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차례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선행 연구
1.2.1. 순수언어학적 연구
1.2.2. 대조언어학적 연구
1.3. 연구 범위와 방법

2. 광의의 연어
2.1. 개념
2.2. 특성
2.2.1. 어휘성
2.2.2. 이항성
2.2.3. 인접성
2.2.4. 유의성
2.2.5. 투명성
2.3. 구조
2.4. 관계
2.4.1. 관계의 분류
2.4.2. 관계의 성격

3. 협의의 연어
3.1. 기존 연구에 대한 재검토
3.1.1. 어휘 선택 제약에 의한 검증 방법
3.1.1.1. 어휘적 유사어 대치를 통한 검증
3.1.1.2. 어휘적 반의어 대치를 통한 검증
3.1.1.3. 연어적 유사어 대치를 통한 검증
3.1.2. 의미투명성 제약에 의한 검증 방법
3.2. 인지적 연어
3.2.1. 개념
3.2.1.1. 낯익은 의미와 낯선 의미
3.2.1.2. 인지 단계와 인지 거리
3.2.1.3. 내포적 의미와 외연적 의미
3.2.2. 연어성과 관용성
3.2.3. 생성과 전환
3.2.3.1. 일반 연어의 경우
3.2.3.2. 협의의 연어의 경우
3.2.3.3. 관용어의 경우
3.3. 대조적 연어
3.3.1. 도입
3.3.2. 개념

4. 학습용 연어
4.1. 도입
4.2. 개념
4.3. 유형
4.3.1. 대응형
4.3.1.1. 결합 차이가 있는 대응
가. 용언의 다대일 대응
나. 용언의 일대다 대응
4.3.1.2. 관련어에 의한 대응
가. 성분 추가 대응
A. 동사가 추가된 경우
B. 명사가 추가된 경우
C. 보어가 추가된 경우
나. 은유 표현 대응
다. 환유 표현 대응
라. 구체화 대응
마. 동형이음 대응
4.3.1.3. 비관련어에 의한 대응
4.3.2. 비대응형
4.3.2.1. 품사 차이에 의한 비대응
4.3.2.2. 문법 차이에 의한 비대응
가. 도치 비대응
A. 용언이 자동사일 경우
B. 용언이 형용사일 경우
나. 연동(連動) 비대응
다. 겸어(兼語) 비대응
라. 피동 비대응
마. 사동 비대응
바. 부정 비대응
사. 결과보어 비대응
아. 방향보어 비대응
자. 전치사 비대응
차. 조동사 비대응
카. 성어 비대응
4.3.2.3. 의역구만 존재하는 비대응
4.3.2.4. 어휘 생략에 의한 비대응
가. 용언 생략 비대응
나. 체언 생략 비대응
다. 모두 생략 비대응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