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04

1부
국어교육의 본질에 관하여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감(感)으로서의 국어능력
이성영
1. 들어가며
2. 국어능력의 개념과 성격
3. 국어능력과 감(感)
4. 나가며
참고문헌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이성영
1. 들어가며
2. 실제성의 정체
3. 실제성 중심 국어교육의 한계
4. 가상성의 특성과 유형
5.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
6. 나가며
참고문헌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어교육
정재찬
1. 들어가며
2.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어교육
3. 사회과교육과의 연대를 위한 국어교육
4. 나가며
참고문헌

2부
국어교육의 실제에 관하여

읽기 교육의 쟁점과 과제
서혁
1. 들어가며
2. 읽기 교육 이론과 쟁점
3. 텍스트 복잡도 연구와 읽기 교육 체계화
4. 나가며
참고문헌

2011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쟁점
김창원
1. 들어가며
2.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계와 인적 변인
3. 교육과정 개정 작업의 생태론적 점검
4. 나가며
참고문헌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김창원
1. 문제 공유: 교육과정사 안에서의 2015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진화론적 선택, 그리고 요구—영역, 내용 체계
3. 문제 해결: 교육과정 체계화의 방향 모색
참고문헌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관계
서혁
1. 들어가며
2.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인접성과 차별성
3. 연구 영역과 학제적 관계
4. 상호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과제
5. 나가며
참고문헌

3부
국어교육의 미래에 관하여

스마트 미디어 시대와 독서교육
이삼형
1. 스마트 미디어란?
2. 스마트 미디어와 삶, 소통, 텍스트
3. 스마트 미디어와 독서
4.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독서교육
5. 나가며
참고문헌
소통과 통합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
정재찬
1. 들어가며
2. 소통을 위한 문학교육
3. 통합을 위한 문학교육
4. 나가며
참고문헌

언어복지 제도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이삼형
1. 들어가며
2. 복지—시혜인가 권리인가? 그리고 지속 가능성은?
3. 언어복지—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4.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