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 모국어에게 004

제1부_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

1. “사람/행위자”를 가리키는 접미사(接尾辭) 또는 단어의 마지막 글자 019
2. 표현을 강조하고 의미를 강화하는 중첩어(重疊語)와 반복어(反復語) 044
3. 한국어의 다른 특징들: 의존명사, 수량을 세는 단위들, 한자로 된 조어소(造語素), 기타 특징 087
4. 동사와 형용사의 명사화(名詞化) 및 명사의 동사화(動詞化) 114
5. 숫자가 포함된 단어들과 특이한 성어(成語)들 126
6. 한국적인, 너무나 한국적인 표현들 165
7. 한자(漢字)의 특징인 첩자(疊字): 의미의 직접성과 형태의 복잡성 197
8. 우리말 표준어의 변화와 발전 212
9.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동자이의어(同字異義語), 동한이한어(同韓異漢語),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 228
10. 잘못 사용하기 쉬운 한자어들 245
11. 우리말, 고운 말, 바른 말, 쉬운 말을 쓰도록 노력하자 259
12. 외래어와 외국어의 한글 표기법 276
13. 한국어를 포식(捕食)하는 외국어 단어들 304
14. 영어 자음 th [Ɵ]의 표기 / 독일어 Ä/ä [ɛ], sch [ʃ]와 schu [ʃu], sp- [ʃp-]와 st- [ʃt-]의 표기 / 일본어 촉음(促音) つ의 표기 321

제2부_ 아로새긴 은쟁반의 금사과

가. 신학 관련 용어

1. 아로새긴 은쟁반의 금사과: 들어가는 말 339
2. 성경(聖經)과 성서(聖書) 344
3. 정경(正經), 외경(外經), 위경(僞經) 350
4. 언약(言約), 약속(約束), 계약(契約), 맹약(盟約), 조약(條約), 약조(約條) 355
5. 구원(救援), 구속(救贖), 속죄(贖罪), 속량(贖良), 대속(代贖) 360
6. 하나님, 하느님, 천주(天主), 신(神), 상제(上帝), 천제(天帝) / 여호와, 야훼, 야흐웨, 야웨, 야베, 야붸 370
7. 주(主), 구주(救主), 구세주(救世主) 375
8. 성소(聖所), 회막(會幕), 성막(聖幕), 장막(帳幕), 성전(聖殿), 전(殿), 신전(神殿), 회당(會堂) / 사찰(寺刹), 사원(寺院), 사당(祠堂) / 교회(敎會), 성당(聖堂), 교당(敎堂), 교회당(敎會堂), 예배당(禮拜堂) 380
9. 히브리인, 이스라엘인, 유다인 / 유대인(猶大人) / 유태인(猶太人) 385
10. 선지자(先知者), 예언자(豫言者, 預言者), 선견자(先見者), 기별자(寄別者) 391
11. 목사(牧師), 목자(牧者). 목회자(牧會者) / 전도사(傳道師)와 전도자(傳道者) 396
12. 주석(註釋), 해석(解釋), 주해(註解), 강해(講解) 401
13. 초대교회(初代敎會)와 초기교회(初期敎會) 406
14. 찬송(讚頌), 찬양(讚揚), 송축(頌祝), 찬미(讚美) / 성가대(聖歌隊), 찬양대(讚揚隊), 합창단(合唱團) 411
15. 헌금(獻金), 연보(捐補), 연금(捐金) / 십일조(十一條)와 십일금(十一金) 416
16. 봉사(奉仕), 봉사(奉事), 봉사(奉祀) 421
17. 궤(櫃), 법궤(法櫃), 언약궤(言約櫃), 증거궤(證據櫃) / 속죄소(贖罪所), 시은좌(施恩座), 시은소(施恩所) / 등대(燈臺), 촛대[燭臺] / 진설병상(陳設餠床), 떡상(-床) 426
18. 예식(禮式), 의식(儀式), 식전(式典), 의전(儀典) / 예의(禮儀)와 의례(儀禮) 등 432
19. 결례(潔禮), 침례(浸禮), 세례(洗禮), 유아세례(幼兒洗禮), 영세(領洗), 견진(堅振), 견신례(堅信禮) 437
20. 창세기서, 레위기서, 룻기서, 욥기서 442
21. 의문(疑問)과 의문(儀文) 447
22. 성경에 사용된 “율법(律法)”의 동의어들 452

