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음성학 및 음운론적 접근
1. 음성음향학으로 본 한글의 위대성
2. 한국어 ‘ㅎ’과 ‘ㄹ’의 발음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안 연구
3. 한국어 명사의 라트비아어로의 올바른 전사에 대한 제언
4.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성 연구

Ⅱ. 의미론 및 화용론적 접근
1. Acquisition of figurative languages for a higher linguistic proficiency
2.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 나타난 추측 표현의 화용적 기능

Ⅲ. 문법 및 어휘교육
1. 품사 범주의 주변과 한국어 문법 교육
2. 한국어의 한자어 특징과 어휘 교육에 있어서 한자어 학습 원리와 방법
3. 중국어원 한국어 학습자의 신체 관용어 습득 과정 연구

Ⅳ. 교육과정 및 교재연구
1. 동영상 제작을 통한 협동 학습
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data and students’ reading and listening test outcomes
3.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고서 쓰기 교재 개발
4. 학습자 문법 교재의 구성을 위한 사고

Ⅴ. 교수방법론 및 온라인 기반과 한국어 교육
1. 과업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대학 내 비즈니스 한국어 수업 사례
2.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을 위한 특수 목적 한국어 실제 수업방안
3. 최신 언어 생활의 동향을 반영하기 위한 수업 방안
4. 동료 지도와 첨삭 지도를 결합한 한국어 초급 쓰기 수업의 절차적 지도 방안
5. 한국어 말하기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활용 수업’ 사례
6.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실재감 구현 방안

Ⅵ. 문학·번역·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
1. 러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활용 한국어 문법 학습과 한국어 시 낭송
2. 번역교육 시 제기되는 언어적 오류, 용어법
3. Culturality through Gosijo for advanced students
4. 팬덤의 언어 및 문화교육 영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