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어 화용론

제1장 간접표현
1. 간접표현의 개념
2. 간접표현의 원리
3. 간접표현의 갈래
제2장 국어 정도부사의 화용
1. 화용화
2. 정도부사의 화용화
제3장 국어 방언 정도부사의 화용
1. 들머리
2. 연구 방법 및 자료
3. 방언 정도부사
제4장 ‘-쉽지 않다’의 화용적 의미
1. 들머리
2. ‘쉽다’와 ‘어렵다’의 의미
3. ‘쉽지 않다’와 ‘어렵다’의 의미 범위
4. ‘쉽지 않다’의 화용적 의미
5. 정리

제2부 국어 담화론

제1장 국어 담화 연구 흐름
1. 들머리
2. 담화와 담화분석
3. 담화분석 연구의 시작
4.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
5.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전망
제2장 언어 습득의 담화적 특성
1. 들머리
2. 자기화 현상
3. 잉여화 현상
4. 대신화 현상
5. 주제화 현상
제3장 국어 담화의 ‘덩이 의식’
1. 들머리
2. 글덩이 의식
3. 작은 뜻덩이 모습
4. 글덩이 검사
5. 마무리
제4장 쉼
1. 쉼의 원리
2. 쉼의 종류
3. 쉼의 언어적 기능
4. ‘쉼’과 담화 종류
제5장 생략·241
1. 생략의 범주
2. 생략의 갈래
3. 정보와 생략 정도
제6장 비언어적 표현: 손짓
1. 들머리
2. 비언어적 표현 손짓 사용
3. 정리
제7장 대화 ‘시작하기’와 ‘끝내기’
1. 대화 시작하기
2. 대화 내용 시작하기
3. 대화 내용 이끌기
4. 대화 끝내기
제8장 설화의 ‘시작하기’와 ‘끝맺기’ 분석
1. 시작하기
2. 끝맺기
제9장 끼어들기
1. ‘끼어들기’의 뜻넓이
2. 방법으로 본 끼어들기
3. 기능으로 본 끼어들기
제10장 TV토론 ‘발언권 주고 빼앗기’ 분석
1. 들머리
2. 분석 자료
3. 발언권 주기
4. 발언권 빼앗기
5. 토론자 발언 시간과 횟수 분석
제11장 TV가정판매(홈쇼핑) 담화 분석
1. 들머리
2. TV가정판매 담화 구조
3. TV가정판매 담화의 전략적 특성
4. TV가정판매 담화의 발화 특성
5. 마무리
제12장 국어 덧물음월
1. 덧물음월의 뜻넓이
2. 덧물음월의 갈래
3. 앞월의 특성
4. 덧물음월의 담화 기능

제3부 담화표지

제1장 담화표지 두루 살피기
1. 담화표지 뜻넓이
2. 국어 담화표지 갈래
3. 담화표지화 과정
4. 국어 담화표지 연구 흐름
5. 담화표지 연구의 방향
제2장 성별에 따른 국어 담화표지 사용 분석—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1. 앞선 연구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조사 결과 및 해석
4. 정리
제3장 담화표지 ‘자’
1. 들머리
2. 통사적 특성
3. 담화 기능
제4장 담화 종결형 어미 ‘-는기라’
1. 들머리
2. ‘-는기라’의 문법화
3. 통사적 특성
4. 담화 기능
제5장 방언 담화표지 ‘아이가’
1. 들머리
2. 담화표지 ‘아이가’의 실현 특성
3. 담화 기능
제6장 담화표지 ‘뭐냐?’와 ‘있지?’
1. ‘뭐냐’류
2. ‘있지’류
제7장 ‘-어 가지고’의 문법화와 담화
1. 들머리
2. 문법화
3. 담화 기능
제8장 경상방언 담화표지 ‘마’
1. 들머리
2. 경상방언 담화표지 ‘마’의 실현 빈도
3. ‘그만’과 ‘마’, ‘고마’와 ‘마’
제9장 담화표지 ‘인자’
1. 시간 부사에서 담화표지로
2. ‘인자’의 담화표지 특성
3. 담화 기능
제10장 담화표지 ‘말이야’
1. 들머리
2. ‘말이야’의 의미
3. 서법과 실현 양상
4. ‘말이야’의 담화적 기능
제11장 ‘사실’의 담화표지화·651
1. 들머리
2. ‘사실’의 담화표지화 과정
3. ‘사실’의 문법 범주
4. 마무리

제4부 담화교육

제1장 교육과정의 담화 용어
1. 텍스트와 담화와 이야기
2. 비언어적 표현과 반언어적 표현
3. 통일성과 응집성과 일관성
제2장 담화문법 교육
1. 문법과 담화문법
2. 담화문법 교육의 의의
3. 담화문법교육의 모습
4. 담화문법 교육 내용
5. 담화문법 교육 방법
6. 정리
제3장 담화문법지도 방법
1. 담화의 교육과정 탐색
2. 담화문법교육과 탐구학습
3. 탐구학습을 통한 담화문법지도 방법
4. 정리
제4장 발표 교육
1. 발표 불안 학생 현상
2. 발표 불안의 요인
3. 지도 방법
제5장 듣기 교육
1. 듣기의 뜻넓이
2. 듣기의 특성
3. 듣기 교육의 의의4
4. 듣기 교육의 실태
5. 듣기 교육 방안

제5부 성과 담화

1. 들머리
2. 말소리
3. 표준어 선호도
4. 지칭어
5. 낱말
6. 문장
7. 문체
8. 감탄 표현
9. 전통적인 규범
10. 여성과 남성의 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