나. 일반 생활 용어

1. 동의어(同義語)와 반의어(反義語) / 유음어(類音語)와 유의어(類義語) / 동족어(同族語), 동계어(同系語), 방계어(傍系語) 461
2. 동의(動議)와 동의(同意) / 재청(再請)과 제청(提請) / 결재(決裁)와 결제(決濟) / 수업(授業), 수업(受業), 수업(修業) 466
3. 대척점(對蹠點) / 대각점(對脚點), 변곡점(變曲點) /만곡점(彎曲點), 일치점(一致點) / 합치점(合致點), 꼭짓점(--點), 임계점(臨界點), 한계점(限界點), 전환점(轉換點), 분기점(分岐點), 출발점(出發點), 반환점(返還點), 결승점(決勝點), 소실점(消失點), 구두점(句讀點) 471
4. 교묘(巧妙), 기묘(奇妙), 미묘(微妙), 미묘(美妙), 신묘(神妙), 영묘(英妙),영묘(靈妙), 오묘(奧妙), 우묘(尤妙), 절묘(絶妙), 정묘(精妙), 현묘(玄妙) 477
5. 가경(佳境), 점입가경(漸入佳境) / 절경(絶境), 묘경(妙境), 비경(秘境), 선경(仙境) / 무인지경(無人之境) / 무아경(無我境), 망아경(忘我境), 몰아경(沒我境) / 신비경(神秘境), 황홀경(怳惚境) / 요지경(瑤池鏡) 483
6. 성격(性格), 성품(性品), 성질(性質), 성미(性味), 성벽(性癖), 성품(性稟), 성정(性情), 성깔 489
7. 법(法)의 종류와 의미 495
8. 비유(譬喩), 비유(比喩), 직유(直喩), 은유(隱喩), 환유(換喩), 대유(代喩), 제유(提喩), 풍유(諷喩), 우유(寓喩), 활유(活喩), 의인화(擬人化) 501
9. 출입구(出入口) / 승강기(昇降機) / 탈의실(脫衣室), 갱의실(更衣室), 환의실(換衣室) / 흡연실(吸煙室)과 끽연실(喫煙室) / 온도계(溫度計)와 한란계(寒暖計) / 진입로(進入路)와 나들목 / 미닫이 506
10. 목적(目的)과 목표(目標) / “다르다”와 “틀리다” 512
11. 농단(壟斷)과 농락(籠絡) / 조롱(嘲弄), 희롱(戱弄), 우롱(愚弄), 기롱(譏弄), 기롱(欺弄) 518
12. 부여조(父與祖)와 자여손(子與孫) / 세(世)와 대(代) 524
13. 한자성어(漢字成語), 고사성어(故事成語), 사자성어(四字成語) 529
14. “쌍벽(雙壁)”이 아니라 “쌍벽(雙璧)” / “완벽(完壁)”이 아니라 “완벽(完璧)” / “되어지다”가 아니라 “되다” / “설레임”이 아니라 “설렘” / “바램”이 아니라 “바람” 534
15. 기자(記者), 필자(筆者), 저자(著者) / 유래(由來)와 유례(類例) / 질문(質問)과 질의(質疑) 540
16. 시댁(媤宅)과 처가(妻家) / 도련님과 처남(妻男) / 아가씨와 처제(妻弟) / 아주버님과 처형(妻兄) 545
17. 값과 삯 / 요금(料金)과 비용(費用) / “사이시옷(ㅅ)” 문제 551
18. “소개시켜주세요” / “양해 말씀 드립니다” / “여간 죄송한 일입니다” / 이중(二重) 표현들 560
19. 수소, 수고양이, 수놈, 수벌 / 수캐, 수탉, 수퇘지, 수평아리 / 숫양, 숫염소, 숫눈, 숫쥐 566
20. 교수(敎授)님, 박사(博士)님, 목사(牧師)님, 은사(恩師)님, 스승님, 선생(先生)님 / “선생님”과 “쌤” 571
21. 정실주의(情實主義), 족벌주의(族閥主義), 파벌주의(派閥主義), 붕당주의(朋黨主義), 배타주의(排他主義), 독선주의(獨善主義), 자기중심주의(自己中心主義) 576
22. 세미나(Seminar), 심포지엄(Symposium), 워크숍(Work￾shop), 콘퍼런스(Conference), 컨벤션(Convention), 포럼(Forum) 581

맺는말_ 모국어 송가 586

❖ 부록(附錄)

1. “한글”, “한글날”, 「한글날 노래」 590
2. 「훈민정음(訓民正音)」 서문(序文)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