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보 = ⅲ

제1부 더불어 살아온 세월
동래고보에서 만난 제자 / 추월영 = 9
백영과 나 / 허웅 = 11
백영,꿈에라도 만나고파 / 박형식 = 17
동래고보 시절과 그 후 / 박기채 = 20
연희 동산에서 맺은 평생의 우정 / 유영 = 23
연전 시절의 추억과 초창기 문리대 / 손보기 = 30
국학의 길을 함께 개척하며 / 이명구 = 39
백영과 나와 시조 / 리태극 = 43
백영과 나와의 35년 / 김민수 = 51
정병욱 선배와의 인연 / 박지홍 = 64
한글 형제 / 안병욱 = 77
백영에 대한 추억 / 이웅백 = 80
거사(去思)의 정 / 전해종 = 88
백영에 대한 회억 / 이우성 = 92
실수가 향수처럼 그리웁다 / 최진원 = 100
형 같이 감싸 주던 백영 / 이두현 = 103
문리대 시절의 백영 정병욱 선생 / 조완규 = 105
Chong Pyonguk,Friend and Teacher / W.E.Skillend = 109
의연하셨던 백영 선생 / 강신항 = 114
백영 선생과 윤동주 시집 / 이기문 = 118
석곡과 함께 생각나는 분 / 김완진 = 122
잊지 못할 일 몇 가지 / 이옥 = 127
인생의 참스승 / 엄규백 = 130
백형(伯兄)의 고향 / 정병완 = 132


제2부 흰 그림자의 뒤에 서서
학문의 큰 길 열어 주신 스승님 / 박태권 = 141
정병욱 스승님과 나 / 김계곤 = 145
연희대학 시절의 은사 백영 / 박종국 = 150
파리에서 있었던 일 / 김석득 = 155
아버지처럼 의지했던 선생님 / 정양완 = 160
칼보다 무서운 칼집 / 이어령 = 165
내가 간직하고 있는 선생님의 장서 몇 권 / 강인숙 = 169
교양국어 교실에서 / 유종호 = 172
15주기를 맞아 올리는 추모사 / 이석래 = 176
대학다방과 그 후의 일들 / 김용직 = 181
창공을 나는 학의 모습 / 민병수 = 187
백영 선생님의 음덕 / 박병완 = 200
놓을 수 없는 술잔 / 전광현 = 206
우리 신구(新丘)의 은인 / 원선자 = 211
짧은 인연의 긴 가르침 / 염무웅 = 214
프랑스에서 용인(龍人)으로 / 이병근 = 219


제3부 큰 나무가 서 있는 자리
하버드에서 보내신 편지 / 윤명구 = 227
백영 선생과 나의 판소리 연구 / 백대웅 = 233
아무에게도 말 못한 사연 / 정광 = 238
선생님이 주신 세 번의 충격 / 송재소 = 243
매화와 연탄과 백영 선생님 / 정혜원 = 247
한문학의 길을 열어 주시고 / 정요일 = 252
조용한 깊은 사랑 / 김혜숙 = 261
시불오인인자오(詩不娛人人自娛) / 김흥규 = 267
대학 탈꾼들과 함께 나눈 선비의 풍류 / 채희완 = 272
선생님과 《한국고전시학사》 / 최웅 = 279
선생님의 주례사 / 정대림 = 288
영원히 학문의 길 비춰 주는 '흰 그림자' / 양태순 = 294
그 넓고 따뜻한 품 / 성호경 = 299
선생님과의 유배여행 / 성범중 = 305
동방일사 / 이강옥 = 312


제4부 학의 긴 울음 소리
한국문학의 인식 체계 / 임형택 = 319
백영 선생의 국문학 연구 방법론 / 김명호 = 339
전통 인식의 원리 재평가 / 조동일 = 357
백영 선생의 비판정신과 학문적 실천 / 서종문 = 366
우리 것 사랑과 백영의 학문 / 이선영 = 377
백영 정병욱 선생의 고전시가 연구 / 김병국 = 386
백영의 율격론 / 김학성 = 397
백영 선생의 고전시가 내용 연구 / 조흥욱 = 418
백영 선생이 보신 낙선재본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 이상택 = 429
정병욱 교수의 작가론 연구의 의의 / 이혜순 = 438
백영 선생의 판소리 연구 / 서대석 = 450
백영 선생의 문헌학적 업적 / 박희병 = 460
수필을 통해 본 백영의 선비사상과 진취성 / 김종철 = 471
백영의 고전 교육과 학문 정신 / 성기옥 = 481
인물 연구:정병욱 / 최철 = 497


조사·추모사·만시 = 509
영모비문 = 522
해적이 = 525
진행후기 =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