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무악사천(毋岳史川)』 제1집을 펴내면서 = 5
제1부 홍이섭 선생의 역사학
홍이섭 사학의 성격 / 김철준 = 17
사료 비판과 역사 정신 - 특히 식민사관과 민족사관 / 손보기 = 26
홍이섭 선생의 사학 - 실학·독립 운동사 정리의 선구 / 천관우 = 33
한국 근대 사회사상사 연구 / 박종홍 = 36
『조선과학사』에서 본 한국과학사 / 전상운 = 47
한국과학기술사의 종합적 체계화의 첫 시도 / 문중량 = 63
역사의식과 문학 / 염무웅 = 77
홍이섭 / 하현강 = 88
홍이섭 선생의 역사학 / 원유한 = 101
홍이섭 선생님의 역사관 / 홍주희 = 117
제2부 홍이섭 선생을 추모하며
홍이섭 선생 영전에 / 김철준 = 125
민족사학의 큰 별……홍이섭 박사의 일생 / 경향신문 = 127
홍이섭 박사를 애도함 / 전상운 = 129
고 홍이섭 박사를 애도함 / 하현강 = 131
홍이섭 선생 추념 / 이종영 = 133
역사의식과 생애 - 홍이섭 선생을 추모하면서 / 윤사순 = 136
천직으로서의 교수 / 고은 = 139
선생의 생활 주변 - 제자로서 본 홍이섭 선생 / 황원구 = 142
가르침을 받던 지난날의 회고 / 원유한 = 148
한국사상사 방법론과 홍 선생과 나 / 신성욱 = 154
홍이섭과 나 - 반세기를 이어온 우애 / 최영해 = 160
학문과 책과 가족, 그리고 민족정신 / 홍재영 = 170
『나라사랑 - 홍이섭 선생 특집호』 18집의 목차 / 원유한 = 175
『한국근대사』 발문 / 최기준 = 178
『한국정신사 서설』 발문 / 최기준 = 180
『홍이섭전집』 곧 출간 / 연세동문회보 = 182
『홍이섭전집』 서 / 황원구 = 185
홍이섭 선생 비문 / 천관우 = 188
홍이섭 선생 흉상명(胸像銘) / 황원구 = 190
제3부 홍이섭 사학의 뿌리
홍병선 목사의 생애 / 원유한 = 195
Y.M.C.A.와 더불어 산 야인 - 고 목양 홍병선 목사 / 전택부 = 205
박은식 선생과 독립투쟁사 - 사학자로서의 백암 선생 / 홍이섭 = 208
단재 신채호 - 일본의 압정하에서 민족정기를 부르짖은 사관 / 홍이섭 = 216
위당 정인보 - 『조선의 얼』은 우리 민족사의 봉화 / 홍이섭 = 228
호암 문일평 - 한국사인식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 / 홍이섭 = 239
조선민족 갱생의 도 - 1930년대 정신사의 한 자료 / 홍이섭 = 251
용재 백낙준 박사와 한국 교육 / 홍이섭 = 259
용재 선생의 홍이섭 선생에 대한 회상 / 원유한 = 267
제4부 홍이섭 선생의 말과 글
인물로 본 한국사 / 대담 = 273
『나라사랑』 간행계획 초안 / 홍이섭 = 288
고종시대의 조선사회 / 홍이섭 = 292
구한말 국사교육과 민족의식 / 홍이섭 = 304
식민지적 사관의 극복 - 민족의식의 확립과 관련하여 / 홍이섭 = 327
민족사학의 과제 / 홍이섭 = 342
민족자주사관의 확립 - 한국사의 새 관점 / 홍이섭 = 357
민족사관의 문제점 - 한국사의 체계화에의 노력 / 홍이섭 = 366
한국사관 정립의 가능성 / 홍이섭 = 374
역사와 교육 / 홍이섭 = 389
역사학을 공부하는 학생에게 / 홍이섭 = 403
『조선과학사』 서문 / 홍이섭 = 409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 서문 / 홍이섭 = 413
홍이섭 선생의 연보 = 417
제5부 무악실학회
홍이섭 선생의 제자들 '무악실학회' 구성 / 원유한 = 425
『실학사상연구』 창간호를 펴내면서 / 원유한 = 432
『무악실학회총서』 창간호 펴내면서 / 원유한 = 434
『무악실학회총서』 제2집을 펴내면서 / 원유한 = 436
『무악실학회총서』 제3집을 펴내면서 / 원유한 = 438
『무악실학회총서』 제4집을 펴내면서 / 원유한 = 440
『백낙준 박사 탄생 100주년 기념호』를 펴내면서 / 원유한 = 443
백낙준 박사 탄생 100주년 기념논문집 봉정식 = 449
한국 실학사상 발전 이해를 위한 시론 - 실학자의 화폐경제사상 발전을 중심으로 / 원유한 = 451