 향유방식
4. 전통공연물 향유방식 변화의 의의
5. 맺음말
3부 고전시가의 향유/교육
6장 <황조가>의 향유 지평 확장을 위한 수록 의도 탐색 ︳조하연
1. 서론
2. <황조가> 수록의 의도를 문제 삼는 이유
3. <황조가> 수록 의도 추론을 위한 세 가지 검토
4. <황조가> 수록의 효과, 그리고 편찬자의 의도
5. 결론
7장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쌍화점> ︳하윤섭
1. 연구사의 추이와 문제의 소재
2. 작품 해석을 위한 몇 가지 전제
3. 소문의 와전, 사실로의 정착, 그리고 윤리적 평가
4. 충렬왕대의 정치적 상황과 <쌍화점>
5. 결론
8장 고전시가 향유 및 학습 방법으로서의 번역 ︳염은열
—시조를 예로
1. 시조 번역 수업에 대한 경험
2. 시조 향유 및 학습의 전제 혹은 가설
3. 시조 번역의 여러 차원과 어려움
4. 시조 향유 및 문화적 소통을 위한 가능성 탐색
5. 결론
4부 고전소설의 향유/교육
9장 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 ︳황혜진
1. 서론
2. 문화적 참조 체계로서 음양오행적 상상력
3. 천간(天干)에 대응되는 팔선녀와 양소유, 성진의 형상
4. 음양오행적 상상력으로 구성한 서사세계의 양상과 의미
5. 결론
10장 <춘향전> 향유에서 방자 삽화의 변이 양상과 의미 ︳서보영
1. 머리말
2. 방자에 대한 평가와 본 연구의 관점
3. <춘향전> 이본에 나타난 방자 삽화의 변이 양상
4. 삽화 변이의 방향과 의미
5. 맺음말
11장 고전문학 향유 리터러시의 위계화 시론 ︳류수열
—<토끼전>을 중심으로
1. 안내된 읽기로서의 고전문학 향유
2. 학습자의 수행 과제와 그 결과물
3. 고전문학 향유 리터러시의 위계 설정
4. 시사점 및 남는 과제들
5부 한문학의 향유/교육
12장 조선후기 금·원대시 수용의 제양상 ︳김기완
—홍한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지수염필󰡕 내 금·원대시 인식과 명말청초 시학 간 상동성(相同性)
3. 󰡔해옹시고󰡕 내 금·원대시 차운시 개관
4. 홍한주의 바깥, 19세기 금·원대시 수용사의 지형도: 홍석주와의 비교
5. 나가며
13장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의 글쓰기 문화 ︳주재우
—자찬묘지명의 창작 동기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의 정체성
3. 자찬묘지명의 창작 동기
4. 자찬묘지명 쓰기의 현대적 의의
14장 화가(和歌)와 한시(漢詩)의 혼효(混淆) 양상과 특징 ︳최귀묵
1. 머리말
2. 화한낭영(和漢朗詠)
3. 시가합(詩歌合)
4. 연구연가(聯句連歌)
5. 화한혼효의 특성
6. 맺음말
6부 고전문학의 현대적 향유/교육
15장 고전문학 향유를 위한 학습자의 감상 질문 생성 경험 연구 ︳조희정
1. 서론: 문학 교실 속 고전문학 향유의 가능성
2. 학습자 감상 질문 생성 교육의 어려움
3. 학습자 감상 질문의 생성 구도
4. 감상 질문의 연쇄를 통한 고전문학 향유
5. 결론
16장 대학 고전문학교육의 현황과 그 방향성 모색 ︳박경주
1. 서론
2. 대학의 고전문학 향유 및 영역별 교육 현황과 과제
3. 사례 중심으로 살펴 본 방향성 모색의 가능성
4. 결론
17장 문학교육과 문학치료의 텍스트 향유방식 ︳조은상
1. 서론
2. 문학교육과 문학치료의 상동성과 변별성
3. 문학치료적 향유의 실제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